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독교적 가족관의 확장을 위한 가정연계 “효”실천 유아인성교육의 실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381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 비규범적, 도덕적 상대주의의 탈근대주의 가치관의 영향과 한국사회의 다문화·저출산·고령화 현상 속에서 다양한 가정의 형태가 생기고 전통적인 가치관과 서구화의 가치관 사이의 갈등구조 속에서 가정과 교회는 위기 속에 있다. 이 논문은 21세기 가정의 위기 속에서 진정한 가정에 대한 정체성을 성경 속에서 재조명하고 관련 가족이론들과의 통합적인 시도를 통하여, 하나님이 의도하신 가족의 의미를 살펴보고 실제 현장에서 그 의미를 시도해 봄으로써 21세기 변화된 환경 속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형성시켜나갈 뿐 아니라 혈연적 가정의 경계를 넘어서서 이웃으로 향하는 가족의 확장적 개념의 실천 가능성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고령화 시대에 접어든 한국 가정 내에서 노인부양에 대한 문제로 가족 간 갈등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경기도의 한 유치원에서 만 4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가정과 연계하여 가족의 확장적 개념의 가능성을 실시해 보았다. 먼저 한국의 전통적 기본윤리 가치관인, ‘효’사상을 성경적 시각으로 재조명하여 ‘효’의 신학적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연령에 적합한 통합적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어린 유아들과 함께 10회기 다양한 활동들을 가정과 연계하여 효 실천과제를 실시한 것이다. 가족의 뿌리를 알아보고, 조부모님들의 특성을 알아보며 부모공경이라는 효를 실천하고 연계 교육활동들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조부모님에 대한 유아들의 생각과 태도에 변화가 나타났고 동시에 예상치 않았던 결과도 나타났다. 조부모님에 대해 알아가고 부모와 함께 조부모님을 공경하는 ‘효’ 실천 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은 조부모님과 부모님께 감사할 뿐 아니라 이웃 어른들에 대한 공경과 사랑의 마음으로 확장되어 나갔다. 유아들의 변화뿐 아니라 유아들과 함께 ‘효’ 실천 과제를 도왔던 부모들과 이 활동을 지도한 교사에게 변화가 온 것이다. 자신들의 부모에 대한 ‘효’의 태도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고 유아들과 함께 가족의 사랑이 혈연관계를 넘어서 지역사회에로 확장되어 나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유아기에 삼세대 부모공경을 통한 이웃사랑의 정신이 내재화되어 참된 인성을 갖춘 미래의 인재들을 키워나가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실천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21세기 비규범적, 도덕적 상대주의의 탈근대주의 가치관의 영향과 한국사회의 다문화·저출산·고령화 현상 속에서 다양한 가정의 형태가 생기고 전통적인 가치관과 서구화의 가치관 사이�...

