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민주의 질서와 농토의 상동성 혹은 거리 - 농민 형상으로 다시 본 김유정소설의 의미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35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김유정 소설의 농민형상은 먹을 것을 생산하는 직접적인 생산재와 이를 위한 구체적인 노동의 대상으로 땅을 대하던 농민의 삶이 심각한 위기에 몰렸음을 보여준다. 식민지배의 수탈구조를 내면화한 지주소작제도의 모순이 ‘농토’의 사용가치를 생산하는 주체로 자기규정을 하던 농민의 전통적인 존재 조건을 붕괴시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의 ‘농토’에 대한 감각과인식은 여전히 생산수단으로서의 ‘땅’, 그리고 점유와 경작의 가치를 중시하는 전통적인 태도를 고수한다. 그리고 농토의 사용가치를 바탕으로 유지되던 마을 공동체가 붕괴되는 과정에서도 농민적 소유를 물적 토대로 운영되었던 가족의 형태를 존속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양상은 소유권을 중심으로 하는 식민지적 근대의 수탈 구조를 부정하면서 한편으로는점유와 경작이라는 농민적 권리가 지닌 근원적 가치를 환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 할 수있다. 김유정 소설의 농민 형상은 식민지 지배 질서의 수탈 구조에 대응하는 현실비판의 의미를 선명하게 유지하면서 농민의 삶이 몰락하는 물적 토대의 변화와 생활인으로서의 농민의역동적인 모습 또한 생생하게 보여줌으로써 좀 더 근원적인 농토의 생래적 가치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번역하기

      김유정 소설의 농민형상은 먹을 것을 생산하는 직접적인 생산재와 이를 위한 구체적인 노동의 대상으로 땅을 대하던 농민의 삶이 심각한 위기에 몰렸음을 보여준다. 식민지배의 수탈구조를...

      김유정 소설의 농민형상은 먹을 것을 생산하는 직접적인 생산재와 이를 위한 구체적인 노동의 대상으로 땅을 대하던 농민의 삶이 심각한 위기에 몰렸음을 보여준다. 식민지배의 수탈구조를 내면화한 지주소작제도의 모순이 ‘농토’의 사용가치를 생산하는 주체로 자기규정을 하던 농민의 전통적인 존재 조건을 붕괴시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의 ‘농토’에 대한 감각과인식은 여전히 생산수단으로서의 ‘땅’, 그리고 점유와 경작의 가치를 중시하는 전통적인 태도를 고수한다. 그리고 농토의 사용가치를 바탕으로 유지되던 마을 공동체가 붕괴되는 과정에서도 농민적 소유를 물적 토대로 운영되었던 가족의 형태를 존속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양상은 소유권을 중심으로 하는 식민지적 근대의 수탈 구조를 부정하면서 한편으로는점유와 경작이라는 농민적 권리가 지닌 근원적 가치를 환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 할 수있다. 김유정 소설의 농민 형상은 식민지 지배 질서의 수탈 구조에 대응하는 현실비판의 의미를 선명하게 유지하면서 농민의 삶이 몰락하는 물적 토대의 변화와 생활인으로서의 농민의역동적인 모습 또한 생생하게 보여줌으로써 좀 더 근원적인 농토의 생래적 가치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armers portrayed in Kim Yujeong's novel shows that contradiction of landowner & tenant farming system that internalized Japanese colonial exploitation put direction production of food, farmers' attitude toward farmland, and life based on farming in serious danger. Traditional notion in which the value of 'farmland' is for self-definition is collapsing in the process; however the perception and recognition on 'farmland' still takes traditional stance that respects 'land' as the means of production and the value of owning and farming. Such attitude may be seen in an attempt to continue a form of a family based on physical farming ownership even when a community is collapsing. It refuses the modern colonial exploitation by ownership yet redefines the original value that farming rights for owning and farming. Therefore the image of farmers in Kim's novel clearly maintains the significance of criticism of reality that corresponds to the colonial order and exploitation while showing dynamic image of farmers as well as change of physical foundation as the life of farmers collapses to consider more original inherent value of farmland.
      번역하기

      Farmers portrayed in Kim Yujeong's novel shows that contradiction of landowner & tenant farming system that internalized Japanese colonial exploitation put direction production of food, farmers' attitude toward farmland, and life based on farming in s...

