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OpenAccess

      외간남자-여자' 관계 서사민요의 구조적 특성과 의미 = Structure and Meaning of Folk Ballads About Extramarital Affai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073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서사민요 중 외간남자와 여자의 관계를 다루고 있는 유형을 대상으로 그 구조적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외간남자-여자' 관계 서사민요에는 <외간남자의 옷이 찢기자 꿰매주는 여자>, <외간남자와 정을 통하다 들킨 여자>, <주머니를 걸어놓고 남자 유혹하는 처녀>, <중이 유혹하나 거절하는 여자>, <중에게 시주한 뒤 쫓겨나는 여자>, <장사가 성기를 팔자 이를 사는 과부>, <장사가 자고간 뒤 그리워하는 과부> 등 일곱 가지 유형이 있다. 혼외 남녀 관계를 금기시하고 있는 전통 사회에서 이들 관계를 다루고 있는 서사민요가 이만큼 다양한 유형으로 전승될 뿐만 아니라 이들 서사민요가 담당층의 성에 대한 솔직한 욕구와 기대를 거리낌 없이 구체적으로 형상화해내고 있음은 매우 획기적이다. 이는 사회적 규범과 금기에도 불구하고 평민 특히 서사민요의 주 담당층인 평민 여성들은 그들의 본능과 욕구를 자연스럽게 표출하고 노래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들 유형은 대부분 결말을 제시하지 않는 양면복합형이나 좌절에 이르는 좌절우위형의 구조적 특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외간남자와 여자의 관계가 결코 행복한 결말에 이룰 수 없는 사회적 현실과 이러한 현실과 금기를 그대로 수용하지 않는 서사민요 담당층의 인식을 함께 보여준다. '외간남자-여자' 관계 서사민요는 외간남자와 여자 간에 이루어지는 일상적인 소재를 꿈이나 환상 등에 의해 변형하지 않고 사실적으로 그려냄으로써, 전통사회에서의 외간남자와 여자 사이에 놓여 있는 현실과 이러한 현실 속에서 민요의 담당층들이 갖고 있던 솔직한 내면을 들여다보게 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에서는 서사민요 중 외간남자와 여자의 관계를 다루고 있는 유형을 대상으로 그 구조적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외간남자-여자' 관계 서사민요에는 <외간남자의 옷이 찢기자 ...

      이 논문에서는 서사민요 중 외간남자와 여자의 관계를 다루고 있는 유형을 대상으로 그 구조적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외간남자-여자' 관계 서사민요에는 <외간남자의 옷이 찢기자 꿰매주는 여자>, <외간남자와 정을 통하다 들킨 여자>, <주머니를 걸어놓고 남자 유혹하는 처녀>, <중이 유혹하나 거절하는 여자>, <중에게 시주한 뒤 쫓겨나는 여자>, <장사가 성기를 팔자 이를 사는 과부>, <장사가 자고간 뒤 그리워하는 과부> 등 일곱 가지 유형이 있다. 혼외 남녀 관계를 금기시하고 있는 전통 사회에서 이들 관계를 다루고 있는 서사민요가 이만큼 다양한 유형으로 전승될 뿐만 아니라 이들 서사민요가 담당층의 성에 대한 솔직한 욕구와 기대를 거리낌 없이 구체적으로 형상화해내고 있음은 매우 획기적이다. 이는 사회적 규범과 금기에도 불구하고 평민 특히 서사민요의 주 담당층인 평민 여성들은 그들의 본능과 욕구를 자연스럽게 표출하고 노래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들 유형은 대부분 결말을 제시하지 않는 양면복합형이나 좌절에 이르는 좌절우위형의 구조적 특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외간남자와 여자의 관계가 결코 행복한 결말에 이룰 수 없는 사회적 현실과 이러한 현실과 금기를 그대로 수용하지 않는 서사민요 담당층의 인식을 함께 보여준다. '외간남자-여자' 관계 서사민요는 외간남자와 여자 간에 이루어지는 일상적인 소재를 꿈이나 환상 등에 의해 변형하지 않고 사실적으로 그려냄으로써, 전통사회에서의 외간남자와 여자 사이에 놓여 있는 현실과 이러한 현실 속에서 민요의 담당층들이 갖고 있던 솔직한 내면을 들여다보게 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cerns abou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folk ballads about the extramarital affair. Folk ballads about the extramarital affair consists of seven types. (1) The woman who sew a paramour's pants. (2) The woman who detected in affair by her husband. (3) The girl who seduce a man. (4) The girl who reject a monk. (5) The girl who is thrown out of house because of offering to a monk. (6) The widow who buy a penis from a peddler. (7) The widow who miss a peddler. The structure can be classified with three sub-types: the first is the type of desire completion, the second is the type of demand frustration, and the last is the mixed type. Most of folk ballads about the extramarital affair belong to the type of demand frustration and the mixed type, i.e. a couple die or separated. Most of folk ballads about the extramarital affair are closed with the unhappy ending, meanwhile only The widow who buy a penis from a peddler is closed with the happy ending. This means that it is not easy for the lovers in the extramarital relationships in the traditional society to be happy. This shows the reality of life and a person's spiritlessness confronting with the reality in the traditional society.
      People who create and transmit folk ballads about the extramarital affair express their consciousness through them as follows.
      1) They have the open attitude at the extramarital relationships cannot be true.
      2) They express and criticize a traditional system of marriage.
      3) Women reject the sexual violation.
      Folk ballads about an extramarital affair is composed of a dramatic narrative story and contains the frankness in people's consciousness. They could, therefore, be got very important valuation in literal estim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concerns abou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folk ballads about the extramarital affair. Folk ballads about the extramarital affair consists of seven types. (1) The woman who sew a paramour's pants. (2) The woman who detecte...

