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성환, "한일 여우혼인담의 자식 연구" 한국일어일문학회 99 (99): 349-367, 2016
2 "한국구비문학대계"
3 "제왕운기"
4 조현설, "웅녀·유화 신화의 행방과 사회적 차별의 체계" 한국구비문학회 9 : 1999
5 권도경, "여우구슬의 신성탯줄(神聖臍帶) 기원과 <여우구슬 설화>의 시조신화적 성격 규명" 비교민속학회 (54) : 105-140, 2014
6 "양촌선생문집"
7 "삼국유사"
8 조동일, "민중영웅이야기" 문예출판사 1992
9 "묘향산지"
10 조현설, "동아시아 건국 신화의 역사와 논리" 지학사 2003
1 노성환, "한일 여우혼인담의 자식 연구" 한국일어일문학회 99 (99): 349-367, 2016
2 "한국구비문학대계"
3 "제왕운기"
4 조현설, "웅녀·유화 신화의 행방과 사회적 차별의 체계" 한국구비문학회 9 : 1999
5 권도경, "여우구슬의 신성탯줄(神聖臍帶) 기원과 <여우구슬 설화>의 시조신화적 성격 규명" 비교민속학회 (54) : 105-140, 2014
6 "양촌선생문집"
7 "삼국유사"
8 조동일, "민중영웅이야기" 문예출판사 1992
9 "묘향산지"
10 조현설, "동아시아 건국 신화의 역사와 논리" 지학사 2003
11 조현설, "궁예이야기의 전승양상과 의미" 한국구비문학회 2 : 1995
12 강진옥, "구전설화의 이물교혼 모티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11 : 1990
13 "고려사"
14 오세정, "고려 건국신화 <고려세계>의 서사구조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49) : 71-97, 2016
15 김인호, "강감찬과 낙성대에 대한 인식과 평가의 시대적 추이" 한국중세사학회 (60) : 81-110, 2020
16 "강감찬 학술연구 자료집-학술논문, 문헌자료, 구전자료"
17 백운용, "강감찬 전승의 지향과 그 의미 - 탄생담과 퇴치담을 중심으로" 택민국학연구원 (21) : 41-74, 2018
18 이동철, "강감찬 설화에 구현된 출생담의 양상과 의미" 실천민속학회 20 : 163-192, 2012
19 최웅, "감강찬 설화의 의미 분석"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3 : 2009
20 김종대, "姜邯贊과 安倍晴明의 출생과 성장담을 둘러싼 문화적 교류양상" 한국민속학회 36 : 2002
21 손병국, "名將과 異人으로 추앙받는 삶:강감찬 설화와 전승 양상의 의미"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6 : 1997
22 최원오, "<신묘한 구슬> 설화 유형의 구조와 의미" 한국구비문학회 1 :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