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농약·유기재배 사과원에서 교미교란제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방제 = Management of Grapholita molesta and Carposina sasakii Using Mating Disruption in Non-Chemical or Organic Apple Orchar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811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방제를 위해 교미교란제 MD-IKR (Isomate-KR)과 MD-CR (Confuser-R)의 효과를 무농약 유기재배 사과원에서 평가하였고 관행방제 사과원과 비교하였다. 2011년 칠곡지역의 복숭아순나방에 대한 두 종의 교미교란제에 대한 교미저해율은 99.8%였고, 상대적으로 청송지역의 교미저해율이 각각 99.8과 92.8%로 칠곡지역과 차이가 있었다. 2012년 칠곡지역의 교미저해율은 각각 92.4와 96.7%였다. 청송지역에서 교미저해율은 99.6%로 가장 높은 교미저해율을 보였다. 2011년 2012년의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한 교미저해율은 두 교미교란제 모두 100%로 높게 나타났다. 두 교미교란제는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이 방제효과에 대하여 무방제구 대비 방제효과가 월등하였고, 관행방제와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 없이 방제효과가 대등하였다. 두 종의 교미교란제와 관행재배구의 새순과 과실피해율은 무방제구 대비 유의성있는 방제효과를 보였다. 두 종의 교미교란제 간에는 효력의 차이가 없어 MD-IKR이 MD-CR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방제를 위해 교미교란제 MD-IKR (Isomate-KR)과 MD-CR (Confuser-R)의 효과를 무농약 유기재배 사과원에서 평가하였고 관행방제 사과원과 비교하였다. 2011년 칠곡지...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방제를 위해 교미교란제 MD-IKR (Isomate-KR)과 MD-CR (Confuser-R)의 효과를 무농약 유기재배 사과원에서 평가하였고 관행방제 사과원과 비교하였다. 2011년 칠곡지역의 복숭아순나방에 대한 두 종의 교미교란제에 대한 교미저해율은 99.8%였고, 상대적으로 청송지역의 교미저해율이 각각 99.8과 92.8%로 칠곡지역과 차이가 있었다. 2012년 칠곡지역의 교미저해율은 각각 92.4와 96.7%였다. 청송지역에서 교미저해율은 99.6%로 가장 높은 교미저해율을 보였다. 2011년 2012년의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한 교미저해율은 두 교미교란제 모두 100%로 높게 나타났다. 두 교미교란제는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이 방제효과에 대하여 무방제구 대비 방제효과가 월등하였고, 관행방제와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 없이 방제효과가 대등하였다. 두 종의 교미교란제와 관행재배구의 새순과 과실피해율은 무방제구 대비 유의성있는 방제효과를 보였다. 두 종의 교미교란제 간에는 효력의 차이가 없어 MD-IKR이 MD-CR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icacy of mating disruptors MD-IKR (Isomate-KR) and MD-CR (Confuser-R) for controlling Grapholita molesta (Busck) and Carposina sasakii (Matsumura) was evaluated in non-chemical or organic apple orchards. For G. molesta, the efficacy of MD-IKR and MD-CR in Chilgok was 99.8 and 99.8% (2011) and 92.4 and 96.7% (2012), respectively, showing different mating reduction values. The efficacy of MD-IKR and MD-CR in Cheongsong was 99.1 and 92.8% (2011) and 99.6 and 99.6% (2012), respectively. For C. sasakii, the efficacy of MD-IKR and MD-CR was 100% at Chilgok and Cheongsong in 2011 and 2012. Evaluation of the shooting and fruit damage rates showed that the efficacy of the mating disruptors in controlling G. molesta and C. sasakii was better than that of the non-contro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ntrol difference between using the mating disruptors and the conventional control. No difference in the efficacy of the two mating disruptors was observed. We believe that MD-IKR could be an alternative to MD-CR.
      번역하기

      The efficacy of mating disruptors MD-IKR (Isomate-KR) and MD-CR (Confuser-R) for controlling Grapholita molesta (Busck) and Carposina sasakii (Matsumura) was evaluated in non-chemical or organic apple orchards. For G. molesta, the efficacy of MD-IKR a...

      The efficacy of mating disruptors MD-IKR (Isomate-KR) and MD-CR (Confuser-R) for controlling Grapholita molesta (Busck) and Carposina sasakii (Matsumura) was evaluated in non-chemical or organic apple orchards. For G. molesta, the efficacy of MD-IKR and MD-CR in Chilgok was 99.8 and 99.8% (2011) and 92.4 and 96.7% (2012), respectively, showing different mating reduction values. The efficacy of MD-IKR and MD-CR in Cheongsong was 99.1 and 92.8% (2011) and 99.6 and 99.6% (2012), respectively. For C. sasakii, the efficacy of MD-IKR and MD-CR was 100% at Chilgok and Cheongsong in 2011 and 2012. Evaluation of the shooting and fruit damage rates showed that the efficacy of the mating disruptors in controlling G. molesta and C. sasakii was better than that of the non-contro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ntrol difference between using the mating disruptors and the conventional control. No difference in the efficacy of the two mating disruptors was observed. We believe that MD-IKR could be an alternative to MD-C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경희, "최근 경북지역 사과원에서 잎말이나방과 해충 발생동향" 한국응용곤충학회 43 (43): 189-194, 2004

