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화론에 나타난 동양미학 사상 연구 ― 神과 氣韻 개념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586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중국 화론에서 가장 중요한 이론인 전신론과 기운생동론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동양미학사상의 특징을 밝히려 하였다. 이 글에서는 전신과 기운생동론의 계승·발전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 과정을 관통하는 몇 가지 공통된 관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이 글에서는 전신론과 기운생동론이 함축하고 있는 동양회화미학의 특징을 서양회화미학과 대비시키면서 개괄하였다. 전신론과 기운생동론은 주객동일성이라는 관점에서 예술의 근본적인 역할과 임무는 자연과 인간의 합일을 표현하고 도모하는 일이라고 보면서 전신과 기운생동을 통해 그것을 달성하려고 하며, 그것을 미적인 가치판단의 기준이자 예술작품의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는다. 이것은 좁은 의미에서의 ‘미’를 넘어서는 ‘미와 추를 초월한 천연의 미’를 추구하는 것으로서, 회화의 목적을 대상 속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비례관계와 같은 미를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라 보는 서양회화에서 오랫동안 지배적이었던 입장과 대조를 이룬다. 다음으로 이처럼 주객이 교융하며 자연의 기운을 관조해서 제대로 표현하기 위해서 동양회화에서는 한 시점에서 자연의 외형만을 보이는 대로 그리는 서양의 초점투시법과는 다른 유동적인 투시법을 중시하였다. 또한 동양화에서는 정교한 사실적 표현보다는 주관적인 정서와 사상을 표현하는 동시에 불필요한 형은 생략하면서도 사물의 본질을 드러낼 수 있는 神似에 치중하면서 사물의 모습과 완전히 같지도 완전히 다르지도 않은 ‘不卽不離’, ‘닮지 않음의 닮음(不似之似)’을 지향하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또 전신과 기운생동을 위주로 하는 전통적인 동양화에서는 극히 개인적인 감정의 격렬한 표현은 지향하지 않았으며, 이는 근대 이후 서양에서 유행하게 된 하나의 경향, 즉 회화의 목적을 개인의 주관적 감정의 표현에 두는 경향과 대조를 이루는 것이었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중국 화론에서 가장 중요한 이론인 전신론과 기운생동론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동양미학사상의 특징을 밝히려 하였다. 이 글에서는 전신과 기운생동론...

      이 글에서는 중국 화론에서 가장 중요한 이론인 전신론과 기운생동론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동양미학사상의 특징을 밝히려 하였다. 이 글에서는 전신과 기운생동론의 계승·발전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 과정을 관통하는 몇 가지 공통된 관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이 글에서는 전신론과 기운생동론이 함축하고 있는 동양회화미학의 특징을 서양회화미학과 대비시키면서 개괄하였다. 전신론과 기운생동론은 주객동일성이라는 관점에서 예술의 근본적인 역할과 임무는 자연과 인간의 합일을 표현하고 도모하는 일이라고 보면서 전신과 기운생동을 통해 그것을 달성하려고 하며, 그것을 미적인 가치판단의 기준이자 예술작품의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는다. 이것은 좁은 의미에서의 ‘미’를 넘어서는 ‘미와 추를 초월한 천연의 미’를 추구하는 것으로서, 회화의 목적을 대상 속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비례관계와 같은 미를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라 보는 서양회화에서 오랫동안 지배적이었던 입장과 대조를 이룬다. 다음으로 이처럼 주객이 교융하며 자연의 기운을 관조해서 제대로 표현하기 위해서 동양회화에서는 한 시점에서 자연의 외형만을 보이는 대로 그리는 서양의 초점투시법과는 다른 유동적인 투시법을 중시하였다. 또한 동양화에서는 정교한 사실적 표현보다는 주관적인 정서와 사상을 표현하는 동시에 불필요한 형은 생략하면서도 사물의 본질을 드러낼 수 있는 神似에 치중하면서 사물의 모습과 완전히 같지도 완전히 다르지도 않은 ‘不卽不離’, ‘닮지 않음의 닮음(不似之似)’을 지향하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또 전신과 기운생동을 위주로 하는 전통적인 동양화에서는 극히 개인적인 감정의 격렬한 표현은 지향하지 않았으며, 이는 근대 이후 서양에서 유행하게 된 하나의 경향, 즉 회화의 목적을 개인의 주관적 감정의 표현에 두는 경향과 대조를 이루는 것이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들어가는 말
      • 2. 形神關係와 傳神論의 전개
      • 가. 형신관계
      • 나. 顧愷之의 傳神寫照論
      • 요약문
      • 1. 들어가는 말
      • 2. 形神關係와 傳神論의 전개
      • 가. 형신관계
      • 나. 顧愷之의 傳神寫照論
      • 3. 氣韻生動論의 전개와 의미
      • 가. 기운개념과 謝赫의 기운생동론
      • 나. 기운생동론의 계승과 발전
      • 4. 전신론과 기운생동론에 나타난 동양미학 사상의 특징
      • 5. 맺는 말
      • 참고문헌
      • 要約文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갈로, "중국회화이론사" 미진사 1989

