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두 가지 전제에서 시작한다. 하나는 서구 중산층 백인 남성 성서학자에 의해 주도되어온 식민주의적 성서해석에 대한 환기이고, 다른 하나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 여성신학자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63565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75-199(25쪽)
0
※ KISS의 원문 서비스 중단에 따라, 학술지명을 클릭하여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두 가지 전제에서 시작한다. 하나는 서구 중산층 백인 남성 성서학자에 의해 주도되어온 식민주의적 성서해석에 대한 환기이고, 다른 하나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 여성신학자의...
이 글은 두 가지 전제에서 시작한다. 하나는 서구 중산층 백인 남성 성서학자에 의해 주도되어온 식민주의적 성서해석에 대한 환기이고, 다른 하나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 여성신학자의 눈으로, 특히 ‘탈식민주의적 성서해석’이라는 성서비평을 주요 방법론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오늘날 한국 성서학계의 현실을 고려할 때, 실험적 성격을 띤 이 글의 학문적 성취 여부는 후자의 성공에 달려 있다. 이러한 탈식민주의적 성서해석은 성서학계에서 주류방법론으로 자리 잡은 역사비평이 저자의 의도에 집중해 그것의 해석을 통해 하나의 일관된 의미를 찾아내고자 하는 것과는 거리를 둔다. 곧, 서구의 성서해석에서 배제되고 소외된 다양한 ‘타자’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 다양한 성서해석을 시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글은 그것을 ‘여성’에 국한하여, ‘간음한 여인’(요한 7,53-8,11)이라는 성서 본문에 대해 탈식민주의 방법론인 ‘상호상황적 성서해석’을 시도한다. 곧, 성서의 역사적 상황과 한국 현실 속의 ‘윤금이 씨 사건’을 일방적인 성서의 시각이 아니라 상호적 맥락 안에 놓아서로 대화하게 함으로써 성서의 ‘과거’를 현재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그때 거기’의 말씀이 ‘지금 여기’라는 현재 우리 삶의 자리에서 재해석되어, 한여인의 강제된 죽음이 어떻게 ‘사회적 기억’으로서 하나의 ‘소리’가 되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이것이야말로 이 글이 탈식민주의 여성신학적 성서해석은 해방과 치유를 주는 유효한 방법론이라고 주장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begins to presuppose two realities: One is the fact that interpretation of the Bible has been in the hands of the Western biblical scholars, particularly white middle class men. The other is to get over it by proposing a “postcolonial int...
This paper begins to presuppose two realities: One is the fact that interpretation of the Bible has been in the hands of the Western biblical scholars, particularly white middle class men. The other is to get over it by proposing a “postcoloni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s a main methodology from a Korean women theologian’s perspective.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academic world of the biblical studies in Korea, this paper’s achievement and success seem to be up to the latter which has been rarely visited and surely be an “explosive” one. Such a postcolonial view on the Bible keeps a certain but a definite distance from historical criticism in general focusing more on an intention of the Bible authors in order to get a consistent meaning from it. In other words, the proposing postcolonial interpretation will be an effort to “listen” to various “voices from the others” who have been isolated and segregated, so that it could try to make diverse interpretation of the voices available with regard to a bible interpretation. This paper, however, limits itself to women alone. It will interprets the Bible, particularly the story of “an adultery woman” (John 7:53-8:11), through what we call a “inter(con)textu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Put it differently, it will situate the bible story and the murder case of Miss Yoon Geum-E by a US soldier in Korean soil together, so the two stories could have a dialogue each other and the past story of the Bible could reborn to a present story. By so doing, the words in the Bible in the past could be revived in “here and now” in our lives. It is so that a woman’s murder could become a “social memory” in the society as a voice rejecting a social oppression to remain a silence. That is the point this paper purport to show through such postcoloni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which will the paper argues brings a liberation and healing to people especially women in Korea and the world.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남순, "한국 탈식민주의 페미니스트 신학--그 담론적 의미와 과제" 한국신학연구소 (132) : 195-230, 2006