      2 정성채, "재배환경이 상이한 사과원에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교미교란제 처리에 의한 기주 피해 억제 효과 비교" 한국응용곤충학회 47 (47): 51-57, 2008

      3 정선아, "자두과원에서 성페로몬을 이용한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 패턴" 한국응용곤충학회 51 (51): 449-459, 2012

      4 정성채, "야외 월동세대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에 대한 교미교란제의 효과" 한국응용곤충학회 45 (45): 235-240, 2006

      5 김용균, "성페로몬과 RAPD 분자지표를 이용한 사과 재배지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발생 모니터링과 집단 이동 분석"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211-219, 2009

      6 최경희, "사과원의 새로운 해충,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417-421, 2009

      7 이순원, "사과원의 문제 병해충과 관리 실태" 한국원예학회 25 (25): 196-203, 2007

      8 최경희, "사과 주산지 사과원에서 2종 심식나방류의 발생동향" 한국응용곤충학회 47 (47): 17-22, 2008

      9 조영식, "배과원에서 교미교란제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 발생소장과 방제" 한국응용곤충학회 49 (49): 139-144, 2010

      10 최경희, "무농약 유기재배 사과원의 병해충 발생과 관리 실태" 한국유기농업학회 18 (18): 221-232, 2010

      1 최경희, "최근 경북지역 사과원에서 잎말이나방과 해충 발생동향" 한국응용곤충학회 43 (43): 189-194, 2004

      2 정성채, "재배환경이 상이한 사과원에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교미교란제 처리에 의한 기주 피해 억제 효과 비교" 한국응용곤충학회 47 (47): 51-57, 2008

      3 정선아, "자두과원에서 성페로몬을 이용한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순나방붙이,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 패턴" 한국응용곤충학회 51 (51): 449-459, 2012

      4 정성채, "야외 월동세대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에 대한 교미교란제의 효과" 한국응용곤충학회 45 (45): 235-240, 2006

      5 김용균, "성페로몬과 RAPD 분자지표를 이용한 사과 재배지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발생 모니터링과 집단 이동 분석"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211-219, 2009

      6 최경희, "사과원의 새로운 해충,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417-421, 2009

      7 이순원, "사과원의 문제 병해충과 관리 실태" 한국원예학회 25 (25): 196-203, 2007

      8 최경희, "사과 주산지 사과원에서 2종 심식나방류의 발생동향" 한국응용곤충학회 47 (47): 17-22, 2008

      9 조영식, "배과원에서 교미교란제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 발생소장과 방제" 한국응용곤충학회 49 (49): 139-144, 2010

      10 최경희, "무농약 유기재배 사과원의 병해충 발생과 관리 실태" 한국유기농업학회 18 (18): 221-232, 2010

      11 김용균, "먹이트랩을 이용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의과 검정" 한국응용곤충학회 46 (46): 269-274, 2007

      12 김용균, "먹이트랩과 교미교란제 테두리처리를 통한 복숭아순나방 (Grapholita molesta (Busck)) 교미교란 상승효과" 한국응용곤충학회 49 (49): 31-36, 2010

      13 김용균, "두 가지 상용 교미교란제의 야외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 수컷 유인교란 효과비교" 한국농약과학회 11 (11): 46-51, 2007

      14 김용균, "국내 배과원에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과 유사종 복숭아순나방의 페로몬 트랩 교차 유인" 한국응용곤충학회 51 (51): 479-484, 2012

      15 Boo, K. S., "Variation in sex pheromone composition of a few selected lepidoptera species" 1 : 17-23, 1998

      16 Rothschild, G., "Tortricid pests:their biology, natural enemies and control" Elsevier 389-412, 1991

      17 Lee, S. W., "Studies on the developments of the overwintering peach fruit moth, Carposina niponensis Walsingham" 23 : 42-48, 1984

      18 Boo, K. S., "Studies in developing basic techniques for an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for apple insect pests" RDA 151-152, 1995

      19 Sakagami, Y., "Remove from marked records recent advances in fruit tree pest managements with pheromones in Japan" 34 : 17-42, 2000

      20 Baker, T. C., "Pheromones:function and use in insect control" Elsevier 407-459, 2005

      21 Brunner, J. F., "Organic management of codling moth with pheromones, Entrust and CM virus" 45-46, 2005

      22 Yoshizawa, E., "Occurrence of Grapholita dimorpha in Nagano apple orchards" 62 : 556-559, 2008

      23 Il’ichev, A. L., "Mating disruption barriers in pome fruit for improved control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Lep., Tortricidae) in stone fruit under mating disruption" 128 : 126-132, 2004

      24 ChangYeolYang, "Control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Lepidoptera: Tortricidae) by Mating Disruption with Sex Pheromone in Pear Orchards" 한국응용곤충학회 6 (6): 97-104, 2003

      25 Carde, R. T., "Control of moth pests by mating disruption: Successes and constraints" 40 : 559-585, 1995

      26 Howell, J. F., "Control of codling moth in apple and pear with sex pheromone-mediated mating disruption" 85 : 918-925, 1992

      27 Rice, R. E., "Behavior-modifying chemicals for insect management" Dekker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1 0.4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