      This paper concerns abou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folk ballads about the extramarital affair. Folk ballads about the extramarital affair consists of seven types. (1) The woman who sew a paramour's pants. (2) The woman who detected in affair by her husband. (3) The girl who seduce a man. (4) The girl who reject a monk. (5) The girl who is thrown out of house because of offering to a monk. (6) The widow who buy a penis from a peddler. (7) The widow who miss a peddler. The structure can be classified with three sub-types: the first is the type of desire completion, the second is the type of demand frustration, and the last is the mixed type. Most of folk ballads about the extramarital affair belong to the type of demand frustration and the mixed type, i.e. a couple die or separated. Most of folk ballads about the extramarital affair are closed with the unhappy ending, meanwhile only The widow who buy a penis from a peddler is closed with the happy ending. This means that it is not easy for the lovers in the extramarital relationships in the traditional society to be happy. This shows the reality of life and a person's spiritlessness confronting with the reality in the traditional society.
      People who create and transmit folk ballads about the extramarital affair express their consciousness through them as follows.
      1) They have the open attitude at the extramarital relationships cannot be true.
      2) They express and criticize a traditional system of marriage.
      3) Women reject the sexual violation.
      Folk ballads about an extramarital affair is composed of a dramatic narrative story and contains the frankness in people's consciousness. They could, therefore, be got very important valuation in literal estim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각 유형의 구조적 특성과 의미
      • 3.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각 유형의 구조적 특성과 의미
      • 3.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9

      2 박경수, "한국민요의 유형과 성격" 국학자료원 1-431, 1998

      3 "한국민요대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편, 문화방송," 1996

      4 서영숙, "우리 민요의 세계" 도서출판 역락 1-512, 2002

      5 강진옥, "여성서사민요에 나타난 관계양상과 향유의식" 태학사 464-513, 1999

      6 서영숙, "시집살이노래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1-290, 1996

      7 김대행, "시가시학연구" 이화여대출판부 1991

      8 고혜경, "서사민요의 장르적 성격" 민요학회 4 : 1995

      9 고혜경, "서사민요의 유형연구 부부결합형을 중심으로」" 1983

      10 조동일, "서사민요연구" 계명대 출판부 1979증보판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9

      2 박경수, "한국민요의 유형과 성격" 국학자료원 1-431, 1998

      3 "한국민요대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편, 문화방송," 1996

      4 서영숙, "우리 민요의 세계" 도서출판 역락 1-512, 2002

      5 강진옥, "여성서사민요에 나타난 관계양상과 향유의식" 태학사 464-513, 1999

      6 서영숙, "시집살이노래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1-290, 1996

      7 김대행, "시가시학연구" 이화여대출판부 1991

      8 고혜경, "서사민요의 장르적 성격" 민요학회 4 : 1995

      9 고혜경, "서사민요의 유형연구 부부결합형을 중심으로」" 1983

      10 조동일, "서사민요연구" 계명대 출판부 1979증보판

      11 허남춘, "서사민요란 장르규정에 대한 이의" 월인 355-374, 1999

      12 이정아, "서사민요 연구 : 양식적 특성을 중심으로" 1993

      13 강등학, "민요의 현장과 장르의 기능」 민요와 민중의 삶" 우석출판사 1994

      14 "민요의 구연방식과 기능의 상관 노동요를 중심으로」 민요와 민중의 삶" 우석출판사 1994

      15 서영숙, "‘총각 - 처녀’형 서사민요의 유형구조와 의미" 한국문학회 34 : 14-432,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9 2.52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