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 인권보호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특수교육대상자의 정서적 안정을 위한 여건 제공 및 장애정도를 고려한 심리안정실의 설치?운영과 관련하여, 심리안정실 운영 근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688058
2020년
Korean
PRIS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 인권보호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특수교육대상자의 정서적 안정을 위한 여건 제공 및 장애정도를 고려한 심리안정실의 설치?운영과 관련하여, 심리안정실 운영 근거 ...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 인권보호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특수교육대상자의 정서적 안정을 위한 여건 제공 및 장애정도를 고려한 심리안정실의 설치?운영과 관련하여, 심리안정실 운영 근거 마련 및 활용 방안, 시설설비 권고 기준, 심리안정실 운영 모델 등을 포함한 「특수학교 심리안정실 운영 매뉴얼」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외 선행 문헌 및 사례를 바탕으로 특수학교에서의 심리안정실 운영 근거에 대한 문헌연구, 특수학교 심리안정실 현황 및 운영, 시설 설비에 대한 조사연구, 포커스 그룹 면담(FGI), 설문조사 등을 통한 특수학교 심리안정실 운영과 관련 문제점 확인 및 개선 방안 도출, 긍정적 행동지원 등 특수교육 학계 전문가, 현장 전문가 등을 위촉하여 심의를 실시하였으며, 국내외 연구 및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특수학교 심리안정실 운영 현황 실태를 분석하고 교육 현장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학교 심리안정실의 설치 및 운영 근거와 전담 인력 배치, 환경조성 및 시설 설비 기준, 심리안정실 운영 모델(안) 등을 포함한 매뉴얼을 마련하였다. 연구 결과와 문헌분석에 의한 이론적 근거로 바탕으로 특수학교 심리안정실 설치, 운영 관련 정책적 제안을 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특수학교 심리안정실의 설치 및 운영 근거와 전담 인력 배치 (특수교육운영계획 통한 운영 근거 제시, 특수교사 배치 정원 확대와 행동지원 전담교사 배치, 특수교사 양성 과목 변경과 행동지원 연수 강화 제시), 환경조성 및 시설 설비 기준(특수학교 시설 설비 기준령 개정, 심리안정실 환경 모델(안) 제시), 심리안정실 운영 모델(위기행동 관리 규정, 심리안정실 운영 계획 수립, 문제행동 중재의 개별화교육계획 반영 제시)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