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농업을 위한 연구와 개발’에 관한 심포지엄은 ASEAN 회원국, 중국, 일본 및 대한민궁이 참여하여 회원국가들의 농업기술 정보교환의 장을 제공하는 것을 근본 목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0105799
2003
Korean
520.0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95-102(8쪽)
0
※ KISS의 원문 서비스 중단에 따라, 학술지명을 클릭하여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속농업을 위한 연구와 개발’에 관한 심포지엄은 ASEAN 회원국, 중국, 일본 및 대한민궁이 참여하여 회원국가들의 농업기술 정보교환의 장을 제공하는 것을 근본 목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지속농업을 위한 연구와 개발’에 관한 심포지엄은 ASEAN 회원국, 중국, 일본 및 대한민궁이 참여하여 회원국가들의 농업기술 정보교환의 장을 제공하는 것을 근본 목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제 2차 AMAF+3 심포지엄은 ‘농업을 위한 토양과 물이용 및 보전’이란 주제로 2003년 2월 25일부터 26일까지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개최되었다. 총 11개국의 지속농업에 관한 추진 현황들이 발표되엇다.
1. 주제 발표로 일본은 “물부족과 지하수 오염 및 노동력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농업”에 대하여 한국은 “한국의 농경지 및 용수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농업”에 대하여 발표를 하였다.
2. ASEAN 각 국의 발표 내용은 브루나이의 “토양 비옥도 유지를 위한 연구와 개발”, 캄보디아의 “벼 생산성 증대를 위한 문제점”, 인도네시아의 “토양 지속성과 토지사용의 변화”, 라오스의 “지속농업을 위한 토양 비옥도 관리”. 말레이시아의 “지속농업을 위한 연구와 개발”, 미얀마의 “지속농업을 위한 연구와 개발”, 필리핀의 “토양 비옥도 보존 및 토양 관리를 위한 연구와 개발”, 싱가포르의 “지속농업 발전을 위한 연구와 개발”, 및 베트남의 “지속농업을 위한 연구개발” 등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cond AMAF+3 symposium on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ustainable agriculture was held in Phnom Penh. Cambodia on 25~26 February 2003. The basic objective of the symposium was to werve as a platform for the exchange of agricultural technology ...
The second AMAF+3 symposium on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ustainable agriculture was held in Phnom Penh. Cambodia on 25~26 February 2003. The basic objective of the symposium was to werve as a platform for the exchange of agricultural technology information among ASEAN+3 member countries. At this symposium, 11 countries were participated including Japan. Korea, and nine ASEAN member countries. As the results of the symposium, each country presented the papers entitled 'Mounting water deficits and the groundwater pollution'. 'Sustainable agriculture to solve the bottleneck of labor issues'. 'Sustainable agriculture to solve the issues of land and water in Korea',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for sustainable soil fertility management in Brunei Darussalam', 'Productivity constraints of rice production in Cambodia'. 'Land suitability and land use changes in Indonesia'. 'Soil fertility management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lowland rice in the Lao PDR', 'Research and development towards sustainable agriculture in Malaysia',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Myanmar',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oil fertility management and soil conservation in the Philippin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 Singapore to solve the bottleneck to promote sustainable agriculture', and 'Towards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agriculture in Vietnam'.
Study on Carrot Growh in the Conditions of UZBEKISTAN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4-01-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 J. Intl. Agri.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7 | 0.561 | 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