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와 치아주위조직을 구성하는 경조직 -법량질, 상아질, 백악질, 뼈 -은 하나의 기능적 단위로 작용함으로써 악골에부착된 치아가 적절한 저작기능을 할 수있게 한다. 이러한 경조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937682
2013
Korean
학술저널
57-67(1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치아와 치아주위조직을 구성하는 경조직 -법량질, 상아질, 백악질, 뼈 -은 하나의 기능적 단위로 작용함으로써 악골에부착된 치아가 적절한 저작기능을 할 수있게 한다. 이러한 경조직...
치아와 치아주위조직을 구성하는 경조직 -법량질, 상아질, 백악질, 뼈 -은 하나의 기능적 단위로 작용함으로써 악골에부착된 치아가 적절한 저작기능을 할 수있게 한다. 이러한 경조직의 하나인 백악질은 치근을 피개하여 치주인대의 부착지점이 되는데, 저작 중 가해지는 힘은 백악질과 치주인대의 부착을 통해 효과적으로 악골에 전달될 수 있다. 백악질 이 매개하는 치아의 부착 및 지지가소실되면, 치아의 동요.7} 일어나게 되며심한 경우 치아가 상실되기도 한다 이러한 부착의 소실은 비교적 흔히 발생하여 30 세 이상 성인의 약 30%가 치주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기도 하였다1) 대부분의 경우 한번 파괴된 치주조직은 회복되기 어려운 것으로알려져 있지만, 인구의 노령화와 더불어병적 증상의 완화 뿐 아니라 치주조직의 재생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백악질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백악질과 뼈의 차이 규명, 백악모세포 분화인자 및재생인자의 탐색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국치주과학교수협의회, "치주과학" 군자출판사 49-, 2005
2 보건복지부, "국민건강통계"
3 Nanci A, "Ten Cates’s Oral Histology: Development, structure, and function" Elsevier 212-, 2013
4 Salmon CR, "Proteomic analysis of human dental cementum and alveolar bone" 91C : 544-555, 2013
5 McCauley LK, "Mineralized Tissues in Oral and Craniofacial Science: Biological Principles and Clinical Correlates" Wiley-Blackwell 172-, 2012
6 Foster BL, "Method for studying tooth root cementum by light microscopy. Methods for studying tooth root cementum by light microscopy" 4 (4): 119-128, 2012
7 Roguljic H, "In vivo Identification of Periodonta1 Progenitor Cells" 92 (92): 709-715, 2013
8 Bosshardt DD, "Hertwig's epithelial root sheath, enamel matrix proteins, and initiation of cementogenesis in porcine teeth" 31 : 184-192, 2004
9 Lindskog S, "Formation of intermediate cementum (I): early minera1ization of aprismatic enamel and intermediate cementum in monkey" 2 (2): 147-160, 1982
10 Bae CH, "Excessive Wnt/ß-catenin signaling disturbs tooth-root formation" 48 (48): 405-410, 2013
1 전국치주과학교수협의회, "치주과학" 군자출판사 49-, 2005
2 보건복지부, "국민건강통계"
3 Nanci A, "Ten Cates’s Oral Histology: Development, structure, and function" Elsevier 212-, 2013
4 Salmon CR, "Proteomic analysis of human dental cementum and alveolar bone" 91C : 544-555, 2013
5 McCauley LK, "Mineralized Tissues in Oral and Craniofacial Science: Biological Principles and Clinical Correlates" Wiley-Blackwell 172-, 2012
6 Foster BL, "Method for studying tooth root cementum by light microscopy. Methods for studying tooth root cementum by light microscopy" 4 (4): 119-128, 2012
7 Roguljic H, "In vivo Identification of Periodonta1 Progenitor Cells" 92 (92): 709-715, 2013
8 Bosshardt DD, "Hertwig's epithelial root sheath, enamel matrix proteins, and initiation of cementogenesis in porcine teeth" 31 : 184-192, 2004
9 Lindskog S, "Formation of intermediate cementum (I): early minera1ization of aprismatic enamel and intermediate cementum in monkey" 2 (2): 147-160, 1982
10 Bae CH, "Excessive Wnt/ß-catenin signaling disturbs tooth-root formation" 48 (48): 405-410, 2013
11 Bosshardt DD, "Evidence for rapid multipolar and slow unipolar production of human cellular and acellular cementum matrix with intrinsic fibers" 17 (17): 663-668, 1990
12 Alatli-Kut I, "Disturbances of cementum formation induced by single ini ection of 1-hydroxyethylidene-1. 1-bisphosphonate (HEBP) in rats: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102 (102): 260-268, 1994
13 Cheng H,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lumican and fibromodulin in tooth cementum" 34 (34): 87-96, 1996
14 Butler WT, "Dentin extracellular matrix (ECM) proteins: comparison to bone ECM and contribution to dynamics of dentinogenesis" 44 (44): 171-178, 2003
15 Foster BL, "Central role of pyrophosphate in acellular cementum formation" 7 (7): e38393-, 2012
16 Kawai T, "Bovine tooth-deri ved bone morphogenetic protein" 68 (68): 1069-1074, 1989
17 Bosshardt DD, "Biological mediators and periodontal regeneration: a review of enamel matrix proteins at the cellular and molecular levels" 35 : 87-105, 2008
치아균열증후군 진단 시스템으로서의 치과용 광결맞음 단층촬영장치
The study of essential factors that affect mandibular dental arch forms by cluster analysis
Bone Morphogenetic Protei n-4가 사람 뼈모세포와치주인대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
Variations of maxillary premolars in Kor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