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효과적인 독도 교육을 위한 사회교과의 융합 교재 제작과 수업적용 방안 연구 - 고등학교 체험 중심 독도 교재 제작과 한국사 학습에서의 적용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이 연구의 목적은 독도 교육에 있어 효과적인 독도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과 적용을 위한 방안을 알아보는데 있다. 지금까지 독도 교육은 독도 영유권에 관한 사실을 위주로 지식 전달의 목적으로 학습 활동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독도학습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독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에 근거가 되는 지식의 축적과 더불어 학생 스스로가 독도에 대한 소중함을 자각하고, 배운 지식을 유용하게 활용하여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인식 하는데 있다. 따라서 필자는 연구를 통해 그동안 고등학교에서 활용된 한국사 교과서와 학습 교재를 분석하여 독도 교육에 필요한 교재제작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그 목적을 위해 동북아역사재단의 ‘자기주도형 내가 만드는 독도’ 교재 개발을 진행하였다. 교재 개발 중에 필자는 독도 교육에 있어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 통합적 교재 구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구체적인 교재 제작 및 활용 방안을 적용하였다. 특히 교재의 내용 구성은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교재를 통해 유지할 수 있는 계속성과 계열성, 그리고 통합성에 원칙을 중심으로 독도 학습 활동에 적합한 교재 제작을 통해 효과적인 독도 교육을 위한 교재의 사례를 제시할 수 있었다. 더불어 개발된 교재에 대한 한국사 학습에서의 적합도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교수-학습 활동을 통하여 교재의 유용성과 향후 교재 개발과정에서 보완해야 할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독도 교육에 있어 효과적인 독도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과 적용을 위한 방안을 알아보는데 있다. 지금까지 독도 교육은 독도 영유권에 관한 사실을 위주로 지식 전달의 목...

      이 연구의 목적은 독도 교육에 있어 효과적인 독도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과 적용을 위한 방안을 알아보는데 있다. 지금까지 독도 교육은 독도 영유권에 관한 사실을 위주로 지식 전달의 목적으로 학습 활동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독도학습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독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에 근거가 되는 지식의 축적과 더불어 학생 스스로가 독도에 대한 소중함을 자각하고, 배운 지식을 유용하게 활용하여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인식 하는데 있다. 따라서 필자는 연구를 통해 그동안 고등학교에서 활용된 한국사 교과서와 학습 교재를 분석하여 독도 교육에 필요한 교재제작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그 목적을 위해 동북아역사재단의 ‘자기주도형 내가 만드는 독도’ 교재 개발을 진행하였다. 교재 개발 중에 필자는 독도 교육에 있어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 통합적 교재 구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구체적인 교재 제작 및 활용 방안을 적용하였다. 특히 교재의 내용 구성은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교재를 통해 유지할 수 있는 계속성과 계열성, 그리고 통합성에 원칙을 중심으로 독도 학습 활동에 적합한 교재 제작을 통해 효과적인 독도 교육을 위한 교재의 사례를 제시할 수 있었다. 더불어 개발된 교재에 대한 한국사 학습에서의 적합도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교수-학습 활동을 통하여 교재의 유용성과 향후 교재 개발과정에서 보완해야 할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e study on Dokdo education for Dokdo education materials can be an effective development and for applying for me to check it out the room. So far, knowledge transfer to the facts about Dokdo education is to the Korean-controlled Dokdo islands in the activity for the purpose of learning often. But Dokdo, make a study i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be on the basis of its sovereignty claims to Dokdo importance for the Dokdo yourself a student, along with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Aware of Dokdo with useful knowledge that learn, is to recognise that our territory. Therefore, this writer is the study have been used i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and learning materials that have an analysis of the Dokdo with educational materials required for production oriented. And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extbooks ‘self-directed Dokdo, which I make’. Activity-oriented curriculum integration of a student in Dokdo education in developing textbook materials of the need for specific plans for materials production and use, and the recognition. Applied. The storylines of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n particular middle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 that can be maintained through the Dokdo with the principle of continuity and integrity, and the series of learning. Effective for Dokdo education materials for making the appropriate textbook can provide examples of. In addition,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o find out whether the developed textbooks are suitable for learning Korean history, the usefulness of the textbooks and what needs to be supplemented in the course of future textbook development were confirm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on Dokdo education for Dokdo education materials can be an effective development and for applying for me to check it out the room. So far, knowledge transfer to the facts about Dokdo education is to the Korean-controlled Dokdo...

      The purpose of the study on Dokdo education for Dokdo education materials can be an effective development and for applying for me to check it out the room. So far, knowledge transfer to the facts about Dokdo education is to the Korean-controlled Dokdo islands in the activity for the purpose of learning often. But Dokdo, make a study i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be on the basis of its sovereignty claims to Dokdo importance for the Dokdo yourself a student, along with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Aware of Dokdo with useful knowledge that learn, is to recognise that our territory. Therefore, this writer is the study have been used i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and learning materials that have an analysis of the Dokdo with educational materials required for production oriented. And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extbooks ‘self-directed Dokdo, which I make’. Activity-oriented curriculum integration of a student in Dokdo education in developing textbook materials of the need for specific plans for materials production and use, and the recognition. Applied. The storylines of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n particular middle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 that can be maintained through the Dokdo with the principle of continuity and integrity, and the series of learning. Effective for Dokdo education materials for making the appropriate textbook can provide examples of. In addition,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o find out whether the developed textbooks are suitable for learning Korean history, the usefulness of the textbooks and what needs to be supplemented in the course of future textbook development were confirm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고등학교 한국사 교재에서의 독도 내용 분석
      • Ⅲ. 융합적 독도 교재의 개발
      • Ⅳ. 교재의 한국사 학습 적용 및 평가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고등학교 한국사 교재에서의 독도 내용 분석
      • Ⅲ. 융합적 독도 교재의 개발
      • Ⅳ. 교재의 한국사 학습 적용 및 평가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항해장비운용" 교육부 2019

