1) 연구의 범위 연구의 범위는 연변조선족자치주를 제외한 장백조선족 자치현과 연합향(진)을 포함한 43개의 향(진)으로서 3년간의 연구를 계획하고 있으며 1차 년도의 연구는 흑룡강성의 19...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8649
200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의 범위 연구의 범위는 연변조선족자치주를 제외한 장백조선족 자치현과 연합향(진)을 포함한 43개의 향(진)으로서 3년간의 연구를 계획하고 있으며 1차 년도의 연구는 흑룡강성의 19...
1) 연구의 범위
연구의 범위는 연변조선족자치주를 제외한 장백조선족 자치현과 연합향(진)을 포함한 43개의 향(진)으로서 3년간의 연구를 계획하고 있으며 1차 년도의 연구는 흑룡강성의 19개 향(진)을 대상으로 시행한다. 흑룡강성에는 46만㎢에 45만 명의 조선족이 살고 있다. 2차 년도는 요녕성의 13개 향(진), 3차 년도는 길림성에 산재한 11개 향(진)과 장백현이 대상이며 연변지역은 제외한다.
2) 1차년도 연구 대상지역 및 답사 일정 : 흑룡강성의 19개 향(진) - 중점 답사지역은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후에 결정하며 나머지는 조사한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한다.
㉠ 1차탐사 기간은 2003년 12월부터 2004년 2월 중 약 25일간이며 연구지역은 녕안시 성동조선족-만족향, 녕안시 와룡조선족향, 녕안시 강남조선족-만족향, 해림시 신안조선족향, 해림시 해남조선족향, 계동현 계임조선족향, 계동현 명덕조선족향, 밀산시 화평조선족향, 밀산시 흥개조선족향, 동녕현 삼차구조선족진 등이다.
㉡ 2차 탐사기간은 2004년 4월에서 5월 사이 약 10일 간이며 연구지역은 수화시 흥화조선족향, 철력현 녕풍조선족향, 북안시 주성조선족향 등이다.
㉢ 3차 탐사기간은 2004년 7월에서 6월 사이 약 20일 간이며 연구지역은 오상시 민락조선족향, 상지현 하동조선족향, 의란현 영란조선족향, 탕원현 탕원조선족향, 5화천현 성화조선족향, 라북현 동명조선족향 등이다.
3) 취재와 촬영의 요소
체계적인 문화의 기록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큰 항목을 대상으로 작업을 하려고 하며 이 것들은 다시 작은 하위항목으로 구분할 것이다. 그러나 각 항목이 배타적일 수는 없을 것이고 상호 연관성을 가지며 보완하면서 증폭시켜 갈 것이다.
㉠ 지역별 이주와 정착에 관련된 이주의 역사.
㉡ 조선족 문화를 배경으로 한 중국의 漢族(한족)문화.
㉢ 연합향(진)에서 나타나는 혼합된 문화의 특성.
㉣ 농촌과 도시의 풍경과 경제활동.
㉤ 시장에서의 교역과 상업, 직업 활동.
㉥ 가옥의 내․외부와 생활도구, 생활모습.
㉦ 가족관계, 친족관계, 혼인 및 통과의례, 명절의 특성.
㉧ 교육과 신앙 등 가치관의 변화.
㉨ 복장과 유행, 장식 및 여가활동.
㉩ 이웃과 소집단, 이민족간의 커뮤니케이션.
㉪ 취락과 외부 사회와의 상관관계.
㉫ 한민족과 관련된 유적과 유물
㉬ 한민족의 정체성웰옥穉肌?사람.
4) 연구에 접근하는 자세
사진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호 신뢰성의 구축이다. 그것만이 그들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진솔한 모습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연변역사연구소를 통해 섭외를 할 때 본 연구자가 다년간 그들의 사회에 참여하고 같이 생활하면서 기록한 결과물인「조선족의 오늘」을 기증하면서 그들에 대한 애정을 간접적으로 표현하고 협조를 요청하는 방법을 선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