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별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자기이해, 사회화, 이데올로기, 수급자에 대한 태도 요인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63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별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지역의 복지정책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자기이해(self-interest), 사회화, 이데올로기 그리고 수급자에 대한 태도 요인으로 범주화하고 지역별 복지의식과의 이들 관련 요인들과의 인과적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시규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의 경우 수급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요인이 복지의식과 유미한 인과관계를 보인 반면, 소도시는 수급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요인과 복지의식간의 인과적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소도시보다는 엄격한 노동윤리와 개인주의가 강한 대도시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생활권역별로도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경우 자기이해요인이나 사회화요인보다는 이데올로기 요인이나 수급자에 대한 태도요인이 복지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영남권의 경우 자기이해요인과 사회화 요인의 영향력이 복지의식에 유의미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남권에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산업화세대보다는 민주화세대가 긍정적인 복지의식을 보였지만, 호남지역에서는 성별이나 세대와 복지의식간의 유의미한 인과적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역정체성에 맞는 지역주민의 복지의식 제고 방안 마련과 수급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해소 등을 정책과제로 제안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역별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지역의 복지정책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복지의식에 영향...

      본 연구는 지역별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지역의 복지정책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자기이해(self-interest), 사회화, 이데올로기 그리고 수급자에 대한 태도 요인으로 범주화하고 지역별 복지의식과의 이들 관련 요인들과의 인과적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시규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의 경우 수급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요인이 복지의식과 유미한 인과관계를 보인 반면, 소도시는 수급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요인과 복지의식간의 인과적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소도시보다는 엄격한 노동윤리와 개인주의가 강한 대도시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생활권역별로도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경우 자기이해요인이나 사회화요인보다는 이데올로기 요인이나 수급자에 대한 태도요인이 복지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영남권의 경우 자기이해요인과 사회화 요인의 영향력이 복지의식에 유의미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남권에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산업화세대보다는 민주화세대가 긍정적인 복지의식을 보였지만, 호남지역에서는 성별이나 세대와 복지의식간의 유의미한 인과적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역정체성에 맞는 지역주민의 복지의식 제고 방안 마련과 수급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해소 등을 정책과제로 제안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al welfare policy design and implementation at the local level is an important terrain for analyzing the transition from government to governance. Local government have quite different finance conditions and welfare resources. So, Local government carry out a plan to pallin with local environment. Specially, Korea has experimented deep-tooted provincialism and its provincialism has been an effect on provincial welfare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ssociated factors that influencing on welfare attitudes of region. The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is a second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st, welfare attitude of people differ slightly along local level. For instance, welfare attitude of big city is influenced by a agree about welfare tax and attitude on the recipient. but welfare attitude of small town is influenced by labor market participation, education level, generation, and ideology. Second, provincialism influence on welfare attitude of region. For instance, welfare attitude of national capital district mainly influenced by ideology and attitude on the recipient. Young-Nam district mainly influenced by self-interest, socialization, ideology and attitude on the recipient. Specially, Socialization, self-interest, and attitude on the recipient have an influence on welfare attitude in Ho-Nam district.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at improvement in negative recognition on the recipient, strengthening value of equality, and understand change of a local resident.
      번역하기

      Social welfare policy design and implementation at the local level is an important terrain for analyzing the transition from government to governance. Local government have quite different finance conditions and welfare resources. So, Local government...

      Social welfare policy design and implementation at the local level is an important terrain for analyzing the transition from government to governance. Local government have quite different finance conditions and welfare resources. So, Local government carry out a plan to pallin with local environment. Specially, Korea has experimented deep-tooted provincialism and its provincialism has been an effect on provincial welfare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ssociated factors that influencing on welfare attitudes of region. The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is a second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st, welfare attitude of people differ slightly along local level. For instance, welfare attitude of big city is influenced by a agree about welfare tax and attitude on the recipient. but welfare attitude of small town is influenced by labor market participation, education level, generation, and ideology. Second, provincialism influence on welfare attitude of region. For instance, welfare attitude of national capital district mainly influenced by ideology and attitude on the recipient. Young-Nam district mainly influenced by self-interest, socialization, ideology and attitude on the recipient. Specially, Socialization, self-interest, and attitude on the recipient have an influence on welfare attitude in Ho-Nam district.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at improvement in negative recognition on the recipient, strengthening value of equality, and understand change of a local resid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 Ⅲ. 조사대상 및 방법
      • Ⅲ. 분석결과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고찰
      • Ⅲ. 조사대상 및 방법
      • Ⅲ. 분석결과
      • Ⅳ. 결론 및 함의
      • 참고문헌
      • 〈Abstract〉
      • 저자소개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자, "한국인의 복지태도의 분화" 8 : 106-124, 1999

      2 이중섭,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73-99, 2009

      3 김신영, "한국 청소년의 복지의식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후복지 책임주체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9 (9): 23-42, 2008

      4 최장집, "한국 민주주의 의론" 한길 1993

      5 이현출, "한국 국민의 이념성향: 특성과 변화" 한국정치학회 39 (39): 321-343, 2005

      6 차종천, "지역주의적 선거와 유권자: 제13대 대통령 선거 후보지지에 대한 로짓분석" 22 (22): 2143-2158, 1988

      7 초의수, "지역균형발전의 실천전략: 지방도시 활성화 방안" 39 (39): 33-53, 2003

      8 황아란, "정치세대와 이념성향: 민주화 성취세대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5 (15): 123-152, 2009

