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열하일기』 연행노정의 장소와 경관에 대한 지리적 고찰 = A Geographic Study on the Place and Landscape of the Route of Diplomatic Envoy in the 「Yeolhailg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54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Yeonam (朴趾源)’s regional perception on the route of diplomatic envoy (route) in the 『Yeolhailgi (熱河日記)』, explored the geographical meaning of the major places and landscapes, from the Abrok river to the Beijing.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eonam’s experience of the route from May to October 1780 was edited of 『Yeolhailgi』 in 7 diary prose books and 21 subject-specific prose books, with the most content on the Yeolha. Second, the route divided according to regional perception was described 「Dogangrok (渡江錄)」, 「Seongkyongjobji (盛京雜識)」, 「IlsinSupil (馹汛隨筆)」,「Gwannaejeongsa (關內程史)」, 「Makbukhaengjeongrok (漠北行程)」 and 「hwanyeondojungrok (還燕道中錄)」. Third, major places or landscapes such as Abrok river and Joyangmun have become geographical and psychological boundaries where the regional perceptions of Yeonam are being conflicted or changing. Finally, at the boundary point where positive and negative views coexist, Yeonam reflected himself in the ways of seeing based on the habit of observing in detail. This is an empirical example of the attitudes and ways of seeing that travelers to other regions should have. In the 「Yeolhailgi」, ‘Yeolha’ metaphorizes not only the unknown land far north of Peking Province, but also both the unfamiliar and new Qing Dynasty’s prosperous realities observed and experienced by Yeonam.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Yeonam (朴趾源)’s regional perception on the route of diplomatic envoy (route) in the 『Yeolhailgi (熱河日記)』, explored the geographical meaning of the major places and landscapes, from the Abrok river to the Beiji...

      This study investigated Yeonam (朴趾源)’s regional perception on the route of diplomatic envoy (route) in the 『Yeolhailgi (熱河日記)』, explored the geographical meaning of the major places and landscapes, from the Abrok river to the Beijing.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eonam’s experience of the route from May to October 1780 was edited of 『Yeolhailgi』 in 7 diary prose books and 21 subject-specific prose books, with the most content on the Yeolha. Second, the route divided according to regional perception was described 「Dogangrok (渡江錄)」, 「Seongkyongjobji (盛京雜識)」, 「IlsinSupil (馹汛隨筆)」,「Gwannaejeongsa (關內程史)」, 「Makbukhaengjeongrok (漠北行程)」 and 「hwanyeondojungrok (還燕道中錄)」. Third, major places or landscapes such as Abrok river and Joyangmun have become geographical and psychological boundaries where the regional perceptions of Yeonam are being conflicted or changing. Finally, at the boundary point where positive and negative views coexist, Yeonam reflected himself in the ways of seeing based on the habit of observing in detail. This is an empirical example of the attitudes and ways of seeing that travelers to other regions should have. In the 「Yeolhailgi」, ‘Yeolha’ metaphorizes not only the unknown land far north of Peking Province, but also both the unfamiliar and new Qing Dynasty’s prosperous realities observed and experienced by Yeon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열하일기』 연행노정에 대한 연암 박지원의 지역인식을 살펴보고, 압록강에서 연경까지의 주요 장소와 경관에 대한 지리적 의미를 답사, 고찰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암의 1780년 5월에서 10월까지의 연행 체험은 일기체 산문 7권과 주제별 산문 21권의 『열하일기』로 편차되었고, 열하에 대한 내용 비중이 가장 높다. 둘째, 연암의 지역인식에 따라 연행노정은 「도강록」, 「성경잡지」, 「일신수필」, 「관내정사」, 「막북행정록」과 「환연도중록」으로 구분된 일기체 산문으로 서술되었다. 셋째, 압록강에서 조양문에 이르는 주요 장소나 경관은 연암의 소중화나 화이 등의 인식이 갈등, 변화하는 지리적이고 심리적인 경계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긍정과 부정의 시선이 공존하는 경계 지점에서 연암은 관찰유근을 바탕으로 혜안, 평등안, 여시관 등의 보기 방식으로 자신을 성찰했다. 이는 다른 지역을 유람하는 여행자가 갖추어야 할 지역인식의 태도와 방식의 실증적 사례이다. 『열하일기』에서 ‘열하’는 북경성 밖 멀리 북쪽에 있는 미지의 땅 뿐만 아니라, 연암이 관찰하고 체험한 낯설고 새로운 청나라의 번성한 실상 모두를 은유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열하일기』 연행노정에 대한 연암 박지원의 지역인식을 살펴보고, 압록강에서 연경까지의 주요 장소와 경관에 대한 지리적 의미를 답사, 고찰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

