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방송편성 규정의 법적 성격과 한계에 관한 헌법학적 연구 =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Review of the Legal Characteristics and Limit of Broadcasting Programming Regulation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방송법」에서 규정하는 편성 관련 조항의 내용적 공통점은 방송되는 내용물의 종류와 형태, 배열에 대해 국가가 방송사업자에게 일정한 행위 규준을 제시하고 이를 강제하는 것으로 집약...

      「방송법」에서 규정하는 편성 관련 조항의 내용적 공통점은 방송되는 내용물의 종류와 형태, 배열에 대해 국가가 방송사업자에게 일정한 행위 규준을 제시하고 이를 강제하는 것으로 집약될 수 있다. 「방송법」상 편성에 관한 다양한 기준의 이행 여부는 일차적으로 행정질서벌인 과태료 처분의 대상이 되나, 재허가 등에서 중요한 평가 대상이 됨으로써 사실상 그 이행이 강제된다. 따라서 편성 관련 기준은 그 성격상 단순한 가이드라인이나 지침이 아니며, 방송사업자의 의무이자 국가권력 행사의 대상이라는 성격을 띤다. 바로 이 점에서 방송편성 관련 규정의 성격에 관한 논의는 ‘설득을 위한 담론’으로 이해되는 수사학의 관점에서의 정책론적 논의나 사회윤리적 담론 등과 구별되는 헌법 해석의 문제가 된다. 그 결정적인 특성 또는 장점은 헌법전을 그 출발점과 귀착점으로 한다. 물론 방송편성 규정의 입법 목적에 대한 해석 역시 자유로울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무정향적이어서는 안 되고, 현실성과 균형성을 잃지 않아야 한다. 그것은 해석에서 기존의 가치판단에 대한 철저한 비판적 검토를 전제로 하는 가치비판의 과정이고, 그 결론은 방송의 자유뿐 아니라 다른 헌법적 가치의 실현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방송이 공익적이어야 한다’는 당위적 명제는 감성적 이데올로기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며, 균형 있는 다양성 등 헌법 규정과 원리를 통해 도출되는 객관적 가치질서를 실현하라는 명령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바로 이러한 정향점에 대한 헌법 해석에 기초하여 편성 기준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방송법」과 「방송법시행령」상의 다양한 편성 관련 규정이 과연 방송의 자유라는 목적 달성에 적합한 수단인지, 혹은 방송의 자유에 대한 정당한 제한으로서 평가될수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종합편성사업자, 특히 지상파방송사업자에 대한 국가의 과도한 개입 여부를 심사하고, 문제점이 있다면 그 입법 개선 방안을 시론(試論)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헌법 규정에서 도출되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국가목적 또는 국가의무와 기본권의 내용을 말 그대로 ‘규범조화적’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며, 헌법재판에 의한 통제의 설득력을 확보하는 데 더 효과적일 것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 of Broadcasting Programming Regulations prescribed by the Broadcasting Act, in therms of constitutionality review. How to understand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Broadcasting Programming Regu...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 of Broadcasting Programming Regulations prescribed by the Broadcasting Act, in therms of constitutionality review. How to understand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Broadcasting Programming Regulations has an essential question to be answered to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the freedom of Broadcasting. This challenge is in separable from the question of how much similarity is highlighted between the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freedom of broadcasting.
      This Article seeks to review past previous studies, which have explored the limited aspect of this issue and apply ‘the principle of the prohibition of excessive restriction’ to evaluate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Broadcasting Programming Regulations. This Article also deprive the new and various Purposes of the Broadcasting Programming Regulations. The Article concludes with the suggesting the new and practical solutions based on the Constitutional law about how to enact the Broadcasting Programming Regulations without the useless debates on the Constitution’s limit of the Rights of mass communication media owner and Accountability to the Publ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 제기
      • 2. 방송편성에 대한 국가의 관여는 정당한가
      • 3. 방송프로그램에서의 균형 있는 다양성 보장에 관한 논리 구성
      • 4. 현행 편성 관련 규정에 대한 전향적인 논점 전환과 법적 평가
      • 5. 맺음말
      • 1. 문제 제기
      • 2. 방송편성에 대한 국가의 관여는 정당한가
      • 3. 방송프로그램에서의 균형 있는 다양성 보장에 관한 논리 구성
      • 4. 현행 편성 관련 규정에 대한 전향적인 논점 전환과 법적 평가
      • 5. 맺음말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8

      2 황치연, "헌법학도의 길(제1편): 헌법이란 무엇인가" 한국학술정보 2005

      3 홍성방, "헌법학" 박영사 2003

      4 계희열, "헌법의 해석" 고려대학교출판부 1993

      5 김명재, "헌법상 공공복리의 개념과 실현구조" 한국비교공법학회 8 (8): 3-36, 2007

      6 최우정, "헌법상 개념으로서의 방송- 독일에서의 논의를 한국적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비교공법학회 5 (5): 269-298, 2004

      7 전광석, "한국헌법론, 제6판" 법문사 2010

      8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59) : 105-136, 2004

      9 박선영, "언론정보법연구 Ⅱ" 법문사 2002

      10 김명식, "방송의 자유의 제한구조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17 (17): 1-24, 2005

