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용/동작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8064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다문화가정 아동들에게 적용하여 신체움직임을 통한 자기인식과 자기수용, 자기표현을 유도함으로써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향상시키고, 동작 상호작용을 통하여 교우관계(신뢰감, 존중감, 친밀감)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경기도 광명시 다문화가정 센터 아동들 60명 중 아동상호간의 신뢰감, 개인성격 장애, 자신감결여, 정서불안감이 있는 10명을 선정하여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 하였다. 측정도구는 교우관계를 측정하는 34문항, 자아존중감을 측정하는 아동문항 검사지이다. 자료처리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우관계에서의 신뢰감은 실험 처치 전 평균이 2.98, 실험 처치 후 3.42로 나타났다. 존중감은 실험 처치 전 평균이 3.15에서 실험 처치 후 3.65로, 친밀감에서도 실험 처치 전 평균 2.77에서 실험 처치 후 평균이 3.35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교우관계가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자아존중감에서는 일반적자아의 실험 처치 전 평균은 2.84, 실험 처치후의 평균은 3.64로 나타났다. 사회적자아의 실험 처치 전 평균은 2.54에서 실험 처치 후 3.84로, 가정적자아의 실험 처치 전 평균은 2.76에서 실험 처치 후 3.90로, 학교자아도 실험 처치 전 평균 3.08에서 실험 처치 후 평균이 3.53로 증가하여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들의 교우관계(아동상호간의 신뢰감, 친밀감, 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다문화가정 아동들에게 적용시킨 결과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용/동작치료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출처: RISS, http://www.riss.kr/link?id=T11937995)
      번역하기

      이 연구는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다문화가정 아동들에게 적용하여 신체움직임을 통한 자기인식과 자기수용, 자기표현을 유도함으로써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향상시키고, 동작 상호작...

      이 연구는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다문화가정 아동들에게 적용하여 신체움직임을 통한 자기인식과 자기수용, 자기표현을 유도함으로써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향상시키고, 동작 상호작용을 통하여 교우관계(신뢰감, 존중감, 친밀감)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경기도 광명시 다문화가정 센터 아동들 60명 중 아동상호간의 신뢰감, 개인성격 장애, 자신감결여, 정서불안감이 있는 10명을 선정하여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 하였다. 측정도구는 교우관계를 측정하는 34문항, 자아존중감을 측정하는 아동문항 검사지이다. 자료처리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우관계에서의 신뢰감은 실험 처치 전 평균이 2.98, 실험 처치 후 3.42로 나타났다. 존중감은 실험 처치 전 평균이 3.15에서 실험 처치 후 3.65로, 친밀감에서도 실험 처치 전 평균 2.77에서 실험 처치 후 평균이 3.35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교우관계가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자아존중감에서는 일반적자아의 실험 처치 전 평균은 2.84, 실험 처치후의 평균은 3.64로 나타났다. 사회적자아의 실험 처치 전 평균은 2.54에서 실험 처치 후 3.84로, 가정적자아의 실험 처치 전 평균은 2.76에서 실험 처치 후 3.90로, 학교자아도 실험 처치 전 평균 3.08에서 실험 처치 후 평균이 3.53로 증가하여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들의 교우관계(아동상호간의 신뢰감, 친밀감, 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다문화가정 아동들에게 적용시킨 결과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용/동작치료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출처: RISS, http://www.riss.kr/link?id=T11937995)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연차보고서)의 원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자는 자아존중감 측정도구 검사지를 구성할 때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초등학교 아동수준에 맞게 재수정한 방정남(2010)의 질문지를 사용하여 재구성하였다.
      번역하기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연차보고서)의 원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자는 자아존중감 측정도구 검사지를 구성할 때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초등학교 아동수준...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연차보고서)의 원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자는 자아존중감 측정도구 검사지를 구성할 때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초등학교 아동수준에 맞게 재수정한 방정남(2010)의 질문지를 사용하여 재구성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social adaptation to peer group through dancing behavior therapy program. Basic assumption is that, dancing could improve self-identity and social relationship (trust, respect, & intimacy) because it helps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understand and express who they really are. Therapy program was offered to 10 out of 60 children at Multicultural Family Center at Kwang-Myung City, Kyoung-Ki Province. This 10 were chosen based on their unstable symptoms especially in the aspect of trust, confidence, and emotion. Improvement is checked by newly developed measure for this study, which includes 34 questions. T-test (SPSS 12.0)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experiment was very successful. First, the dancing therapy changed participated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trust score went up to 3.42 from 2.98. Likewise, respect measure was improved from 3.15 to 3.65 as well. Most phenomenal difference was found at intimacy score, where children showed 3.35 point from 2.77 before the program. Dancing therapy appeared to be a quite positive stimulation to these foreign but Korean kids.
      Four sub-factors of Self-identity measure included personal esteem, social esteem, family esteem, & school esteem. All four sub-factors, however, produced significant change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too. Mean of personal esteem before the experiment ? 2.84 - was found to be up as much as 3.64. Social esteem was the winner in this sector because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happened here. A difference of 1.30 (from 2.54 to 3.84) was the most pleasant surprise, which tells us dancing therapy has a lot to do to help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hough not as much as social esteem, family esteem and school esteem were also improved after the program.
      This study has found a very positive influence of dancing behavior therapy program o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Both social relationship (trust, respect, intimacy) and self-identity score (personal, social, family, school esteem) were improved among research participants. In a nut shell, dancing behavior therapy could provide an important help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ocially and psychologically.