      본 연구에서는 『열하일기』 연행노정에 대한 연암 박지원의 지역인식을 살펴보고, 압록강에서 연경까지의 주요 장소와 경관에 대한 지리적 의미를 답사, 고찰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암의 1780년 5월에서 10월까지의 연행 체험은 일기체 산문 7권과 주제별 산문 21권의 『열하일기』로 편차되었고, 열하에 대한 내용 비중이 가장 높다. 둘째, 연암의 지역인식에 따라 연행노정은 「도강록」, 「성경잡지」, 「일신수필」, 「관내정사」, 「막북행정록」과 「환연도중록」으로 구분된 일기체 산문으로 서술되었다. 셋째, 압록강에서 조양문에 이르는 주요 장소나 경관은 연암의 소중화나 화이 등의 인식이 갈등, 변화하는 지리적이고 심리적인 경계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긍정과 부정의 시선이 공존하는 경계 지점에서 연암은 관찰유근을 바탕으로 혜안, 평등안, 여시관 등의 보기 방식으로 자신을 성찰했다. 이는 다른 지역을 유람하는 여행자가 갖추어야 할 지역인식의 태도와 방식의 실증적 사례이다. 『열하일기』에서 ‘열하’는 북경성 밖 멀리 북쪽에 있는 미지의 땅 뿐만 아니라, 연암이 관찰하고 체험한 낯설고 새로운 청나라의 번성한 실상 모두를 은유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명관, "홍대용과 1766년" 한국고전번역원 2014

      2 이승수, "한문학과 다큐멘터리의 접점 가능성 탐색" 한국한문학회 (37) : 305-325, 2006

      3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학예과,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燕行圖" 2009

      4 후자오량, "중국의 문화지리를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5

      5 김태준, "중국 내 연행노정고" 동양학연구원 (35) : 3-3, 2004

      6 "주선양대한민국총영사관"

      7 "월드코리안 뉴스, 2017년 10월 9일자"

      8 하재철, "열하일기의 여행경로와 관광활동 고찰" 27 : 97-123, 2016

      9 박지원, "열하일기 上, 中, 下" 보리출판사 2004

      10 박지원, "열하일기 1, 2, 3" 돌베개 2017

      1 강명관, "홍대용과 1766년" 한국고전번역원 2014

      2 이승수, "한문학과 다큐멘터리의 접점 가능성 탐색" 한국한문학회 (37) : 305-325, 2006

      3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학예과,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燕行圖" 2009

      4 후자오량, "중국의 문화지리를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5

      5 김태준, "중국 내 연행노정고" 동양학연구원 (35) : 3-3, 2004

      6 "주선양대한민국총영사관"

      7 "월드코리안 뉴스, 2017년 10월 9일자"

      8 하재철, "열하일기의 여행경로와 관광활동 고찰" 27 : 97-123, 2016

      9 박지원, "열하일기 上, 中, 下" 보리출판사 2004

      10 박지원, "열하일기 1, 2, 3" 돌베개 2017

      11 이승수, "연행로의 지리(地理)와 심적(心跡) -산해관(山海關)~통주(通州) 구간" 국문학회 (36) : 31-64, 2017

      12 이승수, "연행로의 地理와 心跡 2, 通州∼玉河館" 한국고전번역원 52 : 409-449, 2018

      13 이승수, "연행로 중 遼陽 ∼ 瀋陽 구간의 노정과 풍물 - 지리 감각의 갱신과 신흥 왕조의 체험 -" 한국고전문학회 (50) : 261-296, 2016

