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세철학의 ‘자아의식’과 ‘내면성’에 관한 이해 그리고 근·현대철학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년차 연구-중세의 대표적인 두 철학자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혼에 대한 비교 이해는 중세철학의 인간관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차원에서 중요하다. 두 철학자에게 공통되는 점은 감각인식에서 인식의 주체는영혼-지성혼이라는 점이다. 차이점은 전자는 영혼과 육체를 서로 구별되는 다른 존재라고 본데 비해 후자는 영혼과 육체는 서로 분리될 수 없게 결합된 하나라고 본 점이다. 이러한 차이점은 진리 인식의 방법론에 있어서 결정적인 차이점을 유발한다. 전자에게 있어서는, 영혼은 육체와 분리되어 있어서 육체적인 것으로부터 정신적인 것을 추상할 수 없기에, 진리를 판단할 때는 신이 비추어주는 빛으로부터 판단하며, 후자는 진리를 인식하는 근거를 지성이 육체적인 것으로부터 추상작용을 통해 스스로 산출한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사유는 각자 영혼을 이해하는 방식에서도 달리 적용되는데 아우구스티누스는 등급을 달리하는 지성혼의 기능을 사유, 지성, 오성, 이성, 정신 등으로 마치 독립된 부분들처럼 구별하고 있지만, 토마스 아퀴나스는 지성이라는 하나이지만 이 하나인 지성-영혼-이 가지는 다양한 기능에 따라 중개지성, 능동지성, 수동지성, 가능지성, 사변지성, 실천지성 등으로 구별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에게는 영혼이 가지는 신과의 관계가 중시되며 후자에게 있어 보다 중요한 것은-조명이아니라- 숙고와 올바른 사유이다. 전자로부터 우리는 인간정신이 가진 신비주의적 면모를 후자에게서는 지성의 활동의 창조적 면모를 발견할 수가 있다.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두 사상을 통해서 인간은 올바로 사유하기만 한다면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는 중세의 긍정적 인간관을 발견할 수 있다. 나아가 ‘인간(영혼)이 신성한 조명의 세계에로 열려 있다는 것’과 ‘인간은 이성을 통해 보편적인 앎의 세계에로 무한히 나아갈 수 있다는 사유’를 통해서 ‘인간은 자신보다 더 큰 세계를 향하고 있다’는 중세특유의 사유를 이해할 수 있다. 2년차 연구 : 인간존재를 고찰하는 일반적인 관점은 인간을 영혼-정신-과 육체-질료-로 구분하여 두 존재로 보는 이원론적인 관점과 이 둘을 하나의 실체로 보는 일원론적인 관점이다. 하지만 현대의 실존주의에서는 내면성의 개념이 인간을 이해하는 중요한 한 개념으로 부각되고 있는데, 사실상 이 내면성의 개념은 중세철학에서도 진지하게 고려된 바가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에서 내면성의 개념은 인간적 삶의 한 가운데서 일종의 체험의 고백 형식으로 제시하고 있다. 반면 토마스 아퀴나스는 존재의 구조에 대한 형이상학적 분석을 통해서 ‘내면성’의 개념을 말해주고 있다. 두 철학자에게서 공통되는 내면성의 개념은 神이 존재하는 모든 것을 받쳐주고 있는 토대라는 차원에서 이해되는 내적인 것-형이상학적 지반-이다. 반면 유사하나 차이를 가지고 있는 점은 보다 본질적인 것이 덜 본질적인 것에 대해 내적인 것이라는 관점에서이며, 분명한 차이점을 나타내 보이고 있는 곳은 관계성 혹은 열림에 대한 내면성의 역할 혹은 의미에서 이다. 전자는 인간실존의 공허를 채워주는 내면의 풍요 즉 사상이나 가치관 등 정신적인 것-자아-을 또한 내면성의 의미로 이해하는데, 이는 관계성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 반면 후자에게 있어서는 관계성을 통해 내면성이 형성되기 보다는 인간이
      번역하기

      1년차 연구-중세의 대표적인 두 철학자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혼에 대한 비교 이해는 중세철학의 인간관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차원에서 중요하다...

