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탈중심 아이덴티티의 시지각 항등성(恒等性) = Visual Perception Constancy of Decentralized Ident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63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to find out whether the decentralized image of deconstruction and experimental expression is consistently delivered to the visual acceptor. By interpreting this as a theory of decentralization and perception, we tried to prove the possibility and value and meaning of utiliz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Focusing on deconstruction and experimental identity design cases, the current situation will be identified and analyzed. It verifies whether it meets the requirements of decentralized identity, and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cases and perspectives as new alternativ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visual perception constancy. In decentralized identity, the identity that maintains a certain basic image maintains the essence of the object and has active 'identity'. It represents 'variability' that maintains the original consistency and develops the theme, shape, color, and story variably. And it enables the supplementation and association of the essence beyond the central control system of conceptual and visual expansion. In other words, it has the ‘expansion’ of individual subjects. In addition, the fundamental essence of the object appears as a ‘movement’ that reveals a lively image by inducing an interpretation that implies dynamic and enterprising movement and organic form of expression and meaning. Decentralized identity can provide a new visual environment in a diverse and complex media environment, and visual perception constancy can be imprinted as a lively image with a clear visual identity.
      번역하기

      It is to find out whether the decentralized image of deconstruction and experimental expression is consistently delivered to the visual acceptor. By interpreting this as a theory of decentralization and perception, we tried to prove the possibility an...

      It is to find out whether the decentralized image of deconstruction and experimental expression is consistently delivered to the visual acceptor. By interpreting this as a theory of decentralization and perception, we tried to prove the possibility and value and meaning of utiliz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Focusing on deconstruction and experimental identity design cases, the current situation will be identified and analyzed. It verifies whether it meets the requirements of decentralized identity, and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cases and perspectives as new alternativ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visual perception constancy. In decentralized identity, the identity that maintains a certain basic image maintains the essence of the object and has active 'identity'. It represents 'variability' that maintains the original consistency and develops the theme, shape, color, and story variably. And it enables the supplementation and association of the essence beyond the central control system of conceptual and visual expansion. In other words, it has the ‘expansion’ of individual subjects. In addition, the fundamental essence of the object appears as a ‘movement’ that reveals a lively image by inducing an interpretation that implies dynamic and enterprising movement and organic form of expression and meaning. Decentralized identity can provide a new visual environment in a diverse and complex media environment, and visual perception constancy can be imprinted as a lively image with a clear visual ident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디지털미디어 시대에서 해체적 관점의 실험적 표현인 탈중심 이미지가 시각 수용자에게 일정하게 전달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탈중심과 지각이론으로 해석하여 디지털화된 환경에서의 실천가능성 및 활용 가치와 의미를 증명하고자 했다.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영역에서 해체와 실험적 사례를 중심으로현황을 파악하여 분석한 후 탈중심 아이덴티티의 요건에 부합하는지를 검증하고 시지각 항등성의 원리에 따라 사례의 특성과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관점을 제시한다. 탈중심 아이덴티티에서 일정한 기본이미지를 유지하는 항등성은 대상체의 본질을 유지하며 적극적인 ‘주체성(主體性)’을 가지고 있으며, 본래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주제, 형태, 색상, 스토리 등을 가변적으로 전개하는 ‘변이성(變異性)’을 나타낸다. 그리고 개념적, 시각적 확장의 중심지배 체제를 벗어난 본질의 보완과 연상을 가능케 한다. 즉 개별적 주체들의 ‘확장성(擴張性)’을 가진다. 또한, 대상체의근원적 본질이 역동적, 진취적인 움직임과 유기적 형태의 표현과 의미를 함축한 해석을 유도하여 생동하는 이미지를 드러내는 ‘생동감(生動感)’으로 나타난다. 아날로그 미디어와 디지털미디어가 교차하고 공존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 환경은 다양하고 복잡한 미디어에 대응하는 시각적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탈중심화는 이를 수용 가능한 상태의 시각 환경을 마련해 줄 수 있으며, 시지각 항등성으로 인하여 보다 명확한 시각적 정체성으로 생동(生動)하는이미지로 각인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디지털미디어 시대에서 해체적 관점의 실험적 표현인 탈중심 이미지가 시각 수용자에게 일정하게 전달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탈중심과 지각이론으로 ...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디지털미디어 시대에서 해체적 관점의 실험적 표현인 탈중심 이미지가 시각 수용자에게 일정하게 전달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탈중심과 지각이론으로 해석하여 디지털화된 환경에서의 실천가능성 및 활용 가치와 의미를 증명하고자 했다.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영역에서 해체와 실험적 사례를 중심으로현황을 파악하여 분석한 후 탈중심 아이덴티티의 요건에 부합하는지를 검증하고 시지각 항등성의 원리에 따라 사례의 특성과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관점을 제시한다. 탈중심 아이덴티티에서 일정한 기본이미지를 유지하는 항등성은 대상체의 본질을 유지하며 적극적인 ‘주체성(主體性)’을 가지고 있으며, 본래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주제, 형태, 색상, 스토리 등을 가변적으로 전개하는 ‘변이성(變異性)’을 나타낸다. 그리고 개념적, 시각적 확장의 중심지배 체제를 벗어난 본질의 보완과 연상을 가능케 한다. 즉 개별적 주체들의 ‘확장성(擴張性)’을 가진다. 또한, 대상체의근원적 본질이 역동적, 진취적인 움직임과 유기적 형태의 표현과 의미를 함축한 해석을 유도하여 생동하는 이미지를 드러내는 ‘생동감(生動感)’으로 나타난다. 아날로그 미디어와 디지털미디어가 교차하고 공존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 환경은 다양하고 복잡한 미디어에 대응하는 시각적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탈중심화는 이를 수용 가능한 상태의 시각 환경을 마련해 줄 수 있으며, 시지각 항등성으로 인하여 보다 명확한 시각적 정체성으로 생동(生動)하는이미지로 각인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운, "현대 디지털 아트의 비표상에 대한 해체미학적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2012

      2 하제원, "하이데거 기초존재론에서의 공간개념. “세방화”의 가능성에 대하여" 한국하이데거학회 (15) : 663-690, 2007

      3 윤효녕, "주체 개념의 비판"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1999

      4 윤민희, "아른하임의 조형심리적 이론에대한 再考" 한국디자인학회 (49) : 1997

      5 만 프레드 프랭크, "신구조주의란 무엇인가 1" 인간사랑 1998

      6 Paul Messaris, "설득이미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7 서동욱, "문자론에서 타자론으로 - 데리다 해체의 도정 -" 철학연구소 64 : 129-158, 2021

      8 박아청, "Asia Design Journal"

      9 E. H. Gombrich., "Art and Illusion" Princeton Univ. Press 2000

      1 김성운, "현대 디지털 아트의 비표상에 대한 해체미학적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2012

      2 하제원, "하이데거 기초존재론에서의 공간개념. “세방화”의 가능성에 대하여" 한국하이데거학회 (15) : 663-690, 2007

      3 윤효녕, "주체 개념의 비판"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1999

      4 윤민희, "아른하임의 조형심리적 이론에대한 再考" 한국디자인학회 (49) : 1997

      5 만 프레드 프랭크, "신구조주의란 무엇인가 1" 인간사랑 1998

      6 Paul Messaris, "설득이미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7 서동욱, "문자론에서 타자론으로 - 데리다 해체의 도정 -" 철학연구소 64 : 129-158, 2021

      8 박아청, "Asia Design Journal"

      9 E. H. Gombrich., "Art and Illusion" Princeton Univ. Press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