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토카피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원의 청화백자 문양 중에서 주목되는 菱花文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능화문을 중국에서는 曲折文이라고도 부르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174727
2004
Korean
SCOPUS,KCI우수등재
학술저널
63-93(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토카피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원의 청화백자 문양 중에서 주목되는 菱花文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능화문을 중국에서는 曲折文이라고도 부르며,...
이 논문은 토카피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원의 청화백자 문양 중에서 주목되는 菱花文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능화문을 중국에서는 曲折文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12曲의 마름모꼴로 사방의 끝이 바깥쪽으로 뾰족한 형태이다. 네 꼭지 사이에 안쪽으로 들어간 곡면이 둘 있어 12곡능화형문이 많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8곡, 16곡 또는 20곡으로 변형된 문양들도 같은 능화문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
현재 전하는 중국의 금은기 중에 唐(또는 북송)의 12曲菱花形의 은제접시가 영국 대영박물관에 있으며, 요대의 삼채접시에 8곡능화형으로 제작된 예들이 있으나 이 논문에서는 능화문이 장식 문양으로 표현된 예들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 능화형문양은 도자기 표면 장식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특히 중국의 북방지역인 요, 북송 그리고 서하지역에서 유행하여 퍼진 것으로 보인다. 북송이나 서하지역의 자주요 계통의 철화도자의 문양이나, 요금대의 전축묘의 벽돌 문양으로도 보이고, 여러 가지 식물또는 동물문의 畵窓으로도 다양하게 응용되었으며 직물문양으로도 나타났다.
고려시대에서도 순청자나 은입사 금속정병 또는 ?金漆經箱 등에 이 능화문 장식이 보인다. 그 유래를 중국과 연관시킨다면 고려 초의 요, 금, 그리고 북송 도자와의 관계가 보인다. 남아 있는 유물들과 비교하여 보면 중국의 북방 문화권에서 유행했던 문양임을 알려 주며 중국의 남송시대의 도자나 공예품에서는 별로 보이지 않는다.
이 능화문 장식의 전통은 북방 몽고의 원대로 이어져서 코발트 안료로 장식한 청화백자에서 유행하여 이슬람 문화권으로 전파되었다. 이스탄불의 토카피 박물관에 있는 원ㆍ명대의 청화백자에는 능화문과 더불어 이슬람 문화권에서 선호하던 문양들이 많이 보인다. 또한 고려 후기의 불교 관련 미술에 나타나는 능화문 역시 원대의 미술과의 연관성이 크다. 13세기 전반 몽고의 서방경략 이후 이슬람 문화권의 금속기 문양과 중국에 수출한 도자 문양에는 상호 연관성이 보이며 이 능화문은 이후 이슬람의 금속공예품의 문양 발달에도 반영되었다.
문양의 발전과 동서교류에서 唐草文이나 連珠文이 서방의 그리스나 서아시아의 사산조 이란의 미술에서 시작하여 실크로드를 따라 궁전이나 무덤벽화 또는 석굴벽화의 장식문으로 나타나고 또 도자기, 금속기, 직물 문양 등을 통해 고대 중국, 한국 그리고 일본으로 전해졌던 것과 같이, 이 菱花文도 육로나 해로를 통해 이슬람 문화권과 동아시아 미술을 연결시켜 주는 국제적인 장식문양의 하나였던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ogival-shaped pattern, nunghwamun, which is basically a quatrefoil consisting of four ogival arches. The pattern has many varia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curved lines, which appear in eight, twelve, sixteen and twenty. ...
This paper deals with ogival-shaped pattern, nunghwamun, which is basically a quatrefoil consisting of four ogival arches. The pattern has many varia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curved lines, which appear in eight, twelve, sixteen and twenty.
A Tang (or Northern Song) silver plate in the shape of nunghwamun with twelve curved lines is housed in the British Museum, and several sancai (three-colored) ceramic dishes in the shape of nunghwamun with eight curved lines of Liao period are known. However, this paper focuses on the nunghwamun that was used to decorate the surfaces of ceramics, lacquer wares and metal objects, etc. Often this pattern served as a frame for various designs of flowers. birds and animals.
It appears that the pattern was popular in northern parts of China during the Liao, Chin, and Yuan dynasties, and also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Korea that had close political and cultural ties with the states in northern China. This pattern then was transmitted to the west through the silk road, and especially after the westerward invasion of the Mongols upon the Islamic world in the thirteenth century. It is assumable that the major carriers of this pattern were the Chinese textiles and the Yuan and Ming blue-and white porcelains that were brought to the Islamic countries as we see in the collection of the Tokapi Palace in Istanbul.
The newly introduced pattern of nunghwamun began to influence the designs of the Islamic metalworks, but it was soon transformed into a Islamic fashion. The exchanges of patterns and designs between Islamic and Chinese arts occurred actively especially after the second quarter of the thirteenth century when the Mongols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the greater Iranian world. In the tradition of the arts of the East and the West, this pattern is one of the most popular decorative motifs as were patterns like the honeysuckle vines and the beaded roundel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