      1년차 연구-중세의 대표적인 두 철학자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영혼에 대한 비교 이해는 중세철학의 인간관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차원에서 중요하다. 두 철학자에게 공통되는 점은 감각인식에서 인식의 주체는영혼-지성혼이라는 점이다. 차이점은 전자는 영혼과 육체를 서로 구별되는 다른 존재라고 본데 비해 후자는 영혼과 육체는 서로 분리될 수 없게 결합된 하나라고 본 점이다. 이러한 차이점은 진리 인식의 방법론에 있어서 결정적인 차이점을 유발한다. 전자에게 있어서는, 영혼은 육체와 분리되어 있어서 육체적인 것으로부터 정신적인 것을 추상할 수 없기에, 진리를 판단할 때는 신이 비추어주는 빛으로부터 판단하며, 후자는 진리를 인식하는 근거를 지성이 육체적인 것으로부터 추상작용을 통해 스스로 산출한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사유는 각자 영혼을 이해하는 방식에서도 달리 적용되는데 아우구스티누스는 등급을 달리하는 지성혼의 기능을 사유, 지성, 오성, 이성, 정신 등으로 마치 독립된 부분들처럼 구별하고 있지만, 토마스 아퀴나스는 지성이라는 하나이지만 이 하나인 지성-영혼-이 가지는 다양한 기능에 따라 중개지성, 능동지성, 수동지성, 가능지성, 사변지성, 실천지성 등으로 구별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에게는 영혼이 가지는 신과의 관계가 중시되며 후자에게 있어 보다 중요한 것은-조명이아니라- 숙고와 올바른 사유이다. 전자로부터 우리는 인간정신이 가진 신비주의적 면모를 후자에게서는 지성의 활동의 창조적 면모를 발견할 수가 있다.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두 사상을 통해서 인간은 올바로 사유하기만 한다면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는 중세의 긍정적 인간관을 발견할 수 있다. 나아가 ‘인간(영혼)이 신성한 조명의 세계에로 열려 있다는 것’과 ‘인간은 이성을 통해 보편적인 앎의 세계에로 무한히 나아갈 수 있다는 사유’를 통해서 ‘인간은 자신보다 더 큰 세계를 향하고 있다’는 중세특유의 사유를 이해할 수 있다. 2년차 연구 : 인간존재를 고찰하는 일반적인 관점은 인간을 영혼-정신-과 육체-질료-로 구분하여 두 존재로 보는 이원론적인 관점과 이 둘을 하나의 실체로 보는 일원론적인 관점이다. 하지만 현대의 실존주의에서는 내면성의 개념이 인간을 이해하는 중요한 한 개념으로 부각되고 있는데, 사실상 이 내면성의 개념은 중세철학에서도 진지하게 고려된 바가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에서 내면성의 개념은 인간적 삶의 한 가운데서 일종의 체험의 고백 형식으로 제시하고 있다. 반면 토마스 아퀴나스는 존재의 구조에 대한 형이상학적 분석을 통해서 ‘내면성’의 개념을 말해주고 있다. 두 철학자에게서 공통되는 내면성의 개념은 神이 존재하는 모든 것을 받쳐주고 있는 토대라는 차원에서 이해되는 내적인 것-형이상학적 지반-이다. 반면 유사하나 차이를 가지고 있는 점은 보다 본질적인 것이 덜 본질적인 것에 대해 내적인 것이라는 관점에서이며, 분명한 차이점을 나타내 보이고 있는 곳은 관계성 혹은 열림에 대한 내면성의 역할 혹은 의미에서 이다. 전자는 인간실존의 공허를 채워주는 내면의 풍요 즉 사상이나 가치관 등 정신적인 것-자아-을 또한 내면성의 의미로 이해하는데, 이는 관계성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 반면 후자에게 있어서는 관계성을 통해 내면성이 형성되기 보다는 인간이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Recherche : Pour l'homme en tant qu'?tre pensant, la connaissance de son intelligence comme sujet de penser est tr?s important. La recherche sur la th?orie de l'?me intellectuelle chez deux philosophes St. Augustin et St. Thomas qui sont les plus repr?sentatifs de la philosophie au moyen-?ge est important, au point de vue d'avoir un fondement de l'?tude de homme dans la philosophie m?di?vale. La diff?rence ontologique entre eux, c'est que pour St. Augustin l'?me et le corps sont diff?rents au niveau de l'hierarche ontologique, tandis que pour St. Thomas l'?me et le corps constituent une et seule substance humaine qui sont ins?parablement unies. Notre recherche analyse les id?es chez eux ainsi : de la perception sensorielle, de la perception de la v?rit?, le critaire du jugement de la v?rit? etc. Et distingue les point de vus diff?rents chez eux. Par l? nous d?fnissons les notions concernant l'?me intellectuelle qui est sujet pensant de l'homme : mens, intellectus, intellegentia, ratio, spiritus pour st. Augustin et intellectus agentis, intellectus in actu, intellectus passiva, intellectus possiblis, intellectus in actu, intellectus in habitu, intellectus speculativa, intellectus pratica pour st. Thomas. Par le permier nous pouvons comprendre la c?t? mystique de l'?tre humain, et par le seconde la c?t? cr?ative de l'intellect humain. Nous pouvons v?rifier par eux la pens?e m?di?vale : l'homme est ouvert ? un monde plus grand comme le monde de l'illumination diviene. Et encore il a une horizon de l'intellect qui peut aller infiniment vers la connaissance universelle.
