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후천성 말실행증 진단에 대한 인식 조사 = A Survey on the Diagnosis of Acquired Apraxia of Spee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411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erceptions on evaluation of acquired apraxia of speech (AOS) in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SLP) and professor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to 64 respondents; 48 SL...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erceptions on evaluation of acquired apraxia of speech (AOS) in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SLP) and professor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to 64 respondents; 48 SLPs who work in various settings and 16 professors who are with the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in universities (undergraduate/graduate programs). The survey consisted of two parts: 1) background information and educational/clinical experiences that are associated with AOS, 2) the current state and perception of diagnosis on AOS. Each item of the survey was responded to by the respondents via self-reported answers. Results: In terms of the manner of evaluation in clinical settings, auditory- and visuo-perceptual evaluation (77.1%) and acoustic evaluation using acoustic analysis were utilized. In diagnostic criteria of AOS, 42.4% of respondents referred to Korean normative data of speech performance (e.g., articulation rate from diadochokinetic tasks), and 40.2% of respondents referred to diagnostic criteria developed by the respondent using theoretical background and clinical experiences. 52% of respondents wanted Korean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for AOS. 92% of respondents hope for diagnostic criteria for AOS provided by the Korean association. Conclusions: These preliminary results might be the groundwork for introducing and establishing diagnostic guidelines and assessment tools for AO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임상현장에서 실제적으로 말실행증 환자를 접하고 있는 언어재활사와 관련 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말실행증 진단과 관련한 기초적인 정보를 확...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임상현장에서 실제적으로 말실행증 환자를 접하고 있는 언어재활사와 관련 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말실행증 진단과 관련한 기초적인 정보를 확인하고, 진단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신경말언어장애 분야에서 임상 경험이 있는 언어재활사 48명과 신경말언어장애를 전공하고 강의하고 있는 교육전문가 16명, 총 64명을 대상으로 말실행증 진단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구성은 두 영역으로 이루어졌으며, 첫 번째는 조사 대상에 대한 기본정보 및 말실행증 관련 경험/배경지식에 대한 내용으로, 두 번째는 진단 현황 및 진단기준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다. 결과: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말실행증 평가 방식은 청각 및 시각을 활용한 지각적 방법(77.1%)이 우선적으로 선호되며 더불어 기기평가가 활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말실행증 환자를 진단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구체적인 기준 및 척도를 확인한 결과, 국내 정상인을 대상으로 산출된 결과(예; 길항운동 과제의 조음속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는 비율(42.4%)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스스로 만든 진단 기준의 적용(40.2%)이었다. 말실행증 진단 도구나 규준에 대한 요구를 확인한 결과, 과반수 이상의 대상자들은 말실행증 진단을 위한 국내 도구의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92.2%의 응답자는 협회 또는 학회 차원에서 국내 말실행증 진단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예비연구는 추후 국내 말실행증 환자의 통일된 진단기준을 정립하고 진단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지혜, "삼킴장애 진단과 치료에 대한 언어치료전공자의 인식 및 현황" 한국음성학회 5 (5): 43-51, 2013

      2 이희란, "말실행증(AOS)의 변별진단(differential diagnosis)에 관한 문헌고찰" 특수교육연구소 3 (3): 147-165, 2004

      3 김윤정, "말실행증 환자(Apraxia of Speech)의 AMR 수행 특성: 사례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168-182, 2003

      4 김선희, "뇌성마비 아동용 한국형 섭식 기능 평가 도구 개발의 기초 연구 - 내용 및 구인 타당도 측정 -" 한국언어치료학회 20 (20): 31-51, 2011

      5 신명선, "노인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재활에 대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조사" 한국언어치료학회 21 (21): 53-72, 2012

      6 Huskins, S., "Working with apraxic clients: A practical guide to therapy for apraxia" Communication Skill Builders 1988

      7 Wambaugh, J. L., "Treatment guidelines of apraxia of speech : Lessons for future research" 14 : 317-321, 2006

      8 Wambaugh, J. L., "Treatment guidelines for acquired apraxia of speech : A synthesis and evaluation of the evidence" 14 (14): 15-33, 2006

      9 Kim, S. J.,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iculatory errors for diagnosing apraxia of speech" 22 (22): 66-74, 2006

      10 Laganaro, M., "Patterns of impairments in AOS and mechanisms of interaction between phonological and phonetic encoding. Journal of Speech" 55 (55): 1535-1543, 2012

      1 윤지혜, "삼킴장애 진단과 치료에 대한 언어치료전공자의 인식 및 현황" 한국음성학회 5 (5): 43-51, 2013

      2 이희란, "말실행증(AOS)의 변별진단(differential diagnosis)에 관한 문헌고찰" 특수교육연구소 3 (3): 147-165, 2004

      3 김윤정, "말실행증 환자(Apraxia of Speech)의 AMR 수행 특성: 사례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8 (8): 168-182, 2003

      4 김선희, "뇌성마비 아동용 한국형 섭식 기능 평가 도구 개발의 기초 연구 - 내용 및 구인 타당도 측정 -" 한국언어치료학회 20 (20): 31-51, 2011

      5 신명선, "노인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재활에 대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조사" 한국언어치료학회 21 (21): 53-72, 2012

      6 Huskins, S., "Working with apraxic clients: A practical guide to therapy for apraxia" Communication Skill Builders 1988

      7 Wambaugh, J. L., "Treatment guidelines of apraxia of speech : Lessons for future research" 14 : 317-321, 2006

      8 Wambaugh, J. L., "Treatment guidelines for acquired apraxia of speech : A synthesis and evaluation of the evidence" 14 (14): 15-33, 2006

      9 Kim, S. J.,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iculatory errors for diagnosing apraxia of speech" 22 (22): 66-74, 2006

      10 Laganaro, M., "Patterns of impairments in AOS and mechanisms of interaction between phonological and phonetic encoding. Journal of Speech" 55 (55): 1535-1543, 2012

      11 Darley, F. L., "Motor speech disorders" Saunders 1975

      12 Duffy, J. R., "Motor Speech Disorders: Substr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Mosby 2005

      13 Darley, F. L., "Differential diagnostic patterns of dysarthria" 12 : 246-269, 1969

      14 Collins, M., "Differential diagnosis of aphasic syndromes and apraxia of speech; Acquired apraxia of speech in aphasic adult" Taylor & Francis INC 1989

      15 Croot, K., "Diagnosis of AOS: Definition and criteria" 23 : 267-280, 2002

      16 Darley, F. L., "Clusters of deviant speech dimensions in the dysarthrias" 12 : 462-469, 1969

      17 McNeil, M. R., "Clinical management of sensorimotor speech disorders" Thieme 2009

      18 Josephs, K. A., "Characterizing a neurodegenerative syndrome : Primary progressive apraxia of speech" 135 : 1522-1536, 2012

      19 Rosenbek, J. C, "Apraxia of speech: Physiology, acoustics, linguistics, management" College-Hill Press 1984

      20 Wertz, R. T., "Apraxia of speech in adults: The disorders and its management" Singular Publishing Group 1992

      21 Dabul, B. L., "Apraxia battery for adults" Pro-Ed 2000

      22 Min, K. O., "An acoustic study on speech of apraxia in Korean" 12 (12): 19-27, 2007

      23 Kim, S. J,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iculation errors in Korean apraxia of speech" 12 (12): 1-18,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1-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 Korean Speech- Language & Hearing Association(KSHA) KCI등재
      2015-10-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언어치료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08 1.80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