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는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핵심주제어 중 하나로 우리의 삶에 깊숙이 침투해 있으며 오늘날 유아들의 삶 역시 다양한 맥락에서 대중문화의 영향을 받고 있다. 대중문화의 수용주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4086
-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중문화는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핵심주제어 중 하나로 우리의 삶에 깊숙이 침투해 있으며 오늘날 유아들의 삶 역시 다양한 맥락에서 대중문화의 영향을 받고 있다. 대중문화의 수용주체...
대중문화는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핵심주제어 중 하나로 우리의 삶에 깊숙이 침투해 있으며 오늘날 유아들의 삶 역시 다양한 맥락에서 대중문화의 영향을 받고 있다. 대중문화의 수용주체로서 유아들에 관해서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수동적, 무비판적인 수용자로서 개념화해온 경향이 있다. 유아미디어 연구들에서는 유아들에게 해로운 미디어 프로그램을 선별해 내어 비교 육적이고 적절하지 못한 프로그램들로부터 유아들을 보호하고자 하는 관점이 지배적이었다. 혹은 반대로 유아들에게 이로운 교육적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유아들의 발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에는 경험의 주체인 유아들이 배제됨으로써 실제 삶 속에서 지금 바로 이 시간, 바로 여기 이 공간에서 대중문화를 생생하게 체험하는 유아들의 이야기가 빠져있다. 유아들이 참여하는 활동은 유아가 자라서 받게 되는 어떠한 발달적 영향을 미치기보다 지금 바로 이 시간, 바로 여기 이 공간에서 존재하는 유아들의 실존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Corsaro, 1997). 따라서 유아들에게 대중매체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외에도 대중매체를 가지고 실제로 유아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지금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살아내는 일상세계에서 유아의 대중문화 경험양식과 또래집단 내에서의 ‘또 다른 문화’로의 창조에 관한 경험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유아들의 일상맥락에서 경험을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는 맥락으로 자유놀이시간을 관찰하고자 하였고, 따라서 장시간의 자유놀이 시간이 보장되고 연구에 적극적인 지원이 가능한 유치원 한 곳을 선정하였다. 이 중에서 연구참여 학급은 만5세 자연반으로 남아 17명 여아 17명이 있었다. 자연반 유아들 중 대부분은 등원을 빨리 마치고 9시경부터 10시 반경까지 충분한 자유선택활동을 하고 있었고 매우 활동적이며 자유분방하게 교실 내에서 움직이면서 놀이를 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주 2~3회의 관찰이 이루어져 총 33회기의 관찰이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유아들의 놀이 관찰 전사본, 교사 및 부모 면담, 유아들의 다양한 활동지 및 예술작품, 연구자일지였다. 관찰자료의 전사 작업은 총 4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교실에 직접 방문하여 관찰을 진행한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은 관찰이 끝난 후 특별한 사건이나 주의해야 할 점 등에 대해 매일 기록하고 그날 관찰한 활동 중 특별한 주제가 있었던 경우 날자별로 기록을 정리하여 자료 정리를 용이하게 하려고 노력하였다. 2단계로는 본 연구의 내용 및 목적과 전사작업에 대해 훈련을 받은 연구보조원들이 전사를 하였다. 3단계에서는 연구보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popular cultur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ow children make sense of the world and forming their sense of self,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what kind of role popular culture plays in children’s existence as children “here” in space an...
Since popular cultur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ow children make sense of the world and forming their sense of self,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what kind of role popular culture plays in children’s existence as children “here” in space and “now” in time. This study examines how young children actually understand and experience popular culture, especially as culture consumers and creators. For this investigation, thirty-four, 5-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 at the class Ja-Yeon in M kindergarten were observed 33 times,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the children were conducted, children’s art works were collected. Findings demonstrate that young children actively participated in arts activities based on their shared understandings about popular culture, which strengthen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their bond with their peer community. In addition, they actively consumed popular culture by internalizing their own image of popular culture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tastes and preferences. As culture creators, they selected, interpreted and enjoyed the contents of popular culture and they, themselves, modified and recreated the contents each time they did so.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n-depth discussion concerning how to support and guide child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