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ju is an island of myths. Different villages have different myths about the deities and shrines dedicated to them. One of those “dangsinhwa(당신화, shrine myth)” is the serpent myth. Serpent shrines can be found across the island. The serpen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076038
송화섭 (중앙대학교)
2019
Korean
Jeju Island ; serpent deity ; serpent myth ; serpent worship ; South Sea ; Ananta ; 제주도 ; 뱀신 ; 뱀신화 ; 뱀신앙 ; 남해 ; 아난따
KCI등재
학술저널
195-232(3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ju is an island of myths. Different villages have different myths about the deities and shrines dedicated to them. One of those “dangsinhwa(당신화, shrine myth)” is the serpent myth. Serpent shrines can be found across the island. The serpent...
Jeju is an island of myths. Different villages have different myths about the deities and shrines dedicated to them. One of those “dangsinhwa(당신화, shrine myth)” is the serpent myth. Serpent shrines can be found across the island. The serpents featured in Jeju’s serpent myths and serpent worship are sea serpents. Here, a sea serpent refers to a mythical serpent that originates from the sea. Jeju’s sea serpents can transform into young maidens and vice versa. Sea serpents are worshipped as “baeseonang(배서낭, guardian spirit for ships),” protectors of navigators, or ancestral deities. Coastal villages on the island have shrines dedicated to serpent deities, with the folk belief that serpent deities follow maidens around. In many of the serpent myths, serpents arrive at the island’s seashores in stone caskets. In other words, Jeju’s serpent deities originate from overseas. From a marine geographical perspective, Jeju Island is an open space that adopted the marine cultures of the North Pacific region. Jeju’s serpent myths and serpent worship came from the South Sea in Southeast Asia, and Jeju forms a part of the South Sea Cultural Sphere. The Southeast Asian China Sea includes the Indochinese Peninsula, the southern coast of China, and the sea around Jeju Island.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Indian serpent myths and serpent worship traveled north to Jeju along the sea routes of the South Sea. India’s sea serpents are Ananta and Vasuki. Ananta is a celestial serpent that serves Vishnu, and Vasuki is the protector of the Ocean of Milk. The myths and belief with regard to these two Hindi deities from the South Sea Cultural Sphere have penetrated deep into the culture of Jeju Island. Ananta arrived at Jeju Island and found its place in the serpent myths, serpent worship, and serpent shrines of the island. However, not all areas with high snake population worship serpent deities.
국문 초록 (Abstract)
제주도는 신화의 섬이다. 마을마다 다양한 당신화가 존재한다. 그 가운데 하나가 뱀신화요, 뱀신화가 깃든 뱀신당이 분포한다. 제주도 뱀신화와 뱀신앙의 주체는 바다뱀이다. 바다뱀은 바다...