      1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8

      2 황치연, "헌법학도의 길(제1편): 헌법이란 무엇인가" 한국학술정보 2005

      3 홍성방, "헌법학" 박영사 2003

      4 계희열, "헌법의 해석" 고려대학교출판부 1993

      5 김명재, "헌법상 공공복리의 개념과 실현구조" 한국비교공법학회 8 (8): 3-36, 2007

      6 최우정, "헌법상 개념으로서의 방송- 독일에서의 논의를 한국적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비교공법학회 5 (5): 269-298, 2004

      7 전광석, "한국헌법론, 제6판" 법문사 2010

      8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59) : 105-136, 2004

      9 박선영, "언론정보법연구 Ⅱ" 법문사 2002

      10 김명식, "방송의 자유의 제한구조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17 (17): 1-24, 2005

      11 곽상진, "방송의 자유와 방송제도" 4 (4): 2000

      12 박용상, "방송의 자유와 그 형성" 14 : 2003

      13 문재완, "방송의 공적 책임과 방송편성권의 주체" 한국공법학회 39 (39): 193-222, 2010

      14 고민수, "방송의 개념과 본질" 2006

      15 고민수, "방송법상 재송신제도에 관한 헌법적 검토― 재산권의 보장과 제한 그리고 그 한계를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14 (14): 259-285, 2008

      16 한국방송협회, "방송법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협회 2007

      17 최영묵, "방송공익성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1997

      18 김정태, "디지털 시대 방송법 해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19 독일연방헌법재판소, "독일방송 헌법판례" 도서출판 한울 2002

      20 임혜경, "독일공영방송 이념과 조직, 프로그램 정책, 전망" 6 : 1994

      21 이덕연, "담론과 해석: 헌법평론집" 21세기 교육사 2007

      22 최양수, "공영방송 프로그램의 성과측정에 관한 연구" 1995

      23 박소라, "경쟁 도입이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1989년 이후 지상파 방송 편성표 분석을 통하여" 한국언론학회 47 (47): 9-250, 2003

      24 田正煥, "放送自由의 主體" 한국공법학회 30 (30): 10-10, 2002

      25 Stock, Martin, "Zur Theorie des Koordinationsrundfunk" Germany: Nomos- Verlagsgesellschaft 1981

      26 Badura, Peter, "Verfassungsrechtliche Bindung der Rundfunkgesetzgebung" Berlin, Germany: Metzner 1980

      27 Lerche, Peter, "Verfassungsrechtliche Aspekte neuer kommunikationstechnischer Entwicklungen" BayVBl 1976

      28 Bethge, H, "Verfassungsmasige Grundlagen in Recht der Neuen Medien. Heidelberg" Germany: C. F. Mu.ller 1989

      29 Degenhart, "Verfassungsfragen neuer elektronischer Medien-Folgewirkungen auf Medienstuktur und Medienpolitik" BayBVl 1986

      30 Stammler, Dieter, "Verfassung und organisationsrechtliche Probleme des Kabelrundfunks"

      31 Krattenmaker, T. G, "Rrgulating Broadcasting Programming" MA:MIT Press 1994

      32 Hoffmann-Riem, Wolfgang, "Regulierung der dualen Rundfunkordung" Germany: Nomos-Verlagsgesellschaft 2000

      33 Zeidler, K, "Masnahmegesetz und klassisches Gesetz"

      34 Breuer, R, "Legislative und administrative Prognoseentscheidungen" 16 : 1977

      35 Achterberg, Norbert, "Kriterien des Gesetzesbegriffs unter dem Grundgesetz" Do.V 1973

      36 Hoffmann-Riem, Wolfgang, "Kommerzielles Fersehen" German: Nomos Verlagsgesellschaft 1981

      37 Lieb, Wolfgang, "Kabelfernsehen und Rundfunkgesetz"

      38 Buhler, Ottmar, "Die subjektiven offentlichen Rechte und ihr Schutz in der deutschen Verwaltungsrechtsprechung"

      39 Berendes, Konrad, "Die Staatsaufsicht u.ber den Rundfunk" Berlin, Germany: Duncker & Humblot 1973

      40 Schmidt, W, "Die Rundfunkgewahrleistung"

      41 Klein, H. H, "Die Rundfunkfreiheit. Munchen" Germany: Beck 1978

      42 Wieland, Joachim, "Die Freiheit des Rundfunk" Berlin, Germany: Duncker & Humblot 1984

      43 Jarass, Hans D, "Die Freiheit der Massenmedien" Germany: Nomos-Verlagsgesellschaft 1978

      44 Pestalozza, Christian, "Der Schutz vor der Rundfunkfreiheit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NJW 1981

      45 Stark, "Der Gesetzsbegriff des Grundgesetzes"

      46 Scholz, "Das dritte Fernseurteil des Bundesverfassungsgerichts" JZ 1981

      47 Kunig, Philip, "Das Rechtsstaatsprinzip. Tubingen" Germany: J. C. B. Mohr 1986

      48 Scheuner, Ulrich, "Das Grundrecht der Rundfunkfreiheit" Berlin: Duncker & Humblot 1982

      49 이은미, "1990년대 텔레비전 방송의 다양성 분석지상파방송의 프라임타임대 프로그램 다양성 변동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11-412,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Broadcasting Studies ->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9 1.64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