      Farmers portrayed in Kim Yujeong's novel shows that contradiction of landowner & tenant farming system that internalized Japanese colonial exploitation put direction production of food, farmers' attitude toward farmland, and life based on farming in serious danger. Traditional notion in which the value of 'farmland' is for self-definition is collapsing in the process; however the perception and recognition on 'farmland' still takes traditional stance that respects 'land' as the means of production and the value of owning and farming. Such attitude may be seen in an attempt to continue a form of a family based on physical farming ownership even when a community is collapsing. It refuses the modern colonial exploitation by ownership yet redefines the original value that farming rights for owning and farming. Therefore the image of farmers in Kim's novel clearly maintains the significance of criticism of reality that corresponds to the colonial order and exploitation while showing dynamic image of farmers as well as change of physical foundation as the life of farmers collapses to consider more original inherent value of farmla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당대 ‘현실’로서 농민의 삶과 ‘땅’의 문제
      • 2. 농토의 박탈과 농사꾼의 몰락
      • 3. 식민 수탈구조와 농민적 권리
      • 4. 공동체의 붕괴와 경제단위로서의 가족
      • 국문요약
      • 1. 당대 ‘현실’로서 농민의 삶과 ‘땅’의 문제
      • 2. 농토의 박탈과 농사꾼의 몰락
      • 3. 식민 수탈구조와 농민적 권리
      • 4. 공동체의 붕괴와 경제단위로서의 가족
      • 5. 현실비판과 전통적 가치의 분화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남현, "한국현대소설사 2" 문학과 지성사 2012

      2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 "한국현대소설사" 삼지원 1999

      3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1992

      4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2

      5 김유정탄생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한국의 웃음문화" 소명출판 2008

      6 이재선, "한국소설사" 민음사 2000

      7 김무진, "한국 전통사회의 의사소통체계와 마을문화"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8 황보영조, "토지, 정치, 전쟁-1930년대 에스파냐의 토지개혁" 삼천리 2014

      9 헨리 조지, "진보와 빈곤" 비봉출판사 1997

      10 하정일, "지역·내부 디아스포라·사회주의적 상상력 : 김유정 문학에 관한 세 개의 단상(斷想)" 민족문학사학회 47 (47): 84-106, 2011

      1 조남현, "한국현대소설사 2" 문학과 지성사 2012

      2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 "한국현대소설사" 삼지원 1999

      3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 성문각 1992

      4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2

      5 김유정탄생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한국의 웃음문화" 소명출판 2008

      6 이재선, "한국소설사" 민음사 2000

      7 김무진, "한국 전통사회의 의사소통체계와 마을문화"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8 황보영조, "토지, 정치, 전쟁-1930년대 에스파냐의 토지개혁" 삼천리 2014

      9 헨리 조지, "진보와 빈곤" 비봉출판사 1997

      10 하정일, "지역·내부 디아스포라·사회주의적 상상력 : 김유정 문학에 관한 세 개의 단상(斷想)" 민족문학사학회 47 (47): 84-106, 2011

      11 이경, "자본주의보다 먼저 온 실패의 예후와 대안적 윤리" 인문학연구소 73 : 490-524, 2013

      12 이송순, "일제하 전시 농업정책과 농촌 경제" 선인 2008

      13 이윤갑,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소작정책 연구" 지식산업사 2013

      14 전신재, "원본 김유정 전집" 도서출판 강 2007

      15 미셀 푸코, "안전, 영토, 인구" 난장 2011

      16 안미영, "아이러니스트의 봄의 수사학–김유정 소설 연구–" 한국근대문학회 28 (28): 301-331, 2013

      17 김미영, "병상(病床)의 문학, 김유정 소설에 형상화된 육체적 존재로서의 인간" 인문학연구원 71 (71): 45-79, 2014

      18 김화경, "모더니티가 구성한 농촌과 고향-김유정 ‘농촌소설’ 재론-" 한국현대소설학회 39 (39): 205-224, 2008

      19 손광식, "김유정의 소설에서 ‘유랑’과 ‘정착’의 관계를 해석하는 문제" 국제어문학회 16 : 1995

      20 김유정학회, "김유정의 귀환" 소명출판 2012

      21 홍순애, "김유정 소설의 半가족주의와 ‘家’ 형성·존속의 이데올로기" 인문과학연구소 (43) : 433-465, 2015

      22 권채린, "김유정 문학에 나타난 자연 공간의 담론화 양상 연구" 국제한인문학회 1 (1): 5-17, 2010

      23 김준현, "김유정 단편의 ‘반半소유’ 모티프와 1930년대 식민 수탈 구조의 형상화" 한국현대소설학회 (28) : 143-163, 2005

      24 조두섭, "김유정 농민 소설의 타자의 존재 방식과 주체 구성의 전략" 문예미학회 9 : 2002

      25 손종업, "金裕貞의 소설과 植民地 근대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8 (28): 2000

      26 김양선, "1930년대 소설과 식민지 무의식의 한 양상-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향토의 발견과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10) : 146-171,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1 0.80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