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중등교육에서 진행되고 있는 중세국어 관련 교육 내용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중세국어 교육을 위한 내용 선정의 유의점과 선정의 실제를 제안해 보았다. 먼저 교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중등교육에서 진행되고 있는 중세국어 관련 교육 내용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중세국어 교육을 위한 내용 선정의 유의점과 선정의 실제를 제안해 보았다. 먼저 교과...
본고는 중등교육에서 진행되고 있는 중세국어 관련 교육 내용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중세국어 교육을 위한 내용 선정의 유의점과 선정의 실제를 제안해 보았다. 먼저 교과서 내용에 대한 검토를 통해 ⅰ) 언어와 표기의 특징 혼동 문제, ⅱ) 논란의 여지가 있는 내용의 수록 문제, ⅲ) 기술된 내용의 정확성 문제, ⅳ) 제시된 내용의 균질성 문제를 언급했다. 이어서 중세국어 내용 선정의 유의점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세국어의 소개 내용과 더불어 표기, 음운, 문법, 어휘, 변화, 문헌자료 및 훈민정음 관련 내용을 선정해 제안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educational contents regarding middle Korean, and showed the caution and practice in selecting desirable educational contents of middle Korean. First of all I mentioned some problems by...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educational contents regarding middle Korean, and showed the caution and practice in selecting desirable educational contents of middle Korean. First of all I mentioned some problems by examining the contents in textbooks as follows: ⅰ) confusion of language and literal notation, ⅱ) inclusion of debatable contents, ⅲ) correctness of reading contents, ⅳ) symmetry of presented contents. Then, I showed caution in selecting contents and suggested a series of contents about middle Korean, relating to introduction to middle Korean, lettering, phonemes, grammar, vocabulary, change, documents and Hunminjeongeu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신항, "훈민정음(한글)창제와 연구사" 경진 2010
2 김유범, "행실도(行實圖)류의 역주 방법론 연구" 국어사학회 2 (2): 23-48, 2011
3 고영근,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10
4 김유범, "중세국어 문법 교육과 언해본 三綱行實圖" 새얼어문학회 18 : 185-211, 2006
5 박보현, "중세 국어 의문문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15 : 97-124, 2011
6 김유범, "중세 국어 문법의 효과적 교육을 위한 모색" 청람어문교육학회 13 (13): 139-163, 2006
7 이승희, "조선시대 한글편지를 활용한 국어사 교육"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219-246, 2011
8 김유범, "옛말 텍스트 강독을 통한 옛말의 문법 교육"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11 : 5-29, 2007
9 윤선미, "연계성 중심의 고등학교 중세국어 문법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김유범, "언해본 ??삼강행실도??의 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특징의 활용 가치 분석(1)―?효자도?를 대상으로―" 민족문화연구소 2007 (2007): 465-489, 2007
1 강신항, "훈민정음(한글)창제와 연구사" 경진 2010
2 김유범, "행실도(行實圖)류의 역주 방법론 연구" 국어사학회 2 (2): 23-48, 2011
3 고영근,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2010
4 김유범, "중세국어 문법 교육과 언해본 三綱行實圖" 새얼어문학회 18 : 185-211, 2006
5 박보현, "중세 국어 의문문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15 : 97-124, 2011
6 김유범, "중세 국어 문법의 효과적 교육을 위한 모색" 청람어문교육학회 13 (13): 139-163, 2006
7 이승희, "조선시대 한글편지를 활용한 국어사 교육"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219-246, 2011
8 김유범, "옛말 텍스트 강독을 통한 옛말의 문법 교육"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11 : 5-29, 2007
9 윤선미, "연계성 중심의 고등학교 중세국어 문법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김유범, "언해본 ??삼강행실도??의 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특징의 활용 가치 분석(1)―?효자도?를 대상으로―" 민족문화연구소 2007 (2007): 465-489, 2007