      (출처: RISS, http://www.riss.kr/link?id=T11937995)
      번역하기

      This study is about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social adaptation to peer group through dancing behavior therapy program. Basic assumption is that, dancing could improve self-identity and social relationship (trust, respect, & intimacy) because it...

      This study is about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social adaptation to peer group through dancing behavior therapy program. Basic assumption is that, dancing could improve self-identity and social relationship (trust, respect, & intimacy) because it helps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understand and express who they really are. Therapy program was offered to 10 out of 60 children at Multicultural Family Center at Kwang-Myung City, Kyoung-Ki Province. This 10 were chosen based on their unstable symptoms especially in the aspect of trust, confidence, and emotion. Improvement is checked by newly developed measure for this study, which includes 34 questions. T-test (SPSS 12.0)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experiment was very successful. First, the dancing therapy changed participated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social relationship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trust score went up to 3.42 from 2.98. Likewise, respect measure was improved from 3.15 to 3.65 as well. Most phenomenal difference was found at intimacy score, where children showed 3.35 point from 2.77 before the program. Dancing therapy appeared to be a quite positive stimulation to these foreign but Korean kids.
      Four sub-factors of Self-identity measure included personal esteem, social esteem, family esteem, & school esteem. All four sub-factors, however, produced significant change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too. Mean of personal esteem before the experiment ? 2.84 - was found to be up as much as 3.64. Social esteem was the winner in this sector because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happened here. A difference of 1.30 (from 2.54 to 3.84) was the most pleasant surprise, which tells us dancing therapy has a lot to do to help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hough not as much as social esteem, family esteem and school esteem were also improved after the program.
      This study has found a very positive influence of dancing behavior therapy program o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Both social relationship (trust, respect, intimacy) and self-identity score (personal, social, family, school esteem) were improved among research participants. In a nut shell, dancing behavior therapy could provide an important help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socially and psychologically.

      (출처: RISS, http://www.riss.kr/link?id=T11937995)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무용학과 2010. 2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무용학과 2010. 2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의 가설 4
      4. 연구의 제한점 5
      II. 이론적 배경 6
      1. 다문화가정 6
      1) 다문화가정의 개념 6
      2) 다문화가정의 문제점 8
      3)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점 11
      4) 다문화가정 아동과 교우관계 12
      2. 무용/동작치료의 이해 14
      1) 무용/동작치료의 개념 및 특징 14
      2) 무용/동작치료의 치료요인 19
      3) 무용치료와 아동 21
      4) 무용/동작치료의 선행연구 23
      Ⅲ. 연구방법 26
      1. 연구대상 26
      2. 연구절차 27
      3.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27
      4. 측정도구 29
      5. 자료처리 32
      Ⅳ. 결과 및 논의 33
      Ⅴ. 결론 및 제언 37
      1. 결론 37
      2. 제언 39
      참고문헌 40
      Abstract 44
      부 록 46

      (출처: RISS, http://www.riss.kr/link?id=T11937995)
      번역하기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의 가설 4 4. 연구의 제한점 5 II. 이론적 배경 6 1. 다문화가정 6 1) 다문화가정의 개념 6 2) 다문화가정의 문제점 8 ...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의 가설 4
      4. 연구의 제한점 5
      II. 이론적 배경 6
      1. 다문화가정 6
      1) 다문화가정의 개념 6
      2) 다문화가정의 문제점 8
      3)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점 11
      4) 다문화가정 아동과 교우관계 12
      2. 무용/동작치료의 이해 14
      1) 무용/동작치료의 개념 및 특징 14
      2) 무용/동작치료의 치료요인 19
      3) 무용치료와 아동 21
      4) 무용/동작치료의 선행연구 23
      Ⅲ. 연구방법 26
      1. 연구대상 26
      2. 연구절차 27
      3.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27
      4. 측정도구 29
      5. 자료처리 32
      Ⅳ. 결과 및 논의 33
      Ⅴ. 결론 및 제언 37
      1. 결론 37
      2. 제언 39
      참고문헌 40
      Abstract 44
      부 록 46

      (출처: RISS, http://www.riss.kr/link?id=T11937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