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새만금 간척지에서 토양 염농도별 동계 사료작물의 생육 및 수량 = The Growth and Yield of Winter Fodder Crops by Soil Salinities at Saemangeum Reclaimed Land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285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ultivation of winter fodder crops at Saemangeum reclaimed land, barley, rye, wheat, triticale, and oat were cultivated under the various ranges of saline soils from autumn 2009 to the spring 2011, and their growth and yi...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ultivation of winter fodder crops at Saemangeum reclaimed land, barley, rye, wheat, triticale, and oat were cultivated under the various ranges of saline soils from autumn 2009 to the spring 2011, and their growth and yields were evaluated. emergence and seedling stand rate were 84 and 79% at non-salinity soil plot, 64 to 73% at 0.2% saline soil plots, 40 to 52% at 0.3% saline soil plots, and 22 to 37% at 0.4% saline soil plot, respectively. those of rye, wheat, triticale, and barely were similar, however those of oats were relatively low. Yields of fresh and dry matter were 66 to 77% level at 0.2% saline soil plot and 30 to 61 % level at over 0.3% saline soil plots compared with the yields at non-saline soil plot. Fresh matter were high in order of rye>wheat>barely>triticale>oat. and dry matter were high in order of wheat>rye=barley>tricale>oat. Thus, considering these results, Soil salinity below 0.2% were available to cultivation of winter fodder corps and rye, wheat, barely and triticale were available crops in Saemangeum recalimed lan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헌, "우리나라 간척농지의 전작물 재배에 관한 고찰" 6 : 93-101, 2005

      2 손용만, "신간척지토양의 공간적 토양염농도 변이가 보리, 호밀 및 귀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415-422, 2009

      3 신제성, "식량 최대 생산율 위한 토양 자원이용" 145-167, 1999

      4 류순호, "새만금간척지 농업적 토지활용 방안" 2 : 68-91, 2004

      5 정진일, "동계작물 선정에 관한 시험" 호남작물시험장 647-649, 1986

      6 류철현, "간척지토양의 실무관리" 2 : 16-31, 2004

      7 이승헌, "간척지에서 토양 염류와 6개 발작물 생육과의 관계" 한국토양비료학회 36 (36): 66-71, 2003

      8 임우진, "간척지에서 질소비료 및 돈분 퇴비 시용에 따른 사탕무 (Beta vulgaris var. Aaron)의 수량 반응 해석을 위한 시비반응 모델 탐색" 한국토양비료학회 43 (43): 174-179, 2010

      9 신재순, "간척지에서 주요 여름사료작물의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4 (24): 335-340, 2004

      10 신재순, "간척지에서 주요 겨울사료작물의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5 (25): 113-116, 2005

      1 이승헌, "우리나라 간척농지의 전작물 재배에 관한 고찰" 6 : 93-101, 2005

      2 손용만, "신간척지토양의 공간적 토양염농도 변이가 보리, 호밀 및 귀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415-422, 2009

      3 신제성, "식량 최대 생산율 위한 토양 자원이용" 145-167, 1999

      4 류순호, "새만금간척지 농업적 토지활용 방안" 2 : 68-91, 2004

      5 정진일, "동계작물 선정에 관한 시험" 호남작물시험장 647-649, 1986

      6 류철현, "간척지토양의 실무관리" 2 : 16-31, 2004

      7 이승헌, "간척지에서 토양 염류와 6개 발작물 생육과의 관계" 한국토양비료학회 36 (36): 66-71, 2003

      8 임우진, "간척지에서 질소비료 및 돈분 퇴비 시용에 따른 사탕무 (Beta vulgaris var. Aaron)의 수량 반응 해석을 위한 시비반응 모델 탐색" 한국토양비료학회 43 (43): 174-179, 2010

      9 신재순, "간척지에서 주요 여름사료작물의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4 (24): 335-340, 2004

      10 신재순, "간척지에서 주요 겨울사료작물의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5 (25): 113-116, 2005

      11 김호중, "간척지 내염성 작물선발과 밭작물 재배시 염분상승 억제 방법 시험" 호남작물시험장 523-530, 1989

      12 송진달, "간척지 내염성 사료작물 선발시험" 축산시험장 61-65, 1981

      13 Son,J.G, "Soil Salt Prediction Modeling for the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for Dry Field Crops in Reclaimed Tidelands" 36 (36): 96-110, 1994

      14 Koo,J.W, "Soil Properties of Reclaimed Tidal lands of Western Sea Coast in korea" 31 (31): 120-127, 1998

      15 Lee,S.H, "Assessment of Salt Damage or Upland - Crops in Dae - Ho Reclaimed Soil" 19 (19): 358-363,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 J. Intl. Agri.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7 0.561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