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성운, "현대 디지털 아트의 비표상에 대한 해체미학적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2012
2 하제원, "하이데거 기초존재론에서의 공간개념. “세방화”의 가능성에 대하여" 한국하이데거학회 (15) : 663-690, 2007
3 윤효녕, "주체 개념의 비판"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1999
4 윤민희, "아른하임의 조형심리적 이론에대한 再考" 한국디자인학회 (49) : 1997
5 만 프레드 프랭크, "신구조주의란 무엇인가 1" 인간사랑 1998
6 Paul Messaris, "설득이미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7 서동욱, "문자론에서 타자론으로 - 데리다 해체의 도정 -" 철학연구소 64 : 129-158, 2021
8 박아청, "Asia Design Journal"
9 E. H. Gombrich., "Art and Illusion" Princeton Univ. Press 2000
1 김성운, "현대 디지털 아트의 비표상에 대한 해체미학적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2012
2 하제원, "하이데거 기초존재론에서의 공간개념. “세방화”의 가능성에 대하여" 한국하이데거학회 (15) : 663-690, 2007
3 윤효녕, "주체 개념의 비판"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1999
4 윤민희, "아른하임의 조형심리적 이론에대한 再考" 한국디자인학회 (49) : 1997
5 만 프레드 프랭크, "신구조주의란 무엇인가 1" 인간사랑 1998
6 Paul Messaris, "설득이미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7 서동욱, "문자론에서 타자론으로 - 데리다 해체의 도정 -" 철학연구소 64 : 129-158, 2021
8 박아청, "Asia Design Journal"
9 E. H. Gombrich., "Art and Illusion" Princeton Univ. Press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