      21세기 비규범적, 도덕적 상대주의의 탈근대주의 가치관의 영향과 한국사회의 다문화·저출산·고령화 현상 속에서 다양한 가정의 형태가 생기고 전통적인 가치관과 서구화의 가치관 사이의 갈등구조 속에서 가정과 교회는 위기 속에 있다. 이 논문은 21세기 가정의 위기 속에서 진정한 가정에 대한 정체성을 성경 속에서 재조명하고 관련 가족이론들과의 통합적인 시도를 통하여, 하나님이 의도하신 가족의 의미를 살펴보고 실제 현장에서 그 의미를 시도해 봄으로써 21세기 변화된 환경 속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형성시켜나갈 뿐 아니라 혈연적 가정의 경계를 넘어서서 이웃으로 향하는 가족의 확장적 개념의 실천 가능성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고령화 시대에 접어든 한국 가정 내에서 노인부양에 대한 문제로 가족 간 갈등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경기도의 한 유치원에서 만 4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가정과 연계하여 가족의 확장적 개념의 가능성을 실시해 보았다. 먼저 한국의 전통적 기본윤리 가치관인, ‘효’사상을 성경적 시각으로 재조명하여 ‘효’의 신학적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연령에 적합한 통합적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어린 유아들과 함께 10회기 다양한 활동들을 가정과 연계하여 효 실천과제를 실시한 것이다. 가족의 뿌리를 알아보고, 조부모님들의 특성을 알아보며 부모공경이라는 효를 실천하고 연계 교육활동들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조부모님에 대한 유아들의 생각과 태도에 변화가 나타났고 동시에 예상치 않았던 결과도 나타났다. 조부모님에 대해 알아가고 부모와 함께 조부모님을 공경하는 ‘효’ 실천 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은 조부모님과 부모님께 감사할 뿐 아니라 이웃 어른들에 대한 공경과 사랑의 마음으로 확장되어 나갔다. 유아들의 변화뿐 아니라 유아들과 함께 ‘효’ 실천 과제를 도왔던 부모들과 이 활동을 지도한 교사에게 변화가 온 것이다. 자신들의 부모에 대한 ‘효’의 태도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고 유아들과 함께 가족의 사랑이 혈연관계를 넘어서 지역사회에로 확장되어 나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유아기에 삼세대 부모공경을 통한 이웃사랑의 정신이 내재화되어 참된 인성을 갖춘 미래의 인재들을 키워나가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실천이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21st century, the effects of non-normative moral relativism found in post-modernist values and the changes in South Korean society caused by multiculturalization/ lowering birth rate/ aging population have led to the formulation of varied forms of family, and in the resulting structural conflict between traditional and westernized values, the family as well as the church are in crisis. This paper seeks to shed new light on the identity of authentic family in today’s 21st century familial crisis through a Biblical framework bolstered by the integration of related family theories, resulting in an examination of God’s intended meaning of family and an assay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thereby developing the concept of not only a healthy and blissful family able to thrive in the changed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but also the possibility of an expanding definition of family that extends to the local community, capable of transcending familial boundaries drawn by blood relations. Especially noteworthy. with South Korea’s entrance into an era of an aging population, is the problem of elderly care, which has become a worsening conflict within South Korean families as of late. In response, a kindergarten located in Kyunggi Province assuaged the possibility of an expanding definition of family through a study on 4-year -old children, conducted in coordination with their respective families. After first reinterpreting ‘hyo’ (filial piety), a traditional and foundational moral value in Korea, from a biblical perspective, an attempt was made to organize the the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hyo’, which was then applied, age appropriately, via an integrated educational approach, to the toddlers. With the cooperation of their families, the toddlers, in about ten sessions of various activities, were held ‘hyo’ as a practice subject. By learning the origins of their respective famil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grandparents, the toddlers put into practice ‘hyo’ in the form of respecting one’s parents, and went through related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this process, changes occurred in the thought patterns and behavior of the toddlers; simultaneously, other unexpected results also took place. As the toddlers learned about their grandparents and put into practice ‘hyo’ in the form of venerating their grandparents, together with their own parents, the toddlers not only became more appreciative of their grandparents and parents, but also found an expanding respect and loving heart for other elders and adults in their surrounding vicinity. However, not only were the toddlers affected, but a change also came to th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hyo’ and the teachers who led the activities. The activitie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teacher to reflect upon their own attitudes towards their own parents as well as to achieve toddlers’ life-change experience in character education. The family-jointed character education activity through ‘hyo’ to toddlers in kindergarten resulted in making filial piety extend beyond the boundaries of blood-based family relations into the local community. In order to raise tomorrow’s leaders, through the tri-generational emphasis of ‘hyo’ during early childhood, to have sincere personalities incorporating a spirit of neighborly love, continual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 is required.
      번역하기

      In the 21st century, the effects of non-normative moral relativism found in post-modernist values and the changes in South Korean society caused by multiculturalization/ lowering birth rate/ aging population have led to the formulation of varied for...

      In the 21st century, the effects of non-normative moral relativism found in post-modernist values and the changes in South Korean society caused by multiculturalization/ lowering birth rate/ aging population have led to the formulation of varied forms of family, and in the resulting structural conflict between traditional and westernized values, the family as well as the church are in crisis. This paper seeks to shed new light on the identity of authentic family in today’s 21st century familial crisis through a Biblical framework bolstered by the integration of related family theories, resulting in an examination of God’s intended meaning of family and an assay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thereby developing the concept of not only a healthy and blissful family able to thrive in the changed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but also the possibility of an expanding definition of family that extends to the local community, capable of transcending familial boundaries drawn by blood relations. Especially noteworthy. with South Korea’s entrance into an era of an aging population, is the problem of elderly care, which has become a worsening conflict within South Korean families as of late. In response, a kindergarten located in Kyunggi Province assuaged the possibility of an expanding definition of family through a study on 4-year -old children, conducted in coordination with their respective families. After first reinterpreting ‘hyo’ (filial piety), a traditional and foundational moral value in Korea, from a biblical perspective, an attempt was made to organize the the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hyo’, which was then applied, age appropriately, via an integrated educational approach, to the toddlers. With the cooperation of their families, the toddlers, in about ten sessions of various activities, were held ‘hyo’ as a practice subject. By learning the origins of their respective famil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grandparents, the toddlers put into practice ‘hyo’ in the form of respecting one’s parents, and went through related educational activities. Through this process, changes occurred in the thought patterns and behavior of the toddlers; simultaneously, other unexpected results also took place. As the toddlers learned about their grandparents and put into practice ‘hyo’ in the form of venerating their grandparents, together with their own parents, the toddlers not only became more appreciative of their grandparents and parents, but also found an expanding respect and loving heart for other elders and adults in their surrounding vicinity. However, not only were the toddlers affected, but a change also came to th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hyo’ and the teachers who led the activities. The activitie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teacher to reflect upon their own attitudes towards their own parents as well as to achieve toddlers’ life-change experience in character education. The family-jointed character education activity through ‘hyo’ to toddlers in kindergarten resulted in making filial piety extend beyond the boundaries of blood-based family relations into the local community. In order to raise tomorrow’s leaders, through the tri-generational emphasis of ‘hyo’ during early childhood, to have sincere personalities incorporating a spirit of neighborly love, continual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 is requi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이론적 배경
      • 1. 가족이론
      • 2. 가족신학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이론적 배경
      • 1. 가족이론
      • 2. 가족신학
      • 3. 가족관 확장개념의 성서적 기초
      • 4. “효”에 대한 신학적 기초
      • III. 기독교적 가족관 확장의 실제:‘삼세대 하모니 가정연계‘효’실천 활동을 통한 가족관 확장의 실제’
      • IV.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규, "효신학개론" 도서출판 성산학원 2007

