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적으로 아무런 지지기반이 없는 장애인들은 지원받을 만한 자격이 있는 빈민들로 간주되어 자선 사업의 대상이 되었으며 시설에서 보호받게 되었으나, 20세기 들어서면서 가난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7669
201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 역사적으로 아무런 지지기반이 없는 장애인들은 지원받을 만한 자격이 있는 빈민들로 간주되어 자선 사업의 대상이 되었으며 시설에서 보호받게 되었으나, 20세기 들어서면서 가난이 ...
◦ 역사적으로 아무런 지지기반이 없는 장애인들은 지원받을 만한 자격이 있는 빈민들로 간주되어 자선 사업의 대상이 되었으며 시설에서 보호받게 되었으나, 20세기 들어서면서 가난이 개인의 책임과 대처가 요구되는 도덕적 결함이기보다는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사회문제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게 되면서, 장애인정책은 반차별과 같은 발상으로 대처하는 사회문제가 되었으며 장애정책을 정치적 논리와 함께 장애인의 사회 통합을 가로막는 장벽의 해체를 주장하는 장애인의 시민권 투쟁이 이어지는데, 이러한 흐름의 배경에 장애 개념의 사회적 모델이 자리하고 있음(Barnes & Mercer, 2009: 21-46).
◦ 사회적 장애모델은 장애를 이해함에 있어서 개인의 기능적 한계보다 개인들에게 제약을 가하는 사회적 환경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장애를 사회적 억압의 한 특수한 형태로 이해하는 것을 말함(김경미·김미옥, 2006).
◦ 사회모델에 입각한 장애 연구는 장애를 이처럼 사회적 억압형식으로 이해하고 해방적 관점(emancipatory disability research)을 취하고 있음. 이같은 연구는 기존의 연구자들을 압제자의 편에서 오로지 자신들의 직업적 이득과 업적을 추구할 뿐이라고 단정하며, 이들에게 '장애인들이 억압적이라고 생각하는 기술과 전문성을 계속해서 사용하고자 하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임(Oliver, 1992: 102).
◦ 대부분의 사회모델에 영향을 받은 연구방법은 참여자의 확인(validation)에 중점을 두고 있음. 실제적으로 현장에서 응답자들이 말한 자료에서 연구자가 도출한 주요 내용이 대체로 맞는지 확인받기 위해 응답자에게 자료를 다시 돌려보내기는 하나 자료의 수집과 분석의 전반적인 과정을 종합적으로 함께 하는 경우는, 시간과 에너지 혹은 비용 문제로 인하여, 매우 드물 수밖에 없음. 소규모 자문위원회를 넣어 참여연구를 시도하기는 하나,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데 연구 참여자를 연관시켜 공동 작업화를 시도하는 경우는, 방법론상의 어려움으로, 거의 없음(Barnes & Mercer, 2009: 88-91).
◦ Mercer는 다음과 같이 언급함. "자료 수집, 처리 그리고 분석과 같은 구체적인 방법의 적절성과 가치를 포함한 방법론적 이슈에 대해서 장애 연구 문헌 내부에서 특이한 침묵이 흐르고 있다."(Mercer, 2002).
◦ 연구 참여자들의 아이디어를 문장으로 받아 이를 직접 연구 참여자들이 분석하고 개념을 명명하여 해석하는 6단계로 구성된 통합방법론인 Concept mapping은 이러한 사회모델에 입각한 장애 연구의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하게 해줄 수 있을 것으로 고려됨(윤재영, 2010).
◦ 실질적으로 concept mapping은 공중보건학 분야에서 참여적 연구의 방법론으로 독특한 강점과 학문적 공헌의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Burke et al, 2005).
◦ 나아가, 사회모델의 구체적인 정책적 그리고 실천적 모델을 설계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
로 여겨짐. 이를 통해 '사회모델은 이론적 지식(level 3)과 기술적 지식(level 2)에 머물고 있으며 실제적 실행(level 1)과는 연계점을 차지 못하고 있다.'(Oliver & Sapey, 2006: 170)는 문제도 해결을 시도해볼 수 있을 것임.
1) 사전 교류
(1) 연구 주제에 대한 의견 교환: CDS(Dr. Barnes)와 CSI(Dr. Trochim)에 연구자들의 학술적 고민을 전하고 연구 주제에 대한 자료와 연수에 대한 협조를 요청함.
(2) 연구 주제에 대한 자료 교환
2) 미팅 준비
(1) 검토할 세부 주제 정리
: 연구자들이 구상하고 있는 연구 주제들을 세부적으로 나누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함.
(2) 현지 연수 일정 확정
: 두 기관에 요청한 연수 내용과 일정을 조율하여 확정하고 현지 연수에 차질이 없도록 준비함. 특히, 주요 네트워크 대상자를 확정하고 잘 파악함.
(3) 문헌 검토 및 정리
: 현지 연수에 임하기 전에 최종적으로 살펴야 할 자료를 면밀히 살피고 정리하여 현지 연수의 효과를 높이도록 함.
3) 현지 미팅
(1) 현지 연수 일정 참여
: 계획된 현지 연수 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요 네트워크 대상자들과 가능한 많은 의사소통을 이룸.
(2) 세부 주제 검토
: 미리 정한 세부 주제에 대해 일정한 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1차적인 정리를 시도함.
4) Follow up
(1) 검토한 세부 주제 정리
: 사전 준비 작업 중 선정된 세부 주제들에 대해 현지 연수를 통해 검토하고 이를 정리하는 작업을 수행함.
(2) Disability studies mtehodology 보고서 준비
: 현지 미팅과 연수를 통해 검토되고 정리한 주제들과 수집된 문헌 자료들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