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및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Personal Teacher Efficacy,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6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실행하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총 100개 학교에 1,260부의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조직건강은 개인적 교사효능감보다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교과지도, 생활지도, 대인관계가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집단적 교사효능감도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개인적 교사효능감 변인에 대해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조직건강이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잠재변수들 간의 인과관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조직건강은 개인적 교사효능감을 통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고 집단적 교사효능감을 통해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적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교사효능감을 통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이 수업전문성에 대한 학교조직건강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매개변수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실행하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

      이 연구는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실행하기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총 100개 학교에 1,260부의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조직건강은 개인적 교사효능감보다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교과지도, 생활지도, 대인관계가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집단적 교사효능감도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적 교사효능감은 개인적 교사효능감 변인에 대해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조직건강이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잠재변수들 간의 인과관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학교조직건강은 개인적 교사효능감을 통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고 집단적 교사효능감을 통해 개인적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적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교사효능감을 통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이 수업전문성에 대한 학교조직건강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매개변수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 1. 학교조직건강
      • 2.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집단적 교사효능감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 1. 학교조직건강
      • 2.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집단적 교사효능감
      • 3. 수업전문성
      • 4. 선행연구 분석
      • Ⅲ. 연구방법
      • 1. 연구의 모형
      • 2. 연구대상 및 표집
      • 3. 측정도구 및 자료처리
      • Ⅳ. 연구결과
      • 1.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 간의 영향
      • 2.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병량, "훈육 : 학교 훈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1

      2 류한구,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Ⅰ) : 예비조사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05

      3 이윤식, "학교경영과 자율장학" 교육과학사 2001

      4 박병량, "학교․학급경영" 학지사 2005

      5 박정주,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개인 및 학교 효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21-41, 2010

      6 박정주,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교사몰입 간 관계에 대한 구조적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85-303, 2010

      7 성병환,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과 일 가치감, 귀인성향, 학교 조직풍토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79-114, 2008

      8 Sergiovanni, T. J, "장학론" 아카데미프레스 2008

      9 김경철,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15-135, 2007

      10 허병기, "수업과 학교장 지도성" 19 (19): 53-77, 2001

      1 박병량, "훈육 : 학교 훈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1

      2 류한구,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Ⅰ) : 예비조사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05

      3 이윤식, "학교경영과 자율장학" 교육과학사 2001

      4 박병량, "학교․학급경영" 학지사 2005

      5 박정주,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개인 및 학교 효과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21-41, 2010

      6 박정주,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교사몰입 간 관계에 대한 구조적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285-303, 2010

      7 성병환, "전문교과 교사의 전문성과 일 가치감, 귀인성향, 학교 조직풍토의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79-114, 2008

      8 Sergiovanni, T. J, "장학론" 아카데미프레스 2008

      9 김경철,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15-135, 2007

      10 허병기, "수업과 학교장 지도성" 19 (19): 53-77, 2001

      11 박성식, "교육행정학" 학지사 2011

      12 Hoy, W. K, "교육행정 이론, 연구,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2009

      13 주철안,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학교·학급경영 중심-" 학지사 2012

      14 김아영,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7-58, 2004

      15 임성택, "교사효능감" 강현출판사 2011

      16 김아영, "교사전문성 핵심요인으로서의 교사효능감"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63-84, 2012

      17 안우환, "교사의 수업효율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2 (22): 45-64, 2004

      18 박균열, "교사의 수업전문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49-74, 2008

      19 조호제,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전문성의 차이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183-207, 2009

      20 채영병, "고등학교 교사의 개인배경, 역할갈등, 학교조직풍토, 자아효능감과 직무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21 Hoy, W. K.,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schools" 93 (93): 355-372, 1993

      22 Ashton, P. T.,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35 (35): 28-32, 1984

      23 Gibson, S.,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76 (76): 569-582, 1984

      24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Camridge University Press 1997

      25 Miles, M. B., "Planned change and organizational health: Figure and ground, In Managing change in educational organizations: Sociological perspectives, strategies and case studies" McCuthan Publishing Corporation 1965

      26 Hoy, W. K., "Organizational health profiles for high schools, In School Climate: Measuring, Sustaining, and Improving" Falmer Press 1999

      27 Ashton, P. T, "Making a differe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Longman 1986

      28 박현정, "KEDI 종합검사도구 개발연구(Ⅱ): 가정특성과 학교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6

      29 Goddard, R. 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measure and impact on stedent achievement" 37 (37): 479-507, 2000

      30 Goddard, R. D., "Collective efficacy: A neglected construct in the study of schools and student achievement" 93 (93): 467-476, 2001

      31 안선희, "-유아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교사효능감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147-163,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