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朴龍雲, "「高麗史」 選擧志 譯註" 경인문화사 2012
2 崔淑, "한국사론 33:고려시대의 형법과 형정" 2002
3 申千湜, "중앙의 교육기관" 국사편찬위원회 17 : 1994
4 김택민, "중국고대 형법" 아카넷 2002
5 김윤정, "고려전기 집권체제의 정비와 官服制의 확립" 한국중세사학회 (28) : 439-484, 2010
6 김덕수, "고려의 對중국 遊學과 制科 급제자" 인문과학연구소 (87) : 165-200, 2019
7 김용선, "고려시대의 私學과 그 입학생" 역사학회 (220) : 63-92, 2013
8 申千湜, "고려교육제도사연구" 형설출판사 1983
9 申千湜, "고려교육제도사연구" 형설출판사 1983
10 채웅석, "고려 문종대 관료의 사회적 위상과 정치운영" 27 : 1998
1 朴龍雲, "「高麗史」 選擧志 譯註" 경인문화사 2012
2 崔淑, "한국사론 33:고려시대의 형법과 형정" 2002
3 申千湜, "중앙의 교육기관" 국사편찬위원회 17 : 1994
4 김택민, "중국고대 형법" 아카넷 2002
5 김윤정, "고려전기 집권체제의 정비와 官服制의 확립" 한국중세사학회 (28) : 439-484, 2010
6 김덕수, "고려의 對중국 遊學과 制科 급제자" 인문과학연구소 (87) : 165-200, 2019
7 김용선, "고려시대의 私學과 그 입학생" 역사학회 (220) : 63-92, 2013
8 申千湜, "고려교육제도사연구" 형설출판사 1983
9 申千湜, "고려교육제도사연구" 형설출판사 1983
10 채웅석, "고려 문종대 관료의 사회적 위상과 정치운영" 27 : 1998
11 김난옥, "고려 靖宗代 入仕와 직역 승계 규정" 한국사연구회 (188) : 145-177, 2020
12 이중효, "고려 墓誌銘에서 보이는 國子監試 기록의 검토-국자감시의 성격과 관련하여-" 한국중세사학회 (50) : 285-306, 2017
13 盧明鎬, "高麗의 五服親과 親族關係 法制" 33 : 1981
14 채웅석, "高麗時代의 歸鄕刑과 充常戶刑" 9 : 1983
15 閔丙河, "高麗時代의 敎育制度-特히 國子監을 中心으로-" 2 : 1957
16 김난옥, "高麗時代 賤事·賤役良人 硏究" 신서원 2001
17 박찬수, "高麗學式에 대한 再檢討-儒學部를 중심으로-" 21 : 1991
18 박찬수, "高麗史의 學式과 九齋에 대한 小考" 역사연구소 (76) : 287-298, 2012
19 朱雄英, "高麗前期 官僚選拔體系와 儒學의 機能-王權과 관련하여-" 31 : 1986
20 박찬수, "高麗前期 國子監의 成立과 興替" 14 : 1991
21 朴天植, "高麗前期 國子監 沿革考" 6 : 1982
22 申千湜, "高麗中期 敎育理念과 國子監 運營-仁宗代의 學式을 中心으로-" 1 : 1983
23 辛虎雄, "高麗中期 國學에 관한 小考-그 構成과 敎育課程을 中心으로-" 2 : 1982
24 閔丙河, "高麗 「學式」考" 11 : 1966
25 이중효, "高麗 肅宗代 國學의 진흥" 13 : 1999
26 김병인, "高麗 睿宗代 國學振興의 推進勢力과 背景" 12 : 1998
27 이중효, "高麗 文宗代 私學의 설립과 國子監 운영" 호남사학회 19 : 121-149, 2002
28 이중효, "高麗 仁宗代 國子監운영을 둘러싼 政治勢力들의 입장" 92 : 2001
29 金塘澤, "詳定古今禮文의 편찬시기와 그 의도" 21 : 1992
30 李明植, "新羅 國學의 運營과 再編" 59 : 2000
31 李喜寬, "新羅 中代의 國學과 國學生-「三國史記」 38 國學條 學生關係規定의 再檢討-" 19 : 1998
32 김병진, "北宋 前期의 國子監 學制 -慶曆 太學의 成立과 그 관련 문제들에 대한 검토-" 중국사학회 (124) : 81-120, 2020
33 김철웅, "『詳定古今禮』의 편찬 시기와 내용" 동양학연구원 (33) : 233-253, 2003
34 이종서, "11세기 이후 금혼 범위의 변동과 그 의미" 한국사회사학회 (64) : 2-67,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