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와 해외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국내 장․단기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국내 경제정책불확실성이 장기와 단기의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13620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789-1808(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와 해외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국내 장․단기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국내 경제정책불확실성이 장기와 단기의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본 연구는 국내와 해외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국내 장․단기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국내 경제정책불확실성이 장기와 단기의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해외 경제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국내 경제정책 불확실성의 비율로 구성한 상대적 불확실성을 이용하였다. 해외 경제정책 불확실성으로 일본, 중국, 미국을 고려하였다. 또한 주성분분석을 통해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을 한국 고유 요인과 주변국과의 공통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은 장기와 단기 국채 수익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경제정책 불확실성 중 한국의 고유 요인은 단기 국채 수익률을 유의하게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본, 중국, 미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은 한국의 단기 국채 수익률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대적 경제정책 불확실성을 이용한 경우, 한국의 경제정책 불확실성이 중국보다 상대적으로 커질 때 한국의 단기 국채수익률이 상승하였다. 이는 경제정책 불확실성을 국가 고유 요인과 공통 요인으로 구별해야 불확실성이 국채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Korean and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Korean short-term and long-term government bond yield. First of all, the effect of domestic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short-term and long-term government bond yie...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Korean and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Korean short-term and long-term government bond yield. First of all, the effect of domestic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short-term and long-term government bond yields was analyzed, and then relative policy uncertainty, which was constructed as a ratio of Korea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to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used. Japa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ere considered for foreig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 addition,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Kore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divided into Korea-specific factors and common factors with Japan, China and US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ng-term and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s. Second, Korea's unique factor i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s. Third, the economic policy uncertainties of Japan, China, and the US have been shown to increase Korea's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s. Fourth, in case of analyzing the effect of relative economic policy uncertainty, Korea's short-term government bond yield rises when Korea'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relatively greater than China's. This implies that the impact of uncertainty on government bond yields can be clearly understood only wh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distinguished as a country-specific factor and a common factor.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영 ; 서윤규, "중국경제정책 불확실성의 장기국채 수익률에 대한 영향 분석" 한중사회과학학회 18 (18): 197-215, 2020
2 Kyoung Sun Park, "정책불확실성과 미국 국채 수요: 투자자 유형별 분석" 한국국제경영학회 27 (27): 87-110, 2016
3 강유덕, "유로존 위기와 유럽 국채금리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유럽학회 33 (33): 57-99, 2015
4 이진희 ; 송철종, "실질실효환율과 노동생산성의 국가 간 상호연계성 분석: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연구학회 38 (38): 95-124, 2020
5 임성훈 ; 박영준, "블록 외생성 VAR 모형을 통한 한·중·미 주식 수익률 전이효과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4 (14): 2111-2123, 2012
6 정대성, "변동성전이지수를 이용한 한국금융시장의 전이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1241-1253, 2020
7 권도근 ; 정용국, "미국 국채 수익률곡선 및한․미 거시경제변수의 변화가한국 국채 수익률곡선에 미치는 영향:거시경제변수를 포함한2국가 Dynamic Nelson and Siegel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금융학회 33 (33): 29-80, 2019
8 서지용, "경제정책의 불확실성과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 행위" 한국자료분석학회 23 (23): 2173-2186, 2021
