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광주지역 내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성별로 인한 간접차별구조를 점검하고, 간접차별 현황 파악 및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개선안을 마련하는 데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021434
2018
-
학술저널
67-88(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광주지역 내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성별로 인한 간접차별구조를 점검하고, 간접차별 현황 파악 및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개선안을 마련하는 데 있...
이 논문의 목적은 광주지역 내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성별로 인한 간접차별구조를 점검하고, 간접차별 현황 파악 및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개선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먼저 성차별의 간접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 이 지표에 따라 간접차별구조의 실태를 확인하여 성평등을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정책과제는 첫째, 여성의 대표성 확보를 통한 성평등 실현이다. 여성의 대표성 확보를 위한 제도의 제재 및 유인수단을 보다 효과적으로 마련해야 하며, 이를 위해 공공기관 내 경영평가 지표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둘째, 여성의 경력유지 개선을 위한 지역사회 환경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공공기관 노동자에 대한 인사관리 지침(인사, 보직, 교육 등)을 성인지적으로 제시하여 이를 근거로 공공기관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행점검하는 제도도입 및 실행이 요구된다. 또한 여성노동자 역량강화 및 경력개발 지원이 조직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일ㆍ가정양립제도 개선방안으로서 광주지역 공공기관에서 남성노동자가 적극적으로 육아휴직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기관 내 남성 육아휴직자에 대한 편의성을 고려하여 제도도입을 함으로써 성평등한 조직문화로 개선해야 한다. 넷째, 성평등한 직장문화 확산이다. 성평등한 직장문화 및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성별임금격차 개선이 필요하며, 조직 내 성평등한 인사ㆍ평가규정 및 지침 매뉴얼을 보급하는 방안도 검토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structural and indirect gender-based discrimination in public institution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suggest policy measures to prevent discrimination. Indicators for indirect gender discrimination were developed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structural and indirect gender-based discrimination in public institution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suggest policy measures to prevent discrimination. Indicators for indirect gender discrimination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assess the extent of discrimination, and a plan to improve the situation was presented as follows.
First, gender equality can be realized by securing gender representativeness. In order to improve gender representativeness in public institutions,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d implement an effective policy that restricts a gender imbalance and secure a gender balance. This will be achieved by ongoing improvement of management assessment indicators that reflect the abovementioned policy.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ocal social infrastructure to support women’s career continuity. This includes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gender sensitive guidelines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for public institutions’ workers including employment, appointment, and training. The public institutions have to internally provide their female workers with support for empowerment and career development. Third, it is required to implement measures to improve work-life balance by encouraging male workers to make the most of paternity leave by making it easier to take paternity leave. Finally, a gender equal workplace culture needs to be promoted further, which includes reduction of the gender pay gap. There is also a ne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a manual for, and guidelines to assist, gender equal employment and appraisal.
자율규제는 작동할까? - 기업의 자율준수 프로그램에 대한 조직이론의 적용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활용한 농촌지역 활성화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구례 우리밀공장 사례를 중심으로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영어권 및 불어권 국가에 있어 지역지리학의 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