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 과학 수업의 참여구조 사례 연구: 혼성적 의미 창출 공간의 형성 가능성 탐색 = Case Studies of the Participation Structures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Exploring the Possibility to Develop the Space for Hybrid Meaning Ma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722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영달, "한일 중등학교 경제수업의 이해: 한 일 청소년의 수업문화 이해" 18 : 141-166, 1994

      2 이혜정, "초등학교 6학년 과학 수업의 사회적 참여구조 유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24): 123-129, 2005

      3 고창규, "초등학교 1학년 수업의 참여구조에 관한 연구" 3 (3): 1-23, 2000

      4 이혁규, "중학교 사회과 교실수업의 일상생활 기술적 사례 연구" 집문당 1999

      5 이혁규, "중학교 사회과 교실수업에 대한 일 상생활 기술적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1996

      6 권현정, "중학교 과학 실험실 수업에서의 교 사 학생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 서울대학교 2003

      7 이옥희,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4

      8 조영달, "정형화된 사회적 공간에서의 한국적 상호작용 유형의 이해: 어느 고등학교 경제 수업의 Turn- Taking과 사회적 참여구조 연구" 16 : 309-363, 1992

      9 Lave, J., "상황학습" 교우사 2000

      10 Moje, E.B., "ғMaestro, what is ԔqualityՓ?ӓ: Language, literacy and discourse in project-based science" 38 (38): 469-498, 2001

      1 조영달, "한일 중등학교 경제수업의 이해: 한 일 청소년의 수업문화 이해" 18 : 141-166, 1994

      2 이혜정, "초등학교 6학년 과학 수업의 사회적 참여구조 유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24): 123-129, 2005

      3 고창규, "초등학교 1학년 수업의 참여구조에 관한 연구" 3 (3): 1-23, 2000

      4 이혁규, "중학교 사회과 교실수업의 일상생활 기술적 사례 연구" 집문당 1999

      5 이혁규, "중학교 사회과 교실수업에 대한 일 상생활 기술적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1996

      6 권현정, "중학교 과학 실험실 수업에서의 교 사 학생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 서울대학교 2003

      7 이옥희,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4

      8 조영달, "정형화된 사회적 공간에서의 한국적 상호작용 유형의 이해: 어느 고등학교 경제 수업의 Turn- Taking과 사회적 참여구조 연구" 16 : 309-363, 1992

      9 Lave, J., "상황학습" 교우사 2000

      10 Moje, E.B., "ғMaestro, what is ԔqualityՓ?ӓ: Language, literacy and discourse in project-based science" 38 (38): 469-498, 2001

      11 Moje, E.B., "Working toward third space in content area literacy: An examination of everyday funds of knowledge and discourse" 39 (39): 38-70, 2004

      12 van Zee, E., "Using questioning to guide student thinking" 6 (6): 227-269, 1997

      13 Soja, E.W., "Thirdspace: Journeys to Los Angeles and other realand-imagined places" Blackwell 1996

      14 Bhabha, H.K., "The location of culture" Routledge 1994

      15 Chin, C., "Teacher questioning in science classrooms: Approaches that stimulate productive thinking" 44 (44): 815-843, 2007

      16 Gutierrez, K., "Script, counterscript, and underlife in the classroom: James Brown versus Brown v. Board of Education" 65 : 445-471, 1995

      17 Sharma, A., "Science Teacher Candidates' Classrooms: Psychological Safety,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about Science" 2004

      18 오필석, "Participation Metaphor for Learning and Its Implication for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한국지구과학회 27 (27): 140-148, 2006

      19 Green, J.L., "Lesson construction and student participation: A sociolinguistic analysis"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1-47, 1988

      20 Mehan, H., "Learning lesson: Social organization in the classroom"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21 Enyedy, N., "Inquiry in interaction: How local adaptations of curricula shape classroom communities" 41 (41): 905-935, 2004

      22 Gutierrez, K., "Hybridity as a tool for understanding literacy learning: Building on the syncretic approach" 1999

      23 Wallace, C., "Framing new research in science literacy and language use: Authenticity, multiple discourses, and the “ìThird space”" 88 : 901-914, 2004

      24 Cazden, C., "Classroom discourse: The language of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s of College Press 2001

      25 Cazden, C., "Classroom discourse" Macmillan 432-463,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54 2.13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