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시민사회의 지표를 개발하고 여론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세부과제에서 실증적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1) 정치학, 행정학, 신문방송학 등 사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92201
200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시민사회의 지표를 개발하고 여론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세부과제에서 실증적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1) 정치학, 행정학, 신문방송학 등 사회...
한국 시민사회의 지표를 개발하고 여론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세부과제에서 실증적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1) 정치학, 행정학, 신문방송학 등 사회과학의 인접 학문분야로 구성된 학제적 공동연구를 수행
2) 지표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3) 지표 및 여론을 조사, 분석하기 위한 전문가 델파이조사, 언론보도 분석
4) 한국시민사회의 국제적 비교를 위한 CIVICUS 데이터 비교 분석 등을 실시한다.
본 세부과제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한국 시민사회의 역사와 현황
2) 한국 시민사회의 지표와 여론: 이론 및 분석틀
3) 한국 시민사회의 발전과 여론: 언론보도 분석
4) 한국 시민사회의 지표(1): 전문가 설문 및 델파이 조사
5) 한국 시민사회의 지표(2): 국제적 비교 분석
위의 연구 내용에서 조사하는 구체적인 한국시민사회의 지표는 다음과 같은 변수로 측정한다.
1) 한국 시민사회의 구조: 멤버십, 시민참여, 분포, 구성, 자원
2) 한국 시민사회의 공간: 법과 규제, 정부 관계, 사회문화 규범
3) 한국 시민사회의 가치: 인권과 정의, 투명성과 책무성, 민주적 내부과정
4) 한국 시민사회의 영향: 공공정책 영향력, 시민의 호응력, NGO의 효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