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필사본 『금강경언해』와 『월인석보』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the Manuscript Version Geumganggyeong Eonhae and Worinseokb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950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taking the new material, the manuscript version of Geumganggyeong Eonhae, examines its system and characteristic, and the reason or meaning of the method of Gwonsu Malje. Also, as a preliminary review, it takes a look at the conditions o...

      This article, taking the new material, the manuscript version of Geumganggyeong Eonhae, examines its system and characteristic, and the reason or meaning of the method of Gwonsu Malje. Also, as a preliminary review, it takes a look at the conditions of the edition/ publication and versions of Geumganggyeong Eonhae published by Gangyeongdogam.
      The manuscript version Geumganggyeong Eonhae is a manual copy of the main texts of ‘Yukjohaeseo’, ‘Huseo’, and Geumganggyeong Eonhaeas well as Yukjo Haeui with the Ansim Copy, the second publication of Geumganggyeong Eonhae in the late 16th century as its finalized version. Different from the Korean version published by Gangyeongdogam, this book does not contain Gakjabyeongseo letters and ㅿ, reflects the actual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at that time, and is characteristic as all instances of ‘-이’ are written as ‘ㅣ’. As such, the manuscript version Geumganggyeong Eonhae in Boseong Seonwon can be well evaluated for its values and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linguistic facts in the late 16th century and it is the first case that shows the distribution of manuscript version Buddhist bibles in Korean.
      On the other hand, from the clear mention of Seokbosangjeol and Worincheongangjigok in the manuscript version Geumganggyeong Eonhae, we can conjecture that it suggests parts or all of Geumganggyeong is put in Worinseokbo. That is to say, it can be said that the copier put Worinseokbo together with Geumganggyeong in as Gwonsuje and Wonmalje with the Ansim Copy as its finalized version in order to reveal that Geumganggyeong is also contained in Worinseokbo. However, given that the head title of Worinseokbo is ‘Woringchoengangjigok/ Seokbosangjeol’ and the frequency of ‘Worincheongangjigok’ is higher than ‘Seokbosangjeol’ in the manuscript version, we can conjecture that there was no copy of ‘Worincheongangjigok’ in which Geumganggyeong was chanted or the latter’s portion was very limi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신자료인 필사본 『금강경언해』를 대상으로, 그 체재 및 특징과, 卷首․末題 기재방식의 이유 내지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예비적 고찰로, 간경도감본 『금강경언해』의 編...

      이 글은 신자료인 필사본 『금강경언해』를 대상으로, 그 체재 및 특징과, 卷首․末題 기재방식의 이유 내지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예비적 고찰로, 간경도감본 『금강경언해』의 編刊 및 이본의 현황을 검토하였다. 지금까지의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필사본 『금강경언해』는 16세기 후반에 중간본인 안심사본을 대본으로 하여, 「六祖解序」․「六祖口訣後序」와 『금강경』의 본문 및 六祖 解義의 언해문을 필사한 것이다. 이 책은 간경도감본 『금강경언해』와 달리, 각자병서와 ‘ㅿ’이 보이지 않고, 당시의 현실 한자음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가 모두 ‘ㅣ’으로 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렇듯 보성선원 소장 필사본 『금강경언해』는, 16세기 후반의 언어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과 필사본 언해불경의 유통을 보여주는 첫 사례라는 점에서, 그 가치 및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한편, 필사본 『금강경언해』의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석보상절’ 명기는, 『금강경』의 일부 내지 전체가 현재 전하지 않는 『월인석보』에 수록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곧 이 책의 필사자는 안심사본을 저본으로 하면서도, 『금강경』이 『월인석보』에 수록되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권수제와 권말제에 ‘금강경’과 함께『월인석보』의 권두서명을 기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월인석보』의 권두서명이 ‘월인천강지곡/ 석보상절’이고, 필사본에 ‘월인천강지곡’보다 ‘석보상절’의 출현 빈도가 높다는 점에서, 『금강경』을 노래한 「월인천강지곡」이 없거나 그 비중이 매우 적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無住相布施’를 강조하고 있는『금강경』과, 권20~23에 보시 관련 이야기가 집중되어 있는 『월인석보』의 내용적 특징 및 권22․23․25의 일부 내용이 결락되어 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금강경』이 수록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권차는 권22․23․25 중의 하나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는 『금강경』의 『월인석보』 수록 여부의 진위와 상관없이 不傳 『월인석보』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켰다는 점만으로도 그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병희, "초기 불경언해와 한글, In 국어사자료연구" 문학과 지성사 50-65, 1992

      2 강호선, "조선 태조 4년 國行水陸齋 설행과 그 의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2) : 199-234, 2013

      3 김기종, "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 보고사 2010

      4 안병희, "월인석보 의 편간과 이본" 75 : 183-195, 1993

      5 강순애, "월인석보 의 저본에 관한 연구" 22 : 63-96, 2001

      6 최병헌, "월인석보 편찬의 불교사적 의의" 75 : 219-225, 1993

      7 정재영, "영광 불갑사 복장 전적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한국서지학회1 (35) : 207-251, 2010

      8 문명대, "대구 보성선원 봉안 견암사(見巖寺) 현욱파(玄旭派) 석가삼존불상(釋迦三尊佛像)의 도상특징과 복장(腹藏)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5) : 373-424, 2010

      9 김무봉, "금강경언해의 번역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 한국사상문화학회 (40) : 267-299, 2007

      10 김성주, "금강경언해" 신구문화사 2006

      1 안병희, "초기 불경언해와 한글, In 국어사자료연구" 문학과 지성사 50-65, 1992

      2 강호선, "조선 태조 4년 國行水陸齋 설행과 그 의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2) : 199-234, 2013

      3 김기종, "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 보고사 2010

      4 안병희, "월인석보 의 편간과 이본" 75 : 183-195, 1993

      5 강순애, "월인석보 의 저본에 관한 연구" 22 : 63-96, 2001

      6 최병헌, "월인석보 편찬의 불교사적 의의" 75 : 219-225, 1993

      7 정재영, "영광 불갑사 복장 전적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한국서지학회1 (35) : 207-251, 2010

      8 문명대, "대구 보성선원 봉안 견암사(見巖寺) 현욱파(玄旭派) 석가삼존불상(釋迦三尊佛像)의 도상특징과 복장(腹藏)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5) : 373-424, 2010

      9 김무봉, "금강경언해의 번역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 한국사상문화학회 (40) : 267-299, 2007

      10 김성주, "금강경언해" 신구문화사 2006

      11 김영배, "국어사자료연구" 월인 2000

      12 남수영, "고려대장경 해제" 고려대장경연구소 1998

      13 정재영, "간경도감 초간본, In 영광 불갑사의 불교문헌" 태학사 178-192, 2005

      14 송일기, "寶成禪院 三尊佛의 腹藏典籍 硏究"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3 (43): 271-295, 2012

      15 김영일, "『금강경』의 구조에 대한 시론 ―소위 ‘3주ㆍ7절의 문답구조’―" 한국불교연구원 30 : 121-153, 2009

      16 김기종, "15세기 불전언해의 시대적 맥락과 그 성격 - 간경도감본 언해불전을 중심으로 -" 동악어문학회 (58) : 95-122, 2012

      17 김영배, "(역주) 금강경삼가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KCI등재
      2019-03-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5-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서지학회 -> 한국서지학회
      영문명 :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1.1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