      9 조경근, "정치사회화의 시각에서 본 영호남간의 지역감정의 실재와 악화 및 그 해소" 107-126, 1987

      10 조명래, "자치시대 지역주의의 양상과 쟁점-신지역주의와 지역민주주의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18 (18): 43-70, 2006

      1 김희자, "한국인의 복지태도의 분화" 8 : 106-124, 1999

      2 이중섭,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73-99, 2009

      3 김신영, "한국 청소년의 복지의식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후복지 책임주체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9 (9): 23-42, 2008

      4 최장집, "한국 민주주의 의론" 한길 1993

      5 이현출, "한국 국민의 이념성향: 특성과 변화" 한국정치학회 39 (39): 321-343, 2005

      6 차종천, "지역주의적 선거와 유권자: 제13대 대통령 선거 후보지지에 대한 로짓분석" 22 (22): 2143-2158, 1988

      7 초의수, "지역균형발전의 실천전략: 지방도시 활성화 방안" 39 (39): 33-53, 2003

      8 황아란, "정치세대와 이념성향: 민주화 성취세대를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5 (15): 123-152, 2009

      9 조경근, "정치사회화의 시각에서 본 영호남간의 지역감정의 실재와 악화 및 그 해소" 107-126, 1987

      10 조명래, "자치시대 지역주의의 양상과 쟁점-신지역주의와 지역민주주의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18 (18): 43-70, 2006

      11 김영란, "이데올로기와 복지태도" 9 : 229-249, 1995

      12 이남영, "유권자의 지역주의 성향과 투표. in : 한국의 선거" 푸른길 1998

      13 공인숙, "영·호남 지역 아동 및 청소년의 지역감정 평가"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59-167, 2007

      14 안치민, "사회복지에 대한 의식과 계급" 9 (9): 211-227, 1995

      15 류진석, "복지태도의 미시적 결정구조와 특성"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79-101, 2004

      16 류만희, "복지정책에 대한 지지도 연구: 복지의식, 계층, 자기이해(self-interest)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3 (13): 191-210, 2009

      17 조돈문, "복지의식의 계급효과와 공사부문 효과" 7 (7): 11-41, 2001

      18 신광영, "경제위기와 한국인의 복지의식: 사회계급별 복지의식을 중심으로" 아산사회복지재단 2003

      19 Craig, S. C., "Winners, Losers, and Election Context: Voter Responses to the 2000 Election" 2006

      20 Van Oorshot, W., "Why Pay for Welfare? A sociological analysis of reasons for welfare" 46 : 15-36, 2000

      21 Rimlinger, G. V., "Welfare policy and industrialization in Europe, America and Russia" John Wiley and Sons 1971

      22 Arts, W., "Welfare States, Solidarity and Justice Principles: Does the Type Really Matter?" 44 : 284-299, 2001

      23 Edlund, J., "Trust in government and welfare regimes: attitudes to redistribution and financial cheating in the USA and Norway" 35 : 341-370, 1999

      24 Cnaan, R. A., "Toward welfare-state programs; Path analysis with log-liner models" 29 : 123-152, 1992

      25 Esping-Anderson, G.,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Cambridge 1990

      26 Kulesa, "The role of values in determining welfare attitudes" 2009

      27 Svallfors, S., "The end of class politics? structural cleavages and attitudes to swedish welfare policies" 38 : 53-74, 1995

      28 Hansenfeld, Y., "The determinants of public attitudes toward the welfare state" 67 : 1027-1048, 1989

      29 Berger, J., & Ullrich, C. G., "The acceptance of the welfare state"

      30 Feldman, S., "The Humanitarian Foundation of Public Support for Social Welfare" 45 : 658-677, 2001

      31 Koster, F., "The European union's impact on welfare state attitudes: A longitudinal and multilevel investigation" 2008

      32 Taylor-Gooby, P., "Sustaining state welfare in hard times: Who will foot the bill" 11 (11): 133-147, 2001

      33 Pontinen, S., "Stability and Change in the Public Support for the Welfare State: Finland 1975-1985" 8 : 1-25, 1985

      34 Gilens, M., "Racial attitudes and opposition to welfare" 57 : 994-1014, 1995

      35 Blekesaune, M., "Public attitudes toward welfare state polic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24 nations" 19 : 415-427, 2003

      36 Staerkle, C., "Policy attitudes, ideological values and social representations"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2008

      37 Kluegel, J., "Justice Beliefs and Support for Welfare Statein Advanced Capitalism. in : Social justice and Political Change: Public Opinion in Capitalist and Post-communist States" Aldine de Gruyter 81-105, 1995

      38 Gutierrez, I. C., "Gender: A new political cleavage in the Welfare State?" 2003

      39 Andress, H. j., "Four Worlds of Welfare State Attitudes? A Comparison 0f Germany, Norway, and the United States" 17 : 337-356, 2001

      40 Roller, E., "Einstellungen der Büurger zum Wohlfahrtsstaat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Westdeutscher Verlag 1992

      41 Sihvo, T., "Economic crisis and support for the welfare state in Finland 1975-93" 38 : 252-262, 1995

      42 Svallfors, S., "Class, attitudes, and the welfare state: Sweden in comparative perspective" 39 (39): 119-138,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