      2 정병준, "한일 독도영유권 논쟁과 미국의 역할" 한국역사연구회 (60) : 3-16, 2006

      3 김영수, "한국과 일본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의 독도 관련 내용의 비교와 분석"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4 (14): 243-262, 2013

      4 김영수, "한국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독도 기술 현황과 과제-고등학교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3 : 2012

      5 김혜진, "초등학교 실천적 독도교육 방향 모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23-1144, 2019

      6 신범식, "초·중등 역사 교육과정 계열화 방안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17-37, 2010

      7 김수희, "초·중고 역사교과서에서의 독도 기술과 방향성 검토" 역사교육학회 (51) : 43-78, 2013

      8 송호열, "중학교 사회1 교과서의 독도 관련 내용 분석" 한국사진지리학회 21 (21): 17-35, 2011

      9 이만열, "중학교 국사" 문교부 1981

      10 역사교육연구회, "중등 국사" 문교부 1961

      1 교육부, "항해장비운용" 교육부 2019

      2 정병준, "한일 독도영유권 논쟁과 미국의 역할" 한국역사연구회 (60) : 3-16, 2006

      3 김영수, "한국과 일본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의 독도 관련 내용의 비교와 분석"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4 (14): 243-262, 2013

      4 김영수, "한국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독도 기술 현황과 과제-고등학교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3 : 2012

      5 김혜진, "초등학교 실천적 독도교육 방향 모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23-1144, 2019

      6 신범식, "초·중등 역사 교육과정 계열화 방안 연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17-37, 2010

      7 김수희, "초·중고 역사교과서에서의 독도 기술과 방향성 검토" 역사교육학회 (51) : 43-78, 2013

      8 송호열, "중학교 사회1 교과서의 독도 관련 내용 분석" 한국사진지리학회 21 (21): 17-35, 2011

      9 이만열, "중학교 국사" 문교부 1981

      10 역사교육연구회, "중등 국사" 문교부 1961

      11 김호동, "조선 초기 울릉도,독도에 대한 ‘空島政策’ 재검토" 민족문화연구소 (32) : 257-290, 2005

      12 박기범, "자기 주도형 내가 만들어 가는 독도(초등 5・6학년)" 동북아역사재단 2019

      13 박기범, "자기 주도형 내가 만들어 가는 독도(초등 3・4학년)" 동북아역사재단 2019

      14 박기범, "자기 주도형 내가 만들어 가는 독도(중학교)" 동북아역사재단 2019

      15 박기범, "자기 주도형 내가 만들어 가는 독도(고등학교)" 동북아역사재단 2019

      16 김영수, "일본정부의 독도 불법 영토편입의 과정 및 ‘시마네현 고시 제40호’ ‘고시’의 유무" 동북아역사재단 (62) : 237-280, 2018

      17 김화경, "일본 교과서의 독도 기술 실태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사회 과목 교과서의 독도 기술을 중심으로 한 고찰 ―" 한국사상문화학회 (50) : 283-321, 2009

      18 남상구, "일본 교과서 독도기술과 시마네현 독도교육 비교 검토" 독도연구소 (20) : 7-36, 2016

      19 양호환,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삼지원 2002

      20 김채형,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상의 독도영유권" 대한국제법학회 52 (52): 103-124, 2007

      21 황인영, "독도 바로알기(초등학교)" 동북아역사재단 2017

      22 김은희, "독도 바로알기(초등 3・4학년군)" 동북아역사재단 2018

      23 양상진, "독도 바로알기(중학교)" 동북아역사재단 2017

      24 허준, "독도 바로알기(고등학교)" 동북아역사재단 2017

      25 김영수,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전후 석도와 독도 등의 명칭 관련 한국의 인식" 역사학회 (242) : 106-133, 2019

      26 왕현종, "고등학교 한국사" 두산동아 2014

      27 남길수, "고등학교 독도 체험 활동지" 동북아역사재단 2018

      28 최몽룡, "고등학교 국사(하)" 문교부 1990

      29 김두진, "고등학교 국사(하)" 교육부 1996

      30 하현강, "고등학교 국사(하)" 문교부 1983

      31 이명희, "고등학교 국사" 교육과학기술부 2002

      32 渡部昇一, "最新 一本史B (고등학교)" 明成社 2015

      33 "http://www.dokdomuseum.go.kr"

      34 "http://www.dokdohistory.com"

      35 "http://www.dokdo.re.kr"

      36 "http://www.dokdo.go.kr"

      37 "http://dokdo.mofa.go.kr"

      38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