2 박흥순, "포스트콜로니얼 성서해석" 예영 B&P 2006
3 간디, 릴라, "포스트식민주의란 무엇인가" 현실문화연구 2000
4 강남순, "페미니즘,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탈식민주의 시대의 신학" 13 : 1996
5 수지르타라야, R. S., "탈식민주의적 성서 비평의 구도" 95 : 1996
6 이경원, "탈식민주의의 계보와 정체성" 문학과지성사 2003
7 박종성, "탈식민주의에 대한 성찰: 푸코, 파농, 사이드, 바바, 스피박" 살림 2012
8 태혜숙,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여이연 2001
9 Schüssler Fiorenza, E., "크리스찬 기원의 여성신학적 재건" 종로서적 1986
10 이연수, "초기 그리스도교 가정교회와 여성" 우리신학연구소 2014
1 강남순, "한국 탈식민주의 페미니스트 신학--그 담론적 의미와 과제" 한국신학연구소 (132) : 195-230, 2006
2 박흥순, "포스트콜로니얼 성서해석" 예영 B&P 2006
3 간디, 릴라, "포스트식민주의란 무엇인가" 현실문화연구 2000
4 강남순, "페미니즘,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탈식민주의 시대의 신학" 13 : 1996
5 수지르타라야, R. S., "탈식민주의적 성서 비평의 구도" 95 : 1996
6 이경원, "탈식민주의의 계보와 정체성" 문학과지성사 2003
7 박종성, "탈식민주의에 대한 성찰: 푸코, 파농, 사이드, 바바, 스피박" 살림 2012
8 태혜숙,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여이연 2001
9 Schüssler Fiorenza, E., "크리스찬 기원의 여성신학적 재건" 종로서적 1986
10 이연수, "초기 그리스도교 가정교회와 여성" 우리신학연구소 2014
11 김윤성, "종교와 젠더 논의의 국면 전환과 전망: 포스트구조주의와 탈식민주의의 효과를 중심으로" 8 : 2006
12 김진경, "종교간의 대화: 불교와 그리스도교의 만남" 현암사 2009
13 이영헌, "요한 복음서" 분도출판사 1996
14 왕대일, "아시아신학의 성서이해와 구약신학적 반성: R. S. Sugirtharajah의 ‘탈식민적 성서비평’을 중심으로" 13 : 1996
15 스피박, 가야트리, "다른 세상에서" 여이연 2008
16 하성수, "교부학" 분도출판사 2001
17 Kim, Jean Kyoung, "Woman and Nation: An Intercontextual Reading of the Gospel of John from a Postcolonial Feminist Perspective" Brill Academic Publishers 2004
18 Kim, Jean Kyoung, "Uncovering Her Wickedness: An Inter(con)textual Reading of Revelation 17 from a Postcolonial Feminist Perspective" 73 : 1999
19 Dube, M. W., "Toward A Post-Colonial Feminist Interpretation of the Bible" 78 : 1997
20 Thurston, B. B., "The Widow: A Women’s Ministry in the Early Church" Fortress Press 1989
21 Moloney, F. J., "The Gospel of John, SP 4" The Liturgical Press 1998
22 Brown, R. E.,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I-XII" Doubleday 1983
23 Sugirtharajah, R. S., "The Bible and the Third World: Precolonial, Colonial and Postcolonial Encount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4 Kim, Seong Hee, "Mark, Women and Empire: A Korean Postcolonial Perspective" Sheffield Phoenix Press 2010
25 Epp. E. J., "Junia: The First Woman Apostle" Fortress Press 2005
26 Klauck, H. -J., "Hausgemeinde und Hauskirche im frühen Christentum" Verlag Katholisches Bibelwerk 1981
27 Brooten, B. J., "Feminist Perspectives on Biblical Scholarship" Scholars Press 1985
28 Kwok, Pui-lan, "Elisabeth Schüssler Fiorenza and Postcolonial Studies" 25 : 2009
29 Plisch, U. -K., "Die Apostelin Junia: Das exegetische Problem in Röm 16.7 im licht von Nestle-Aland 27 und der sahidischen Überlieferung" 42 : 477-478, 1996
30 MacDonald, M. Y., "Colossiand and Ephesians" The Liturgical Press 2000
31 Sugirtharajah, R. S., "A Postcoloni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Writings" T&T Clark International 200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1-01-01 | 평가 | 탈락(기타) (계속평가) | |
2021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6 | 0.26 | 0.3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3 | 0.683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