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言語와 媒體’ 科目의 國家 水準 評價에서의 爭點 分析 – 2015 改定 敎育課程과 敎科書 分析을 中心으로 – = A Study on Issues in the National-level Test of Language & Media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into assessment for the subject, Language & Media, which was newly created as a high school elective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assessment for the Media area of Language & Media for a national-level test such as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not for the fundamental and ideal assessment of the media literacy for classroom assessment. To this e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National Curriculum and investigated literature o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five high school textbooks to determine what issues, particularly in the area of Media, could potentially arise when Language & Media was implemented in a national-level test.
      From the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su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content system and learning elements, and the interpret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were identified as potential issues. Through analyses of five textbooks, the possible issues according to each content area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 on the challenges in relation to securing validity and maintaining equality between elective subjects in national-level testing.
      번역하기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into assessment for the subject, Language & Media, which was newly created as a high school elective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assessment for the Media area of Language & Media ...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into assessment for the subject, Language & Media, which was newly created as a high school elective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assessment for the Media area of Language & Media for a national-level test such as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not for the fundamental and ideal assessment of the media literacy for classroom assessment. To this e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National Curriculum and investigated literature o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five high school textbooks to determine what issues, particularly in the area of Media, could potentially arise when Language & Media was implemented in a national-level test.
      From the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su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content system and learning elements, and the interpret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were identified as potential issues. Through analyses of five textbooks, the possible issues according to each content area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 on the challenges in relation to securing validity and maintaining equality between elective subjects in national-level tes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강민경, 2019, ‘언어와 매체’ 과목의 국가 수준 평가에서의 쟁점 분석, 183 : 515~545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선택 과목으로 신설된 ‘언어와 매체’의 평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대학수학능력시험 등과 같은 국가 수준에서의 평가 상황을 전제로 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으로 인해 처음 실시되는 ‘매체’ 영역의 평가에 대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과 교육과정 관련 연구, 검정 교과서 등을 분석하여 국가 수준에서의 ‘언어와 매체’ 과목 평가, 특히 ‘매체’ 영역과 관련된 평가에서 예상되는 쟁점을 도출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서는 과목의 성격, 내용 체계 및 학습 범위, 성취기준에 대한 해석과 관련된 쟁점을 도출하였으며, 교과서에 대한 1, 2차 분석을 통해 내용 영역별로 예상되는 쟁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언어와 매체’ 과목에서 타당도 확보와 선택 과목 간 유불리 문제 방지라는 평가상의 난제에 대한 논의의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강민경, 2019, ‘언어와 매체’ 과목의 국가 수준 평가에서의 쟁점 분석, 183 : 515~545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선택 과목으로 신설된 ‘언어와 매체’의 평가 방안을 모색하...

      강민경, 2019, ‘언어와 매체’ 과목의 국가 수준 평가에서의 쟁점 분석, 183 : 515~545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선택 과목으로 신설된 ‘언어와 매체’의 평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대학수학능력시험 등과 같은 국가 수준에서의 평가 상황을 전제로 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으로 인해 처음 실시되는 ‘매체’ 영역의 평가에 대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과 교육과정 관련 연구, 검정 교과서 등을 분석하여 국가 수준에서의 ‘언어와 매체’ 과목 평가, 특히 ‘매체’ 영역과 관련된 평가에서 예상되는 쟁점을 도출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서는 과목의 성격, 내용 체계 및 학습 범위, 성취기준에 대한 해석과 관련된 쟁점을 도출하였으며, 교과서에 대한 1, 2차 분석을 통해 내용 영역별로 예상되는 쟁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언어와 매체’ 과목에서 타당도 확보와 선택 과목 간 유불리 문제 방지라는 평가상의 난제에 대한 논의의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민호, "언어와 매체" (주)미래엔 2019

      2 이관규, "언어와 매체" (주)비상 2019

      3 이삼형, "언어와 매체" (주)지학사 2019

      4 최형용, "언어와 매체" 창비 2019

      5 민현식, "언어와 매체" (주)천재교육 2019

      6 이현희, "단어와 매체: 통합 교과서를 지향하며" 한국문법교육학회 26 : 55-89, 2016

      7 교육인적자원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05]"

      8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5]"

      9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❷, 국어"

      10 김진희, "‘매체 언어’와 ‘문법’의 통합 교육을 위한 문법교육 내용의 범주" 한말연구학회 (46) : 59-82, 2017

      1 방민호, "언어와 매체" (주)미래엔 2019

      2 이관규, "언어와 매체" (주)비상 2019

      3 이삼형, "언어와 매체" (주)지학사 2019

      4 최형용, "언어와 매체" 창비 2019

      5 민현식, "언어와 매체" (주)천재교육 2019

      6 이현희, "단어와 매체: 통합 교과서를 지향하며" 한국문법교육학회 26 : 55-89, 2016

      7 교육인적자원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05]"

      8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5]"

      9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❷, 국어"

      10 김진희, "‘매체 언어’와 ‘문법’의 통합 교육을 위한 문법교육 내용의 범주" 한말연구학회 (46) : 59-82, 2017

      11 김규훈, "Korean Educational Application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Integrated Unit Construction of the -" Korea Grammar Education Circle 33 (33): 1-30, 2018

      12 Bo-young Seo, "A comparative study of the Language and Media Textbooks of the revised 2015 National Curriculum"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187 : 219-269, 2019

      13 교육부,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 2019

      14 김현정, "2015 개정 평가기준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부 2018

      15 김현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16 김창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Ⅱ: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