11 김유범, "언해본 『삼강행실도』의 텍스트에 나타난 문법적 특징의 활용 가치 분석(2) - ≪충신도≫를 대상으로" 우리어문학회 (30) : 265-297, 2008
12 최유미, "언간 자료의 국어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3 김유범, "문헌어의 음성적 구현을 위한 연구(1): 15세기 문헌자료 언해본『훈민정음』의 '어제서문'을 대상으로" 한국어학회 34 : 169-207, 2007
14 이익섭, "국어표기법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2
15 김무림, "국어의 역사" 한국문화사 2004
16 이기문, "국어사개설(신정판)" 태학사 1998
17 장윤희, "국어사 지식과 고전문학 교육의 상관성" 한국어교육학회 38 (38): 13-400, 2002
18 박형우, "국어사 교육의 내용 선정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4 (14): 143-166, 2004
19 김영욱, "국어사 교육은 과연 필요한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26 : 85-110, 1998
20 김도혁, "국어사 교육 내용과 제재에 대한 연구 :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1 이관규, "국어사 교수 학습 내용의 체계성과 위계성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회 40 (40): 407-432, 2004
22 교육인적자원부,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23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24 이도영,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의 국어사" 서울대학교사범대학 국어교육과 27 : 303-326, 1999
25 김미미, "국어 교육을 위한 한글 子母字 체제의 음운론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6 박형우, "국어 교육에서의 중세국어 문법 교육" 한국문법교육학회 4 : 131-158, 2006
27 박영목 외,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Ⅱ" (주)지학사 2012
28 윤여탁 외,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Ⅱ" (주)미래엔 2012
29 이삼형 외,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Ⅱ" (주)지학사 2012
30 이남호 외,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Ⅱ" (주)비상교육 2012
31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32 조남현 외, "고등학교 국어(하)교과서" (주)교학사 2011
33 김대행 외, "고등학교 국어(하)교과서" (주)천재 2011
34 박갑수 외, "고등학교 국어(하)교과서" (주)지학사 2011
35 문영진 외, "고등학교 국어(하)교과서" (주)창비 2011
36 민현식 외, "고등학교 국어(하)교과서" (주)좋은책신사고 2011
37 김종철 외, "고등학교 국어(하)교과서" (주)천재 2011
38 김병권 외, "고등학교 국어(하)교과서" (주)더텍스트 2011
39 윤희원 외, "고등학교 국어(하)교과서" (주)금성출판사 2011
40 오세영 외, "고등학교 국어(하)교과서" 해냄에듀 2011
41 방민호 외, "고등학교 국어(하)교과서" (주)지학사 2011
42 박호영 외, "고등학교 국어(하)교과서" (주)유웨이중앙교육 2011
43 한철우 외, "고등학교 국어(상)교과서" (주)비상교육 2011
44 우한용, "고등학교 국어 (하)" 두산동아 2011
45 이삼형, "고등학교 국어 (하)" 디딤돌 2011
46 윤여탁, "고등학교 국어 (상)" 미래엔컬처그룹 2011
47 박영목, "고등학교 국어 (상)" (주) 천재교육 2011
48 남풍현, "고대한국어연구" 시간의 물레 2009
49 김유범, "고대국어 문법 연구의 회고" 한국어학회 55 : 41-64, 2012
50 민현식, "統合的 文法 敎育의 意義와 方向"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1-37, 2010
51 박성종, "古典 교육에 대한 국어학적 접근" 한국어교육학회 96 : 53-80, 1997
52 남풍현, "古代國語의 時代 區分" 구결학회 (11) : 1-22, 2003
53 김부연, "『훈민정음』 해례본의 국어과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4 김부연, "≪훈민정음≫ 사진 자료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어학회 55 : 103-137, 2012
55 장윤희, "≪飜譯老乞大≫를 통해 본 중국의 생활 문화" 한중인문학회 1 (1): 267-292, 2005
56 김유범, "‘ㄱ’탈락 현상의 소멸에 관한 고찰 - 16세기 이후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 우리말학회 (23) : 31-53, 2008
국어사 교육의 내용 선정 현황과 방향성 탐색 - 근대국어 자료를 중심으로
『대명률직해』의 정본 확정을 위한 기초 연구 (1) - 고려대 도서관과 서울대 규장각 소장본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국어사연구(학회지 명칭 변경) -> 국어사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04-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국어사자료학회 -> 국어사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1 | 0.61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 | 0.62 | 1.345 | 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