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의회선거를 통해 본 정치의 전국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234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역주의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지수를 활용하여 정치의 전국화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특정 정당이 지역적 편향성을 극복하고 전국적 수준으로 득 표를 이루어가는 ‘정당 및 정치체제의 전국화’와 특정 지역에서 개별 정당의 지지의 분포가 전국화 되는 ‘지역 및 지역체계의 전국화’가 제4대 및 제5대 지방의회선거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를 통시적으로 살펴보면서, 기초의회선거에서 새롭게 도입된 중선거구제가 정치의 전국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각 정당들의 전국화를 종합하여 평가한 정당체계의 전국화에는 중선거구제 가 별다른 기여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당의 전국화에서는 중선거구제 가 군소정당의 전국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역의 전 국화 및 지역체계의 전국화의 경우 중선거구제를 통한 전국화의 가능성을 미약하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 연구는 전국화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켜 지방의회선거에서 나타난 지역 간 지역주의의 정도를 경험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지역 간 지역주의 정도 의 경우 동일 권역 내의 정당지지율의 분포는 상당히 유사했고, 예상했던 대로 영호남 간의 정치적 지지의 이질성은 선명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의 논의 및 분석 차원과는 차이가 있고, 지역주의의 일정 측면만을 측정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지만, 기존의 연구가 도외시했던 지수화 작업을 통해 지역주의 의 강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지역주의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지수를 활용하여 정치의 전국화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특정 정당이 지역적 편향성을 극복하고 전국적 수준으로 득 표를 이루어가는 ‘...

      이 연구는 지역주의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지수를 활용하여 정치의 전국화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특정 정당이 지역적 편향성을 극복하고 전국적 수준으로 득 표를 이루어가는 ‘정당 및 정치체제의 전국화’와 특정 지역에서 개별 정당의 지지의 분포가 전국화 되는 ‘지역 및 지역체계의 전국화’가 제4대 및 제5대 지방의회선거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를 통시적으로 살펴보면서, 기초의회선거에서 새롭게 도입된 중선거구제가 정치의 전국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각 정당들의 전국화를 종합하여 평가한 정당체계의 전국화에는 중선거구제 가 별다른 기여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당의 전국화에서는 중선거구제 가 군소정당의 전국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역의 전 국화 및 지역체계의 전국화의 경우 중선거구제를 통한 전국화의 가능성을 미약하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 연구는 전국화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켜 지방의회선거에서 나타난 지역 간 지역주의의 정도를 경험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지역 간 지역주의 정도 의 경우 동일 권역 내의 정당지지율의 분포는 상당히 유사했고, 예상했던 대로 영호남 간의 정치적 지지의 이질성은 선명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의 논의 및 분석 차원과는 차이가 있고, 지역주의의 일정 측면만을 측정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지만, 기존의 연구가 도외시했던 지수화 작업을 통해 지역주의 의 강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명세, "지역주의 정치와 한국정당체제의 재편?" 4 (4): 249-270, 2005

      2 강명세, "제19대 총선: 불평등한 선거제도와 전국적 정당체제의 도전" 세종연구소 18 (18): 5-27, 2012

      3 정준표, "정당 전국화지수를 통해 본 국회의원선거: 제17대~제19대 총선을 중심으로" 1-18, 2012

      4 박상훈, "만들어진 현실" 후마니타스 2009

      5 Schattschneider, E. E., "The Semi-Sovereign People: A Realist's View of Democracy in America" Rinehart and Winston 1960

      6 Rokkan, S., "The Politics of Territorial Identity: Studies of European Regionalism" Sage 1982

      7 Caramani, D., "The Nationalization of Politics: The Formation of National Electorates and Party Systems in Western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8 Tieman, G., "The Nationalization of Political Parties and Party Systems in Post-Communist Eastern Europe" 30 (30): 1-13, 2012

      9 Kasuya, Y., "The Nationalization of Party Systems : Conceptual Issues and Alternative District-Focused Measures" 27 (27): 126-135, 2008

      10 Jones, M. P., "The Nationalization of Parties and Party Systems : An Empirical Measure and an Application to the Americas" 9 (9): 139-166, 2003

      1 강명세, "지역주의 정치와 한국정당체제의 재편?" 4 (4): 249-270, 2005

      2 강명세, "제19대 총선: 불평등한 선거제도와 전국적 정당체제의 도전" 세종연구소 18 (18): 5-27, 2012

      3 정준표, "정당 전국화지수를 통해 본 국회의원선거: 제17대~제19대 총선을 중심으로" 1-18, 2012

      4 박상훈, "만들어진 현실" 후마니타스 2009

      5 Schattschneider, E. E., "The Semi-Sovereign People: A Realist's View of Democracy in America" Rinehart and Winston 1960

      6 Rokkan, S., "The Politics of Territorial Identity: Studies of European Regionalism" Sage 1982

      7 Caramani, D., "The Nationalization of Politics: The Formation of National Electorates and Party Systems in Western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8 Tieman, G., "The Nationalization of Political Parties and Party Systems in Post-Communist Eastern Europe" 30 (30): 1-13, 2012

      9 Kasuya, Y., "The Nationalization of Party Systems : Conceptual Issues and Alternative District-Focused Measures" 27 (27): 126-135, 2008

      10 Jones, M. P., "The Nationalization of Parties and Party Systems : An Empirical Measure and an Application to the Americas" 9 (9): 139-166, 2003

      11 Lago, I., "The Nationalisation of Party Systems Revisited: A New Measure Based on Parties' Entry Decisions, Electoral Results, and District Magnitude" 2010

      12 Chhibber, P., "The Formation of National Party Systems: Federalism and Party Competition in Canada, Great Britain, India, and the United Stat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4

      13 Morgenstern, S., "Party Nationalization and Institutions" 71 (71): 1322-1341, 2009

      14 Bochsler, D., "Measuring Party Nationalisation : A New Gini-Based Indicator that Corrects for the Number of Units" 29 (29): 155-168, 2010

      15 Koppel, M., "Measuring Disproportionality, Volatility, and Malapportionment : Axiomatization and Solutions" 33 : 281-286, 2009

      16 Taagepera R., "Mapping the Indices of Seats-Votes Disproportionality and Inter-Election Volatility" 9 (9): 659-677, 2003

      17 Cox, G. W., "Electoral Rules and Electoral Coordination" 2 : 145-161, 1999

      18 Monroe, B. L., "Disproportionality and Malapportionment : Measuring Electoral Inequity" 13 : 132-149, 1994

      19 Harbers, I., "Decentr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Nationalized Party Systems in New Democracies : Evidence from Latin America" 43 (43): 606-627, 2010

      20 Lipset, S., "Cleavage Structures, Party Systems, and Voter Alignments: An Introduction, In Party System and Voter Alignments: Cross-national Perspectives" The Free Press 1967

      21 Rokkan, S., "Citizens, Elections, Parties" Universitetsforlage 19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3-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5 0.904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