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국 고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특징과 고교학점제에 주는 시사점: Key Stage 4와 Sixth Form을 중심으로 = Features of England’s High School Curriculum and Implications for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Focusing on Key Stage 4 and Sixth 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72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국 고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특징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고교학점제 정책 구현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국은 중등교육 이후 2년의 후기중등교...

      본 연구는 영국 고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특징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고교학점제 정책 구현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국은 중등교육 이후 2년의 후기중등교육을 거쳐 고등교육으로 진입하도록 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Key Stage 4와 Sixth Form을 중심으로 관련 문헌들을 분석하고, 영국 현지의 일반계 고교들, 종합대학교, 외부시험 출제 및 채점 기관을 방문하여 조사와 자료 수집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영국의 중등교육은 필수교과 이수에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두고 있지만 후기중 등교육에 이르러서는 온전한 학생 선택 교육과정이 운영된다. 학교는 다양하게 많은 수의 과목을 개설하지는 않았지만 진학계열의 과목뿐만 아니라 직업계열의 과목도 개설하여 학생의 필요와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고 있으며, 학생은 학업 능력 및 진로 희망에 따른 소수의 과목을 선택하고 2년간 심도 있는 학습을 한다. 또한 학생의 교육과정 이수와 외부평가인 GCSE와 A-level은 중등-후기중등-고등 교육을 연계하여 고교교육이 대학준비교육 또는 취업준비교육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교사의 A-level 예견서는 대입에 조건부 등급으로 활용되며, 학생 개인별 시간표 운영에 따라 발생하는 공강은 교육과정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독립된 학습이나 보충학습 시간으로 활용하고 별도의 직원을 두어 관리하는 등 우리나라 고교학점제에 있어 고려해 보아야 할 특징들이 적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택과목에 대한 심화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고교 교육과정 개선, 교육과정 다양화를 통한 직업교육 기회 확대, 교사별 학생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 확보, 교육과정적 관점에서의 공강 시간의 성격 규정, 중등과 고등 교육 연계를 위한 학제적 검토를 주요 시사점으로 제시하고 논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England’s high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this end, we analyze relevant documents focusing on Key Stage 4 and Sixth Form, and visi...

      This study aims to examine England’s high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this end, we analyze relevant documents focusing on Key Stage 4 and Sixth Form, and visited general high schools, a university, and an examination board in England. Secondary education in England comprises a relatively large proportion of the compulsory subjects, but post-secondary education features a full elective curriculum. Although schools do not offer a large variety of subjects, Sixth Form students choose a small number of subjects and study them extensively for two years. In addition, GCSE and A-levels link secondary, post-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and high school education functions as university preparatory education or career readiness education. Teachers’ predicted A-level grade reports are used for university admissions and time between classes is devoted to independent study or supplementary learning, managed by the school staff. Finally, the primary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improving the high school curriculum to enable in-depth learning, expanding vocational education opportunities, enhancing the reliability and fairness of teachers’ assessments, organizing time between classes, and reviewing school systems for linking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these are discussed furth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예지, "한국, 영국, 뉴질랜드, 일본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 비교" 한국비교교육학회 24 (24): 181-201, 2014

      2 김진숙, "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3 손찬희, "학생 맞춤형 선택학습 실현을 위한고등학교 학점제 도입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4 이광우, "캘리포니아 주 고등학교의 학점제 기반 교과목 이수 체제 고찰" 한국비교교육학회 28 (28): 4-49, 2018

      5 임유나, "캐나다 온타리오 주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학점제 기반 교육과정 재구조화에 주는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77-406, 2019

      6 이광우, "지능정보사회 대응을 위한 중장기고교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 학습자 중심 고교학점제 실행 방향 및 과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7 한혜정, "일반고 직업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질적 연구: 산업정보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22): 117-145, 2019

      8 김천홍, "영국과 한국 교사의 학생평가 체제 비교 분석" 교육연구소 23 (23): 211-237, 2017

      9 곽병선, "미래형 교육과정 방향 및 실행체제 개발 조사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10 김혜영,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6 (56): 245-277, 2018

      1 허예지, "한국, 영국, 뉴질랜드, 일본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 비교" 한국비교교육학회 24 (24): 181-201, 2014

      2 김진숙, "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3 손찬희, "학생 맞춤형 선택학습 실현을 위한고등학교 학점제 도입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7

      4 이광우, "캘리포니아 주 고등학교의 학점제 기반 교과목 이수 체제 고찰" 한국비교교육학회 28 (28): 4-49, 2018

      5 임유나, "캐나다 온타리오 주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학점제 기반 교육과정 재구조화에 주는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77-406, 2019

      6 이광우, "지능정보사회 대응을 위한 중장기고교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 학습자 중심 고교학점제 실행 방향 및 과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7 한혜정, "일반고 직업교육 운영 실태에 대한 질적 연구: 산업정보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22): 117-145, 2019

      8 김천홍, "영국과 한국 교사의 학생평가 체제 비교 분석" 교육연구소 23 (23): 211-237, 2017

      9 곽병선, "미래형 교육과정 방향 및 실행체제 개발 조사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10 김혜영,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6 (56): 245-277, 2018

      11 소경희,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인문교육과 직업교육 통합의 필요성과 가능성 탐색 :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47-68, 2008

      12 김대영, "고교학점제에 대한 국제비교 연구" 안암교육학회 25 (25): 1-27, 2019

      13 교육부,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 계획(안)"

      14 임광국, "고교학점제 운영의 해외사례 : 미국, 독일,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40 : 166-215, 2017

      15 이광우, "고교학점제 실행 기반 구축 연구: 수업시수, 학교 밖 학습경험, 조기졸업 및 재이수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16 교육부, "고교서열화 해소 및 일반고 역량 강화 방안"

      17 홍후조, "고교 학점제 도입의 문제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99-724, 2018

      18 Department for Education, "What is the English Baccalaureate(EBacc)?"

      19 Ofqual, "The reforms"

      20 Department for Education,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Key stages 3 and 4framework document"

      21 Department for Education, "Secondary accountability measures"

      22 Department for Education, "Introduction of T Levels"

      23 홍후조, "IB DP의 특징에 기반한 진학계 고등학교 교과목 재구조화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29-56, 2019

      24 Department for Education, "GCSE factsheet for employers, FE and HE providers"

      25 Joint Council for Qualifications, "GCE A-level trends: Summer 2019"

      26 Assessment and Qualifications Alliance, "Briefing for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7 교육부,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방안 및 고교교육 혁신방향"

      28 BBC, "10 charts on what happens after GCS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1 2.81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5 2.69 3.561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