      2 이기숙, "현대 가족관계론" 파란마음 2009

      3 손인수, "한국인의 효도문화" 문음사 1997

      4 최연실, "한국가족의 변화에 대한 일고찰: 변화 양상, 맥락 및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41-65, 2013

      5 볼스윅, 잭, "크리스천 가정" 두란노 1995

      6 브론펜브레너, 유리, "인간발달생태학" 교육과학사 1985

      7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지도서" 교육과학기술부 2009

      8 김재희, "유아기 손자녀를 둔 조모의 역할유형과 관련 변인들: 사회인구학적 특성, 조모-손자녀 접촉 정도 및 조모-모 친밀감" 한국아동학회 32 (32): 13-29, 2011

      9 김숙자,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태 및 요구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7-48, 2012

      10 김치곤,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05-333, 2013

      1 최성규, "효신학개론" 도서출판 성산학원 2007

      2 이기숙, "현대 가족관계론" 파란마음 2009

      3 손인수, "한국인의 효도문화" 문음사 1997

      4 최연실, "한국가족의 변화에 대한 일고찰: 변화 양상, 맥락 및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41-65, 2013

      5 볼스윅, 잭, "크리스천 가정" 두란노 1995

      6 브론펜브레너, 유리, "인간발달생태학" 교육과학사 1985

      7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지도서" 교육과학기술부 2009

      8 김재희, "유아기 손자녀를 둔 조모의 역할유형과 관련 변인들: 사회인구학적 특성, 조모-손자녀 접촉 정도 및 조모-모 친밀감" 한국아동학회 32 (32): 13-29, 2011

      9 김숙자,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태 및 요구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7-48, 2012

      10 김치곤,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05-333, 2013

      11 장휘숙, "아동발달" 박영사 2001

      12 위형윤, "신학과 실천의 괴리현상 극복을 위한 실천신학적 삶의 고찰" 한국실천신학회 (22) : 5-43, 2010

      13 위형윤, "신앙과 행위의 생활규범에 관한 고찰" 한국실천신학회 (24) : 5-45, 2010

      14 최봉도, "다문화 사회에서 기독교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영성과 기독교 영성교육" 한국실천신학회 (31) : 363-386, 2012

      15 정윤태, "노인부양에 따른 가족관계 경험에 관한 연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활용 여성주부양자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관계학회 18 (18): 207-231, 2013

      16 박창우, "기독교사회복지의 목적에 관한 소고(小考)" 한국실천신학회 (30) : 433-452, 2012

      17 신현광, "교육목회에 있어 교사의 자질과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32) : 477-514, 2012

      18 보스, "가족학이론" 문음사 1999

      19 정현숙, "가족관계" 신정 2001

      20 장경섭, "가족·생애·정치경제 : 압축적 근대성의 미시적 기초" 창비 2009

      21 콜린스, 게리, "가정의 충격" 생명의 말씀사 1997

      22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vard University Press 1979

      23 Toffler, Alvin, "The Third Wave" William Morrow and Company 1980

      24 Balswick, Jack O., "The Family : A Christian perspective on the contemporary home" Baker 2007

      25 Boss, Pauline G., "Sourcebook of family theories and methods : A contextual approach" Plenum Press 1993

      26 Anderson, Ray S, "On being human : Essays in theological anthropology" Fuller Seminary Press 1982

      27 Anderson, Ray S., "On being family : Essays on a social theology of the family" Eerdmans 1985

      28 Bertalanffy, Ludwig von, "General system theory : Foundations, development, applications" George Brailer 1968

      29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2012

      30 홍인종, "21세기 가족의 변화와 기독교의 가족관"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 0.653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