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참나무과 식물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591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참나무류 6종의 부위별 항균력을 검색한 결과, 참나무류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력은 그람양성 세균과 음성 세균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음성균인 E. coli O157:H7이나 S. typhimurium보다 그람양성균인 B. cereus, L. monocytogenes, S. aureus균에 대하여 더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효모와 곰팡이에 대해서는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수종별 항균활성은 갈참, 떡갈 신갈나무 에탄올 추출물이 졸참, 상수리, 굴참나무 에탄올 추출물보다 더 강하였으며, 부위별로는 잎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수피와 목질부는 유사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6종의 부위별 참나무수종 중에서 갈참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B. cereus ATCC 9634와 L. monocytogenes ATCC 19111에서는 500 ㎍/mL에서, E. coli O157:H7는 1 ㎎/mL의 농도에서 생육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번역하기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참나무류 6종의 부위별 항균력을 검색한 결과, 참나무류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력은 그람양성 세균과 음성 세균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참나무류 6종의 부위별 항균력을 검색한 결과, 참나무류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력은 그람양성 세균과 음성 세균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음성균인 E. coli O157:H7이나 S. typhimurium보다 그람양성균인 B. cereus, L. monocytogenes, S. aureus균에 대하여 더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효모와 곰팡이에 대해서는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수종별 항균활성은 갈참, 떡갈 신갈나무 에탄올 추출물이 졸참, 상수리, 굴참나무 에탄올 추출물보다 더 강하였으며, 부위별로는 잎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수피와 목질부는 유사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6종의 부위별 참나무수종 중에서 갈참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B. cereus ATCC 9634와 L. monocytogenes ATCC 19111에서는 500 ㎍/mL에서, E. coli O157:H7는 1 ㎎/mL의 농도에서 생육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leaf, bark and xylem of 6 kinds of Quercus spp. against food borne disease bacteria. All of the samples tested showed the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food borne disease bacteria.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was more sensitive than gram negative bacteria such as Salmonella typhimurium and Escerichia coli O157:H7, but no antimicrobial activity was observed against yeast and molds. Based on antimicrobial activity for kinds of Quercus spp.,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Quercus aliena Blume, Quercus mongolica Fisch, and Quercus dentata Thunb were stronger than those of Quercus variebilis Blume, Quercus serrata Thunb, and Quercus acutissima Carruth. In the meantime, the ethanol extract of Quercus spp. leaves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compared to that of bark and xylem. Especially, the ethanol extract of Quercus aliena Blume leaf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foodborne disease bacteria among 6 kinds of Quercus spp.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leaf, bark and xylem of 6 kinds of Quercus spp. against food borne disease bacteria. All of the samples tested showed the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food borne disease bacteria. Baci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leaf, bark and xylem of 6 kinds of Quercus spp. against food borne disease bacteria. All of the samples tested showed the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food borne disease bacteria.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was more sensitive than gram negative bacteria such as Salmonella typhimurium and Escerichia coli O157:H7, but no antimicrobial activity was observed against yeast and molds. Based on antimicrobial activity for kinds of Quercus spp.,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Quercus aliena Blume, Quercus mongolica Fisch, and Quercus dentata Thunb were stronger than those of Quercus variebilis Blume, Quercus serrata Thunb, and Quercus acutissima Carruth. In the meantime, the ethanol extract of Quercus spp. leaves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compared to that of bark and xylem. Especially, the ethanol extract of Quercus aliena Blume leaf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foodborne disease bacteria among 6 kinds of Quercus sp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Volatile sulfides of the amazonian garlic bush" 1009-1010, 1984

      2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ed hydroxyanu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59-52 63, 1975

      3 "The phenolic extractines in southern red oak" 149-154, 1989

      4 "The forest of Korea" Kyohak Press Inc -20, 1996

      5 "The biochemical role of tree extractives" 5-11, 1994

      6 "Screen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s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1991200-204

      7 "Safety considerations for new generation refrigerated foods" 5-10, 1988

      8 "Preliminary estimates of costs of foodborne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595-601, 1989

      9 "Isolation of a bacterial inhibitor from green olives" 856-860, 1969

      10 "Introduction of Fores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cademic Press Inc -29, 1994

      1 "Volatile sulfides of the amazonian garlic bush" 1009-1010, 1984

      2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ed hydroxyanu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59-52 63, 1975

      3 "The phenolic extractines in southern red oak" 149-154, 1989

      4 "The forest of Korea" Kyohak Press Inc -20, 1996

      5 "The biochemical role of tree extractives" 5-11, 1994

      6 "Screen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s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1991200-204

      7 "Safety considerations for new generation refrigerated foods" 5-10, 1988

      8 "Preliminary estimates of costs of foodborne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595-601, 1989

      9 "Isolation of a bacterial inhibitor from green olives" 856-860, 1969

      10 "Introduction of Forestr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cademic Press Inc -29, 1994

      11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a leaf as natural food preservative" 243-249, 2001

      12 "Control of L monocytogenes in food processing environments" 491-493, 1990

      13 "Comparison between antifungal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everal strains of Epicoccum purpurascens form Mediterranean area" 83-115 88, 1991

      14 "Citric acid and antimicrobial affect microbiological stability and quality of tomato juice" 130-134, 1994

      15 "Antimicrobials occurring naturally in foods" 134-142, 1989

      16 "Antimicrobial substance in leek" 604-608, 1996

      17 "Antimicrobial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and their fractionates for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205-211, 1991

      18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Quercus mongolia leaf" 338-343, 2001

      1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Quercus mongolia spp leaf ethanol extract against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s" 415-420,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