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보존적 방법으로 고에너지 손상에 의한 다발성 손상에서 발생된 쇄골 간부 골절을 치료하는 것이 저에너지 손상에 의한 쇄골 간부 단독 골절에서 만큼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0141648
2004
Korean
쇄골 ; 쇄골 골절 ; 다발성 손상 ; 보존적 치료 ; 성인 ; Clavicle ; Clavicular fracure ; Multiple injury ; Supportive Treatment ; Adult
514.22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33-337(5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보존적 방법으로 고에너지 손상에 의한 다발성 손상에서 발생된 쇄골 간부 골절을 치료하는 것이 저에너지 손상에 의한 쇄골 간부 단독 골절에서 만큼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목적 : 보존적 방법으로 고에너지 손상에 의한 다발성 손상에서 발생된 쇄골 간부 골절을 치료하는 것이 저에너지 손상에 의한 쇄골 간부 단독 골절에서 만큼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쇄골간부 단독 골절과 쇄골 간부 골절을 포함한 다발성 손상으로 진단받고 쇄골 골절에 대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성인 환자들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쇄골 간부 단독 골절만 있는 경우가 12례, 다발성 손상에서 쇄골 간부 골절이 동반된 경우가 36례였다. 골절 정도에 따라 단순 전위만 있는 골절을 A형(단순 방사선 사진상 골절면의 접촉 비율이 50% 이상인 경우를 A1, 50% 미만인 경우를 A2), 그리고 분쇄 골절을 B형으로 분류하여 단독 골절군과 다발성 손상군에서의 골유합 시기, 불유합 비율, 임상적 결과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 쇄골 간부 단독 골절군에서 골절 양상은 A1형 7례, A2형 4례 그리고 B형이 1례였고, 다발성 골절군에서는 A1형 8례, A2형 16례 그리고 B형이 12례였다, 쇄골 단독 골절군 12례 중 1례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였고, 11례는 평균 2.91개월에 골유합 소견이 나타났다. 쇄골 골절을 포함한 다발성 손상군에서는 36례 중 7례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였고, 29례는 평균 3.58개월에 골유합 소견이 나타났다. 임상적 결과는 우수 이상인 경우가 쇄골 단독 골절군에서 8례 (67%), 다발성 손상군에서 19례 (53%)였다. 추후 불유합으로 수술을 시행한 8례 모두 골유합 소견을 보였다.
결론 : 쇄골 골절의 치료는 전위가 있더라도 보존적 치료가 원칙이지만, 성인의 다발성 손상에서 발생안 쇄골 간부 골절에서 불유합의 발생 가능성은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P value=0.183 Fisher's exact test), 쇄골 단독 골절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보존적 치료시 불유합 발생 가능성 항상 염두해 두어야하며, 따라서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신중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o analyse the comparative clinical results between adults with multiple injury including the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who had supportive care through retrospective aspect. Materials and Methods : We had ...
Purpose : To analyse the comparative clinical results between adults with multiple injury including the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who had supportive care through retrospective aspect.
Materials and Methods : We had 48 adult patients in this hospital with simple fracture and multiple injury including the clavicular shaft whom we were able to evaluate at leat more than a year. 12 of 48 patients were with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the rest of them were with multiple injury. We classified patients into two groups those who had fracture with displacement for group A(A1 for the cases with over 50% of fracture surface contact rate and A2 for less than 50% from the images of simple X-ray) and those who had comminuted fracture for B. We compared the time of bone union, nonunion rate of only davicular fractures and multiple injury, clinical results for patients who had supportive care with retrospective aspect.
Result : A1 (7 cases), A2 (4 cases), B (1 case) were prevalent in the group of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A1(8 cases) and A2 (16 cases) and B (12 cases) were prevalent in the group of multiple injury. For the case with supportive care, we could find 1 nonunion case (8%) and 11 union cases on average 2.91 months in the group of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and 7 nonunion cases (19%) and 29 union cases on average 3.58 months in the group of multiple injury. The best clinical results had occurred in 8 cases (67%) of only clavicular shaft fracture group and 19 cases (53%) of multiple injury group. We could find out the from all 8 nonunion cases that took operation afterward.
Conclusion : Although the choice of treatment of clavicular fracture is supportive care, but multiple injury including the clavicular fracture is a high-energy injury, so the possibility of comminuted and displacement is high, so that nonunion rate is high. The possibility of early surgery must be considered seriously.
참고문헌 (Reference)
1 "Ununited fractures of clavicle" 65-a : 773-778, 1983
2 "Ununited fracture of clavicle" 70-b : 461-464, 1983
3 "The function of the clavicle" 140 : 583-599, 1954
4 "The clavicle:Its anatomy and function" 58 : 17-27, 1968
5 "The Embriology of the Clavicle" 58 : 9-16, 1968
6 "Orthopaedic knowledge update.Vol 4.Illinois" 25 290-, 1933
7 "Operative treatment of clavicle fracture" 11 (11): 1998
8 "Operative treatm- ent of the displaced clavicular shaft fracture in adult" 11 : 273-280, 1998
9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clavicular fracture" 65-a : 773-778, 1983
10 "Open reduction and in- ternal fixation of clavicle fracture" 63-a : 147-151, 1981
1 "Ununited fractures of clavicle" 65-a : 773-778, 1983
2 "Ununited fracture of clavicle" 70-b : 461-464, 1983
3 "The function of the clavicle" 140 : 583-599, 1954
4 "The clavicle:Its anatomy and function" 58 : 17-27, 1968
5 "The Embriology of the Clavicle" 58 : 9-16, 1968
6 "Orthopaedic knowledge update.Vol 4.Illinois" 25 290-, 1933
7 "Operative treatment of clavicle fracture" 11 (11): 1998
8 "Operative treatm- ent of the displaced clavicular shaft fracture in adult" 11 : 273-280, 1998
9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clavicular fracture" 65-a : 773-778, 1983
10 "Open reduction and in- ternal fixation of clavicle fracture" 63-a : 147-151, 1981
11 "Nonunion of the clavicle" 87 : 963-966, 1963
12 "Non-union of the clavicle" 1972 : 1006-1011, 1960
13 "Com- parison of results between conservative treatment and opera- tive treatment for clavicle fractures in adult" 35 : 77-81, 2000
14 "Clinical study of clavicular fractures" 367-372, 1984
15 "Clavicular fracture" J Korean Fracture Soc 187-195, 1933
16 "Clavicle function" 50 : 216-268, 1979
17 "An atlas of anatomy and treatment of mild-clavi- cular fractures" 58 : 29-42, 1968
18 "A clinical study on surgical treatm- ent of clavicular nonunions" J Korean Orthop Asso 1127-1131, 1987
고령의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Wayne-County 정복법과 해부학적 정복법의 결과 비교
대퇴골 전자간 불안정 골절에서 활강 지연 나사의 전후방 경사와 안정성과의 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1-0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7-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 The Korean Fracture Societ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대한골절학회지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5 | 0.05 | 0.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05 | 0.05 | 0.21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