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종명, "한국 중세의 불교의례: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의미" 문학과 지성사 2001
2 채웅석, "특집:고려 중·후기 기로회(耆老會)와 개경(開京) 사대부(士大夫) 사회" 한국역사연구회 (79) : 63-102, 2011
3 이정훈, "고려후기 致仕制운영의 변화 양상과 원인" 고려사학회 (65) : 255-284, 2016
4 한정수, "고려전기 사급노인제의 실시와 노인사설의의 성립" 역사실학회 (72) : 39-70, 2020
5 김창현, "고려의 불교와 상도 개경" 신서원 2011
6 김아네스, "고려의 국가제사와 왕실의례" 景仁文化社 2019
7 안지원, "고려의 국가 불교의례와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8 한정수, "고려시대 국왕 ‘菩薩戒’와 6월 15일 受戒의 의미" 역사학회 (220) : 31-62, 2013
9 한정수, "고려시대 국가의례의 設行과 統合意識" 한국중세사학회 (55) : 319-360, 2018
10 한정수, "고려시대 老人賜設儀의 분석과 그 상징 의미" 역사교육연구회 (155) : 187-215, 2020
1 김종명, "한국 중세의 불교의례: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의미" 문학과 지성사 2001
2 채웅석, "특집:고려 중·후기 기로회(耆老會)와 개경(開京) 사대부(士大夫) 사회" 한국역사연구회 (79) : 63-102, 2011
3 이정훈, "고려후기 致仕制운영의 변화 양상과 원인" 고려사학회 (65) : 255-284, 2016
4 한정수, "고려전기 사급노인제의 실시와 노인사설의의 성립" 역사실학회 (72) : 39-70, 2020
5 김창현, "고려의 불교와 상도 개경" 신서원 2011
6 김아네스, "고려의 국가제사와 왕실의례" 景仁文化社 2019
7 안지원, "고려의 국가 불교의례와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8 한정수, "고려시대 국왕 ‘菩薩戒’와 6월 15일 受戒의 의미" 역사학회 (220) : 31-62, 2013
9 한정수, "고려시대 국가의례의 設行과 統合意識" 한국중세사학회 (55) : 319-360, 2018
10 한정수, "고려시대 老人賜設儀의 분석과 그 상징 의미" 역사교육연구회 (155) : 187-215, 2020
11 오치훈, "고려시대 海東耆老會의 성립과 ‘耆老’의 의미 변화" 역사연구소 (83) : 3-28, 2014
12 박종진, "고려시기 해동기로회(海東耆老會)의 결성과 활동" 한국역사연구회 (66) : 303-336, 2007
13 한정수, "고려 전기 養老政策의 성립과 그 정치문화적 의의" 한국사연구회 (176) : 35-68, 2017
14 김아네스, "고려 전기 老人賜設儀 설행과 정치적 의미" 대구사학회 135 : 35-75, 2019
15 이진한, "高麗前期 致仕制의 運營과 官人의 引年致仕" 민족문화연구원 (58) : 273-306,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