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중도탈락률 차이 분석 = Academic Achievement and Dropout Rates Depending on Different Types of College Admissions Op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649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ffect of college admission options and gender on academic achievement and dropout rates using 5-year admiss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data of students admitted to a national university located around the capital area. Firstly, we integrate admission data and academic achievement data, remove missing values, and transform some variables as needed. Since then, we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one-way ANOVA, t-test, and Chi-square test to verify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dropout rates between different groups of students. The main findings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from different admissions options: the average GPA of students from early admissions i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from regular admissions. Seco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of different genders: an average GPA of female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Third, the average dropout rate of students from regular admissions is higher than that of early admis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big data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a long period and draw insights from the data, which can be utilized to improve admission policies with the objective of both enhancing academic achievement and reducing dropout rates of students.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ffect of college admission options and gender on academic achievement and dropout rates using 5-year admiss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data of students admitted to a national university located around the capital area....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ffect of college admission options and gender on academic achievement and dropout rates using 5-year admiss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data of students admitted to a national university located around the capital area. Firstly, we integrate admission data and academic achievement data, remove missing values, and transform some variables as needed. Since then, we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one-way ANOVA, t-test, and Chi-square test to verify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dropout rates between different groups of students. The main findings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from different admissions options: the average GPA of students from early admissions i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from regular admissions. Seco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of different genders: an average GPA of female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Third, the average dropout rate of students from regular admissions is higher than that of early admis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big data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a long period and draw insights from the data, which can be utilized to improve admission policies with the objective of both enhancing academic achievement and reducing dropout rates of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도권 소재 4년제 국립 A대학의 2015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의 입학생에 대해 입시 및 학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학입학전형과 성별이 학업성취도와 중도탈락률(제적률)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통해 입시 데이터와 학적 데이터를 통합, 변형하고 결측치를 제거하였으며, 일원배치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 교차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사용하여 두 개 이상의 집단들 간에 학업성취도와 중도탈락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부교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정시전형 등의 세 가지 입학전형 유형에 따른 평점평균의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부교과전형, 정시전형 순으로 평점평균이 높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평점평균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시전형 입학생의 제적률이 수시전형 입학생의 제적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5년이라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입시 및 학적 빅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 결과가 국내 대학의 입학전형 계획 수립 및 재학생 지도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도권 소재 4년제 국립 A대학의 2015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의 입학생에 대해 입시 및 학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학입학전형과 성별이 학업성취도와 중도탈락률(제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도권 소재 4년제 국립 A대학의 2015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의 입학생에 대해 입시 및 학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학입학전형과 성별이 학업성취도와 중도탈락률(제적률)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통해 입시 데이터와 학적 데이터를 통합, 변형하고 결측치를 제거하였으며, 일원배치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 교차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사용하여 두 개 이상의 집단들 간에 학업성취도와 중도탈락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부교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정시전형 등의 세 가지 입학전형 유형에 따른 평점평균의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부교과전형, 정시전형 순으로 평점평균이 높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평점평균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시전형 입학생의 제적률이 수시전형 입학생의 제적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5년이라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입시 및 학적 빅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 결과가 국내 대학의 입학전형 계획 수립 및 재학생 지도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영교, "서울대 입시분석자료, 학생부종합전형 공교육정상화와 교육불평등 해소에 기여"

      2 김진성,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이용한 대학생 중도 탈락 행태와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 한국지능시스템학회 31 (31): 150-157, 2021

      3 이혜연,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고교 학생부성적,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대학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109-127, 2016

      4 박성호, "대학등록금과 대학재정" 한국교육개발원 2012

      5 오영재, "대학간 학생이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327-356, 2005

      6 백승희, "대학 입학생의 대학생활 성과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 여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7 (17): 251-280, 2016

      7 김소라, "대학 떠나는 ‘코로나 학번’… 중도탈락률 3년 연속 최대"

      8 오성배, "대입전형별 대학생의 학교생활 추이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1-18, 2015

      9 문광민, "거점국립대 9곳 작년 신입생 2400명 자퇴... 신입생 자퇴율 10년새 3배"

      10 Hyunjoo Lee, "Comparisons between College Admission Typ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Related Factor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9 (19): 825-851, 2018

      1 서영교, "서울대 입시분석자료, 학생부종합전형 공교육정상화와 교육불평등 해소에 기여"

      2 김진성,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이용한 대학생 중도 탈락 행태와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 한국지능시스템학회 31 (31): 150-157, 2021

      3 이혜연,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고교 학생부성적,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대학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109-127, 2016

      4 박성호, "대학등록금과 대학재정" 한국교육개발원 2012

      5 오영재, "대학간 학생이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327-356, 2005

      6 백승희, "대학 입학생의 대학생활 성과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 여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7 (17): 251-280, 2016

      7 김소라, "대학 떠나는 ‘코로나 학번’… 중도탈락률 3년 연속 최대"

      8 오성배, "대입전형별 대학생의 학교생활 추이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1-18, 2015

      9 문광민, "거점국립대 9곳 작년 신입생 2400명 자퇴... 신입생 자퇴율 10년새 3배"

      10 Hyunjoo Lee, "Comparisons between College Admission Typ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Related Factor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9 (19): 825-851, 2018

      11 Young-chul Ryu, "Analysis of differences in career, civic and academic capacity, and adaptation to life by college enrollment by gender" Research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 Jeju National University 20 (20): 53-77, 2018

      12 Oh Sung Bae, "Analysis of GPA and College Life by University Admission Type"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34 (34): 157-175, 2016

      13 Hyun Seok Choi, "A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s of college students admitted by admissions officer selection: K university cas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24): 1149-1157, 2013

      14 Youngeun A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Admission and College Graduates’ Major Satisfaction"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31 (31): 135-154, 2018

      15 교육부, "2022학년도 대입입학전형시행계획"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