제주도는 신화의 섬이다. 마을마다 다양한 당신화가 존재한다. 그 가운데 하나가 뱀신화요, 뱀신화가 깃든 뱀신당이 분포한다. 제주도 뱀신화와 뱀신앙의 주체는 바다뱀이다. 바다뱀은 바다를 배경으로 태동한 신화적인 뱀을 말한다. 제주도의 바다뱀은 젊은 처녀로 化身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처녀가 뱀으로 화신하고, 뱀이 처녀로 화신한다. 제주도의 뱀신은 선박의 배서낭으로 모셔지고 항해보호신으로 신앙되기도 하며 집안의 祖上神으로 모셔지기도 한다. 제주도 해안 마을에서는 뱀신을 모시는 신당을 갖고 있으며, 뱀신이 처녀를 따라 다닌다는 俗信이 있다. 제주도에는 뱀이 석함에 실려서 해안에 도착한다는 석함표착신화가 존재한다. 제주도의 뱀신은 바다에서 올라온 渡來神이라는 성격을 갖고 있다. 제주도는 해양지리적 여건상 북태평양에서 해양문화를 받아들일 열린 공간이다. 제주도의 뱀신화와 뱀신앙은 동남아시아 남해에서 올라왔으며, 제주도는 남해문화권에 속한다. 남해는 남인도의 남해에서 인도차이나반도, 중국의 남해안을 경유하여 제주도까지의 해역을 그 범위로 한다. 따라서 인도의 뱀신화와 뱀신앙이 南海의 바닷길을 따라 제주도까지 북상해온 것으로 보인다. 인도의 바다뱀은 아난따(Ananta)와 바수키(Vasuki)이다. 아난따는 비슈누의 보조신으로 우주적인 뱀이며, 바수키도 천년우유바다를 지키는 바다뱀이다. 남해문화권에는 힌두신 비슈누와 아난따가 분포하고 있는데, 제주도에도 비슈누(Vishnu)와 아난따의 신화와 신앙이 깊숙하게 스며있다. 제주도의 뱀신화와 뱀신앙은 아난따가 도래하여 마을당신으로 정착한 것이다. 뱀이 많다고 뱀신으로 모셔지는 것은 아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넬리제+페티카일하우어, "힌두교의 그림언어" 동문선 1983
2 정연학, "한일해양민속지-한일 문화가 교차하는 공간, 바다" 국립민속박물관 2018
3 윤명철, "한민족의 해양활동과 동아지중해" 학연문화사 2002
4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가정신앙편 2011
5 김병모, "한국 거석문화의 원류에 관한 연구(1)" 한국고고학연구회 10 (10): 1981
6 최부, "표해록" 한길사 2004
7 정운경, "탐라문견록, 바다밖의 넓은세상" 휴머니스트 2008
8 송화섭, "중국 저우산군도[舟山群島] 푸퉈산[普陀山]의 海神과 觀音信仰" 도서문화연구원 (42) : 51-78, 2013
9 秦聖麒, "제주도무속연구" 민속원 2008
10 진선희, "제주 바당 표류의 기억" 민속원 2017
1 안넬리제+페티카일하우어, "힌두교의 그림언어" 동문선 1983
2 정연학, "한일해양민속지-한일 문화가 교차하는 공간, 바다" 국립민속박물관 2018
3 윤명철, "한민족의 해양활동과 동아지중해" 학연문화사 2002
4 국립민속박물관, "한국민속신앙사전" 가정신앙편 2011
5 김병모, "한국 거석문화의 원류에 관한 연구(1)" 한국고고학연구회 10 (10): 1981
6 최부, "표해록" 한길사 2004
7 정운경, "탐라문견록, 바다밖의 넓은세상" 휴머니스트 2008
8 송화섭, "중국 저우산군도[舟山群島] 푸퉈산[普陀山]의 海神과 觀音信仰" 도서문화연구원 (42) : 51-78, 2013
9 秦聖麒, "제주도무속연구" 민속원 2008
10 진선희, "제주 바당 표류의 기억" 민속원 2017
11 하인리히 침머, "인도의 신화와 예술" 대원사 1995
12 이은구, "인도의 신화" 세창미디어 2003
13 우장문, "인도네시아 숨바섬의 고인돌" 백산학회 (87) : 323-351, 2010
14 송화섭,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의 고인돌" 인문콘텐츠학회 (4) : 2004
15 여연, "신화와 함께하는 제주 당올래" 알렙 2017
16 권덕영, "신라의 바다 황해" 일조각 2012
17 Ariel Golan, "선사시대가 남긴 세계의 모든 문양" 푸른역사 2004
18 이영권, "새로 쓰는 제주사" 휴머니스트 2005
19 김헌선, "사신숭배와 사신퇴치의 신화와 의례 : 제주도의 사례를 구실삼아"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한국무속학회 2018
20 이도학, "백제와 동남아시아 제국과의 교류" 충남역사문화연구원 7 : 2008
21 송화섭, "동아시아 해양신앙과 제주도의 영등할망· 선문대할망" 탐라문화연구원 (37) : 183-222, 2010
22 송화섭, "동아시아 줄다리기와 한국 줄다리기의 유형과 계통 연구" 한국역사민속학회 (48) : 90-132, 2015
23 양승윤, "동남아 인도문화와 인도인사회"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1
24 김성훈, "남인도인문기행" 아이필드 2013
25 김병모, "김병모의 고고학여행" 고래실 2006
26 송화섭, "韓半島 西南海岸 石舟說話의 歷史的 考察" 동아시아고대학회 (25) : 163-200, 2011
27 文武秉, "濟州道 堂信仰 연구" 濟州大學校 大學院 1994
28 秦聖麒, "濟州島巫俗論考-南國의 巫俗-" 濟州民俗硏究所 1993
29 玄容駿, "濟州島 뱀神話와 信仰 硏究" 제주대탐라문화연구소 (15) : 1995
30 秋葉隆, "朝鮮民俗誌" 명저출판 1954
31 "新增東國輿地勝覽"
32 玄容駿, "堂神話의 Motif와 基本形式堂神神話考(二)" 제주대학 국어국문학회 2 : 1964
33 秦聖麒, "南國의 神話" 아림출판사 1965
황해남로와 ‘동아지중해’ -원⋅명교체기 제주도의 해양사적 위상-
제주 탑동 공유수면 매립 반대 운동 : 유산의 재구성과 또 다른 상속의 방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9-05-1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AMLA CULTURAL INSTITUTE -> Research Institute for the Tamla Culture | ![]() |
2017-06-1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탐라문화연구소 -> 탐라문화연구원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4 | 0.62 | 0.913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