      2? Recherche : Le point de vue g?n?ral pour comprendre l'?tre humain c'est de regarder l'homme comme la composition de l'?me(esprit) et du corps(mati?re) soit par le monisme soit par le dualisme. Mais dans l'existentialisme la notion de 'l'int?riorit?' est tr?s importante pour comprendre l'homme. Or la notion de l'int?riorit? est trait?e aussi s?rieusement chez les philosophes au moyen-?ge. Dans notre recherche nous traitons la signification de la notion de l'int?riorit? chez St. Augustin et chez St. Thomas. La signification exactememt la m?me chez eux, c'est que Dieu(Esse) en tnat que fondement de tout ce qui existe est l'int?riorit? de tout ?tre. Dans ce sens l? la notion de l'int?riorit? est celle du profondeur comme fondement ontologique. Notre recherche analyse et distingue la notion de l'int?riorit? chez eux, et par celles-ci nous comprenons un point de vue tr?s important pour copmprendre l'homme et le monde. C'est-?-dire pour comprendre les questions ainsi : comment l'homme qui est reatif peut avoir la reation avec Dieu qui est absolu, comment le monde constitu? des ?l?ments divers puet ?tre une unit? organique et comment l'homme qui poss?de les limites peut ?tre ouvert aux autres et au monde plus grand etc.
      번역하기

      1? Recherche : Pour l'homme en tant qu'?tre pensant, la connaissance de son intelligence comme sujet de penser est tr?s important. La recherche sur la th?orie de l'?me intellectuelle chez deux philosophes St. Augustin et St. Thomas qui sont ...

      1? Recherche : Pour l'homme en tant qu'?tre pensant, la connaissance de son intelligence comme sujet de penser est tr?s important. La recherche sur la th?orie de l'?me intellectuelle chez deux philosophes St. Augustin et St. Thomas qui sont les plus repr?sentatifs de la philosophie au moyen-?ge est important, au point de vue d'avoir un fondement de l'?tude de homme dans la philosophie m?di?vale. La diff?rence ontologique entre eux, c'est que pour St. Augustin l'?me et le corps sont diff?rents au niveau de l'hierarche ontologique, tandis que pour St. Thomas l'?me et le corps constituent une et seule substance humaine qui sont ins?parablement unies. Notre recherche analyse les id?es chez eux ainsi : de la perception sensorielle, de la perception de la v?rit?, le critaire du jugement de la v?rit? etc. Et distingue les point de vus diff?rents chez eux. Par l? nous d?fnissons les notions concernant l'?me intellectuelle qui est sujet pensant de l'homme : mens, intellectus, intellegentia, ratio, spiritus pour st. Augustin et intellectus agentis, intellectus in actu, intellectus passiva, intellectus possiblis, intellectus in actu, intellectus in habitu, intellectus speculativa, intellectus pratica pour st. Thomas. Par le permier nous pouvons comprendre la c?t? mystique de l'?tre humain, et par le seconde la c?t? cr?ative de l'intellect humain. Nous pouvons v?rifier par eux la pens?e m?di?vale : l'homme est ouvert ? un monde plus grand comme le monde de l'illumination diviene. Et encore il a une horizon de l'intellect qui peut aller infiniment vers la connaissance universelle.
      2? Recherche : Le point de vue g?n?ral pour comprendre l'?tre humain c'est de regarder l'homme comme la composition de l'?me(esprit) et du corps(mati?re) soit par le monisme soit par le dualisme. Mais dans l'existentialisme la notion de 'l'int?riorit?' est tr?s importante pour comprendre l'homme. Or la notion de l'int?riorit? est trait?e aussi s?rieusement chez les philosophes au moyen-?ge. Dans notre recherche nous traitons la signification de la notion de l'int?riorit? chez St. Augustin et chez St. Thomas. La signification exactememt la m?me chez eux, c'est que Dieu(Esse) en tnat que fondement de tout ce qui existe est l'int?riorit? de tout ?tre. Dans ce sens l? la notion de l'int?riorit? est celle du profondeur comme fondement ontologique. Notre recherche analyse et distingue la notion de l'int?riorit? chez eux, et par celles-ci nous comprenons un point de vue tr?s important pour copmprendre l'homme et le monde. C'est-?-dire pour comprendre les questions ainsi : comment l'homme qui est reatif peut avoir la reation avec Dieu qui est absolu, comment le monde constitu? des ?l?ments divers puet ?tre une unit? organique et comment l'homme qui poss?de les limites peut ?tre ouvert aux autres et au monde plus grand etc.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