9 이순희 ; 강한길, "거시경제변수를 이용한한국 국채 초과수익률 분석" 한국금융학회 33 (33): 61-79, 2019
10 김부권 ; 최기홍 ; 윤성민, "거시경제변수, 글로벌 경제불확실성, 심리지수가 한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GARCH-MIDAS 모형을 이용한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23 (23): 1699-1715, 2021
1 이기영 ; 서윤규, "중국경제정책 불확실성의 장기국채 수익률에 대한 영향 분석" 한중사회과학학회 18 (18): 197-215, 2020
2 Kyoung Sun Park, "정책불확실성과 미국 국채 수요: 투자자 유형별 분석" 한국국제경영학회 27 (27): 87-110, 2016
3 강유덕, "유로존 위기와 유럽 국채금리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유럽학회 33 (33): 57-99, 2015
4 이진희 ; 송철종, "실질실효환율과 노동생산성의 국가 간 상호연계성 분석: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연구학회 38 (38): 95-124, 2020
5 임성훈 ; 박영준, "블록 외생성 VAR 모형을 통한 한·중·미 주식 수익률 전이효과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4 (14): 2111-2123, 2012
6 정대성, "변동성전이지수를 이용한 한국금융시장의 전이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1241-1253, 2020
7 권도근 ; 정용국, "미국 국채 수익률곡선 및한․미 거시경제변수의 변화가한국 국채 수익률곡선에 미치는 영향:거시경제변수를 포함한2국가 Dynamic Nelson and Siegel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금융학회 33 (33): 29-80, 2019
8 서지용, "경제정책의 불확실성과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 행위" 한국자료분석학회 23 (23): 2173-2186, 2021
9 이순희 ; 강한길, "거시경제변수를 이용한한국 국채 초과수익률 분석" 한국금융학회 33 (33): 61-79, 2019
10 김부권 ; 최기홍 ; 윤성민, "거시경제변수, 글로벌 경제불확실성, 심리지수가 한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GARCH-MIDAS 모형을 이용한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23 (23): 1699-1715, 2021
11 Diebold, F. X., "The macroeconomy and the yield curve : a dynamic latent factor approach" 131 (131): 309-338, 2006
12 Akram, T., "The long-run determinants of Indian government bond yields" 36 (36): 168-205, 2019
13 Gong, Y., "The impact of EPU spillovers on the bond market volatility: Global evidence" 55 : 103931-, 2023
14 Balcilar, M., "Role of global, regional, and advancedmarket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bond spreads in emerging markets" 102 : 105576-, 2021
15 Arbatli, E., "Policy Uncertainty in Japan, The Economic Challenges of Japan's Aging and Shrinking Population"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9
16 Nelson, C. R., "Parsimonious modeling of yield curves" 473-489, 1987
17 Baker, S. R., "Measuring Economic Policy Uncertainty" 131 (131): 1593-1636, 2016
18 박원주 ; 임병인 ; 전용일, "Macro-finance 모형을 이용한 국고채 수익률 추정 및 예측" 한국경제연구학회 31 (31): 187-210, 2013
19 Huang, T., "International political risk and government bond pricing" 55 : 393-405, 2015
20 강상훈 ; 윤성민, "Impact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n Volatility Spillover between U.S. and Asia-Pacific Stock Markets"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1187-1195, 2017
21 Gruber, J. W., "Fiscal positions and government bond yields in OECD countries" 44 (44): 1563-1587, 2012
22 Jubinski, D., "Equity volatility, bond yields, and yield spreads" 32 (32): 480-503, 2012
23 Leippold, M.,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the Yield Curve" 26 (26): 751-797, 2022
24 Ioannidis, C.,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Bond Risk Premia" 53 (53): 1479-1522, 2021
25 강상훈, "Dynamic Spillover across Uncertainty, Financial and Commodity Markets"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2285-2294, 2020
26 강상훈 ; 고희운 ; 윤성민, "Dynamic Return and Volatility Spillovers in Five Asian CDS Markets"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583-594, 2016
27 Fleming, J. M., "Domestic Financial Policies under Fixed and under Floating Exchange Rates (Politiques finacierieures interieures avec un systeme de taux de change fixe et avec un systeme de taux de changefluctuant)(Politica financiera interna bajo sistemas de tipos de cambio fijos o de tipos de cambio fluctuantes)" International Monetary Fund 369-380, 1962
28 Mundell, R. A., "Capital mobility and stabilization policy under fixed and flexible exchange rates" 29 (29): 475-485, 1963
29 Greenwood, R., "Bond supply and excess bond returns" 27 (27): 663-713, 2014
30 Cochrane, J. H., "Bond risk premia" 95 (95): 138-160, 2005
31 Newey, W. K., "A simple, positive semi-definite, heterosk edasticity and autocorrelationconsistent covariance matrix" 55 (55): 703-708, 1987
Vector Generalized Additive Models for Extreme Rainfall Data Analysis: A case study in South Korea
기계학습을 이용한 스마트 공장 자료의 불량 분류 모형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