      2 溫肇桐, "중국회화비평사" 미진사 1994

      3 이수경, "중국화론에 나타난 ‘기운’의 의미와 그 표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4

      4 장언원, "중국화론선집" 미술문화 2002

      5 유검화, "중국역대화론 3" 도서출판 다운샘 2004

      6 유검화, "중국역대화론 2" 도서출판 다운샘 2004

      7 유검화, "중국역대화론 1" 도서출판 다운샘 2004

      8 황지원, "중국 회화의 기운론" 계명대학 출판부 2006

      9 곽희, "임천고치" 문자향 2003

      10 장언원, "역대명화기 下" 시공사 2008

      1 갈로, "중국회화이론사" 미진사 1989

      2 溫肇桐, "중국회화비평사" 미진사 1994

      3 이수경, "중국화론에 나타난 ‘기운’의 의미와 그 표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4

      4 장언원, "중국화론선집" 미술문화 2002

      5 유검화, "중국역대화론 3" 도서출판 다운샘 2004

      6 유검화, "중국역대화론 2" 도서출판 다운샘 2004

      7 유검화, "중국역대화론 1" 도서출판 다운샘 2004

      8 황지원, "중국 회화의 기운론" 계명대학 출판부 2006

      9 곽희, "임천고치" 문자향 2003

      10 장언원, "역대명화기 下" 시공사 2008

      11 장언원, "역대명화기 上" 시공사 2008

      12 장자, "안동림 역주" 현암사 1992

      13 임두빈, "세계관으로서의 미술론" 서문당 1999

      14 진중권, "서양미술사 Ⅰ" 휴머니스트 2008

      15 E.H. 곰브리치, "서양미술사" 예경 2007

      16 동기창, "변영섭․안영길․박은화․조송식 옮김" 시공사 2004

      17 김연주, "동양회화의 寫意性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18 최병식, "동양회화미학 ― 수묵미학의 형성과 전개" 동문선 2007

      19 이종상, "동양의 기사상과 기운론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1988

      20 벤자민 로울랜드, "동서미술론" 열화당미술책방 2002

      21 金在烈, "당․송시대의 산수화론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9

      22 윤정하, "東洋畵論의 氣韻生動硏究― 중국화론에 나타난 기운생동 원리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1995

      23 안영길, "宋代畵論에 나타난 形神論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24 韓林德, "境生象外" 三聯書店 1995

      25 郭若虛, "圖畵見聞誌" 시공아트 2007

      26 葉朗, "中國美學史大綱" 滄浪出版社 1986

      27 정연복, "17세기 프랑스 색깔·데생논쟁의 쟁점과 의의" 한국불어불문학회 (83) : 545-581,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3 1.0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