      14 이승수, "연행로 중 ‘遼陽-鞍山-廣寧 구간’에 대한 인문지리학적 검토" 한국한문학회 (47) : 553-592, 2011

      15 김다원, "연암의 자연 사물 관찰과 글쓰기 양상 분석 연구: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 여행기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49 (49): 716-727, 2014

      16 조관연, "역사 다큐멘터리에서의 재현과 진정성의 문제 : KBS 《박지원의 열하일기, 4천리를 가다》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소 (31) : 305-336, 2008

      17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

      18 박지원, "세계 최고의 여행기 열하일기 上, 下" 북드라망 2014

      19 "서울신문, 2009년 9월 23일자"

      20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1 "베이징관광국 한글공식사이트"

      22 신정엽,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대한 인터넷 기반 지리정보 분석 및 서비스" 한국지도학회 17 (17): 103-120, 2017

      23 고태규,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대한 관광학적 고찰" 한국관광연구학회 32 (32): 5-22, 2018

      24 박승규, "문화지리학의 최신동향: ‘신’문화지리학을 중심으로" 7 : 131-145, 1995

      25 안희준, "다큐멘터리 「김연수의 열하일기」 연구" 국제어문학회 (76) : 369-401, 2018

      26 존 버거, "다른 방식으로 보기" 열화당 2012

      27 황매희 편집부, "국가급 중국문화유산총람" 도서출판 황매희 2010

      28 이경숙, "고전기행문 속 현대적 의미의 국외관광 고찰: 열하일기를 중심으로" 관광경영학회 22 (22): 1145-1166, 2018

      29 "경향신문, 2005년 4월 12일자"

      30 盧以漸, "隨槎錄(경북대학교 소장)"

      31 朴趾源, "熱河日記(奎7175-v.1-10, 서울대학교규장각 소장)"

      32 손용택, "熱河日記'에 비친 연암 박지원의 지리관 일 고찰 (I)" 한국지역지리학회 10 (10): 497-510, 2004

      33 "海東地圖(古大4709-41,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34 "承政院日記(정조 4년 11월 5일 기묘조, 11월 27일 신축조)"

      35 임유경, "徐浩修의 『燕行記』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28) : 379-410, 2005

      36 김일환, "對淸使行의 永安橋 인식" 대동문화연구원 (90) : 33-68, 2015

      37 洪奭周, "北方疆域志(淵泉文集券25)"

      38 박기석, "『열하일기』에 나타난 연암의 중국문화 인식" 한국문학치료학회 8 : 78-104, 2008

      39 전호근, "『열하일기』를 통해 본 박지원 사상의 근대성과 번역의 근대성 문제" 대동철학회 (49) : 19-38, 2009

      40 진빙빙, "『열하일기』를 통해 본 18세기 베이징 선남(宣南)의 선비문화" 인문학연구원 (69) : 135-172, 2018

      41 이현식, "『열하일기』「심세편」, 청나라 학술과 사상에 관한 담론" 국학연구원 (181) : 97-127, 2017

      42 김혈조, "『열하일기』 정본화 작업의 제문제-신자료 소개를 겸하여-" 한국한문학회 (71) : 7-44, 2018

      43 서현경, "『열하일기』 정본의 탐색과 서술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44 김동석, "『수사록』연구 : 『열하일기』와 비교연구의 관점에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45 강영주, "≪열하일기≫<황교문답>에 나타난 대화법과 그 의미" 한국언어문화학회 (60) : 5-32, 2016

      46 정훈식, "‘보기’ 담론을 통해 본 『열하일기』의 주제" 한국고전문학회 (42) : 339-375, 2012

      47 Zheng Ping, "China’s Geography" ChinaNational Press 2011

      48 원재연, "17~19세기 연행사의 북경 내 활동공간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6) : 205-262,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1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문화역사지리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0.93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