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멜라토닌이 생쥐 소낭 세포 재생과 아포토시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The Effect of Melatonin on Mouse Jejunal Crypt Cell Survival and Apopto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948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 멜라토닌의 방사선 장애 방어 효과와 기전을 밝혀 방사선 치료제로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68 마리의 생쥐를 방사선량과 멜라토닌 투약 여부에 따라 28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방사선량은 0, 8, 10, 12, 14, 16, 18 Gy를 조사하고 소낭의 생존 곡선을 보기 위하여 Withers와 Elkind의 방법을 이용한 microcolony
      survival assay를 시행하였고 아포토시스를 보기 위하여 TUNEL assay를 시행하였다.
      결 과 : 멜라토닌의 방사선 장애 방어 효과는 전 선량군에서 확인되었고 특히 고선량군에서 방어 효과가 많은 차이를 보였다. Apoptosis index는 8 Gy 방사선 조사 후 대조군에서 18.4%, 멜라토닌 투여군에서 16.5%이었고 18 Gy 방사선 조사 후 대조군에서 17.2%, 멜라토닌 투여군에서 15.4%로 나타나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멜라토닌은 생쥐 소장의 소낭 세포에서 방사선 장애 방어 효과를 나타냈으나 이의 기전은 아포토시스 억제효과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번역하기

      목 적 : 멜라토닌의 방사선 장애 방어 효과와 기전을 밝혀 방사선 치료제로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68 마리의 생쥐를 방사선량과 멜라토닌 투약 여부에 따라 28개 군으...

      목 적 : 멜라토닌의 방사선 장애 방어 효과와 기전을 밝혀 방사선 치료제로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68 마리의 생쥐를 방사선량과 멜라토닌 투약 여부에 따라 28개 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방사선량은 0, 8, 10, 12, 14, 16, 18 Gy를 조사하고 소낭의 생존 곡선을 보기 위하여 Withers와 Elkind의 방법을 이용한 microcolony
      survival assay를 시행하였고 아포토시스를 보기 위하여 TUNEL assay를 시행하였다.
      결 과 : 멜라토닌의 방사선 장애 방어 효과는 전 선량군에서 확인되었고 특히 고선량군에서 방어 효과가 많은 차이를 보였다. Apoptosis index는 8 Gy 방사선 조사 후 대조군에서 18.4%, 멜라토닌 투여군에서 16.5%이었고 18 Gy 방사선 조사 후 대조군에서 17.2%, 멜라토닌 투여군에서 15.4%로 나타나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멜라토닌은 생쥐 소장의 소낭 세포에서 방사선 장애 방어 효과를 나타냈으나 이의 기전은 아포토시스 억제효과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protective mechanism of melatonin against radiation damage and its relationship with apoptosis in mouse jejunum.
      Materials and Methods : 168 mice were divided into 28 groups according to radiation dose and melatonin treatment. To analysis crypt survival, microcolony survival assay was done according to Withers and Elkind's method. To analysis apoptosis, TUNEL assay was done according to Labet-Moleur's method.
      Result : Radiation protection effect of melatonin was demonstrated by crypt survival assay and its effect was stronger in high radiation dose area. Apoptosis index with 8 Gy irradiation was 18.4% in control group and 16.5% in melatonin treated group. After 18 Gy, apoptosis index was 17.2% in control group and 15.4% in melatonin treated group. Apoptosis index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latonin treated group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Melatonin shows clear protective effect in mouse jejunum against radiation damage but its protective effect seems not to be related with apoptosis protection effect.
      번역하기

      Purpose :To evaluate protective mechanism of melatonin against radiation damage and its relationship with apoptosis in mouse jejunum. Materials and Methods : 168 mice were divided into 28 groups according to radiation dose and melatonin treatment. To...

      Purpose :To evaluate protective mechanism of melatonin against radiation damage and its relationship with apoptosis in mouse jejunum.
      Materials and Methods : 168 mice were divided into 28 groups according to radiation dose and melatonin treatment. To analysis crypt survival, microcolony survival assay was done according to Withers and Elkind's method. To analysis apoptosis, TUNEL assay was done according to Labet-Moleur's method.
      Result : Radiation protection effect of melatonin was demonstrated by crypt survival assay and its effect was stronger in high radiation dose area. Apoptosis index with 8 Gy irradiation was 18.4% in control group and 16.5% in melatonin treated group. After 18 Gy, apoptosis index was 17.2% in control group and 15.4% in melatonin treated group. Apoptosis index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latonin treated group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Melatonin shows clear protective effect in mouse jejunum against radiation damage but its protective effect seems not to be related with apoptosis protection effe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