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 초부터 외국에서는 도로교의 동적거동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실험적 연구가 체계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각국의 교량설계시방서에 충분히 반영되었다. ...
1950년대 초부터 외국에서는 도로교의 동적거동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실험적 연구가 체계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각국의 교량설계시방서에 충분히 반영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국내외 시방서에 제시된 충격계수 산정식을 비교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도로 노면상태, 차량특성, 교량형식, 신축이음장치 및 미끄럼방지포장 등을 고려한 도로교량의 충격계수를 현장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고, 3차원 해석방법을 통하여 구한 수치해석 결과와 실험한 측정자료를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알맞는 합리적인 도로교의 충격계수를 제시하고, 도로교의 설계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설계지침을 마련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면조도와 차량주행 특성이 교량의 동적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교량형식별, 구조상세별 충격계수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들을 교량의 상판 및 주형의 설계에 적용시키는 지침을 마련하여 설계에 이를 반영시켜 교량의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교면포장의 교체시기 등을 적절히 예측하여 교량의 유지관리에 활용함으로써 교량의 공용수명을 연장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