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부모용 생태소양척도 개발 연구- 학령전기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 = Development of Eco-Literacy Scale for Parents- Focusing on the Parents of Preschooler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94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s to develop an eco-literacy scale for the parents of preschoolers. This study identifies for caregivers in sustainable communities the beliefs and attitudes that are important to develop in their children as well as a tool to use to assess their in efforts doing so.
      The scales were finalized after the third verification. And then we conducted a survey of 634 preschool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gathering answer sheets from 295 respondents(51.5%). Out of the 45 items in the final draft, items 21 was found not to have a discriminating power, and items 15, 28 and 35 turned out not to be predictable with factor analysis resulting in a factor loading below 0.35. We removed items 21, 15, 28, and 35 from the survey, resulting in a survey of 41 item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subfactors of the finalized ecological literacy indicators were between .40 and .87, which showed a close correlation among the subfactors. In addition, their reliability coefficient(.a) was .91, which showed that the indicators were reliabl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s to develop an eco-literacy scale for the parents of preschoolers. This study identifies for caregivers in sustainable communities the beliefs and attitudes that are important to develop in their children as well as a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s to develop an eco-literacy scale for the parents of preschoolers. This study identifies for caregivers in sustainable communities the beliefs and attitudes that are important to develop in their children as well as a tool to use to assess their in efforts doing so.
      The scales were finalized after the third verification. And then we conducted a survey of 634 preschool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gathering answer sheets from 295 respondents(51.5%). Out of the 45 items in the final draft, items 21 was found not to have a discriminating power, and items 15, 28 and 35 turned out not to be predictable with factor analysis resulting in a factor loading below 0.35. We removed items 21, 15, 28, and 35 from the survey, resulting in a survey of 41 item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subfactors of the finalized ecological literacy indicators were between .40 and .87, which showed a close correlation among the subfactors. In addition, their reliability coefficient(.a) was .91, which showed that the indicators were reliab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용 생태소양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유아교육 기관 참여 및 문헌 연구, 전문가 적절성 검토를 거쳐 개발한 시안의 양호도를 산출하였다. 최종안은 신념영역이 총 14문항으로 생활신념 9문항, 양육신념 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태도는 총 27문항으로 환경실천 10문항, 교육실천 10문항, 관계실천 7문항으로 확정되었다. 확정된 최종안의 양호도를 살펴보기 위해, 문항내적합치도와 영역 간 상관을 산출하였다. 생태소양척도의 신뢰도 계수(⍺)는 .91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 간의 상관은 .40-.96으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간 상관이 가장 높은 영역은 교육실천과 생활신념영역 이며, 영역간 상관이 가장 낮은 영역은 양육신념과 관계실천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부모용 생태소양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유아교육 기관 참여 및 문헌 연구, 전문가 적절성 검토를 거쳐 개발한 시안의 양호도를 산출하였다. 최종안은 신념영역이 총 14문항으로 생...

      본 연구는 부모용 생태소양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유아교육 기관 참여 및 문헌 연구, 전문가 적절성 검토를 거쳐 개발한 시안의 양호도를 산출하였다. 최종안은 신념영역이 총 14문항으로 생활신념 9문항, 양육신념 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태도는 총 27문항으로 환경실천 10문항, 교육실천 10문항, 관계실천 7문항으로 확정되었다. 확정된 최종안의 양호도를 살펴보기 위해, 문항내적합치도와 영역 간 상관을 산출하였다. 생태소양척도의 신뢰도 계수(⍺)는 .91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 간의 상관은 .40-.96으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간 상관이 가장 높은 영역은 교육실천과 생활신념영역 이며, 영역간 상관이 가장 낮은 영역은 양육신념과 관계실천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선, "효율적인 컴퓨터 교육을 위한 해군 사관생도 정보소양 특성 분석" 40 (40): 461-494, 2008

      2 신윤호, "환경기초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사의 환경소양 및 친화행동모델과 관련변인 고찰" 한국실과교육학회 14 (14): 3-3, 2001

      3 박은미, "현대사회 유아기 가정교육의 위기와 개선방안 모색" 부산대학교 2002

      4 윤민재, "한국의 교육문제에 관한 정치사회학적 고찰" 한국사회이론학회 (39) : 159-188, 2011

      5 허우정, "한국 유아교육의 간학문적 접근과 조망. 유아교육기관평가의 생태학 적 접근: 전통생명사상을 중심으로" 373-, 2010

      6 한면희, "한국 생태주의의 흐름과 현황" 12 : 149-163, 2008

      7 서재복, "한국 민족주의 교육의 과제와 전망" (6) : 27-42, 2008

      8 강승규, "학생의 삶을 존중하는 교사:교직소양" 동문사 2008

      9 김용만, "학교환경교육 체제의 혁신" 교육과학사 2002

      10 정현희, "초등학생 환경 소양 측정 도구의 개발" 한국환경교육학회 21 (21): 79-93, 2008

      1 김종선, "효율적인 컴퓨터 교육을 위한 해군 사관생도 정보소양 특성 분석" 40 (40): 461-494, 2008

      2 신윤호, "환경기초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사의 환경소양 및 친화행동모델과 관련변인 고찰" 한국실과교육학회 14 (14): 3-3, 2001

      3 박은미, "현대사회 유아기 가정교육의 위기와 개선방안 모색" 부산대학교 2002

      4 윤민재, "한국의 교육문제에 관한 정치사회학적 고찰" 한국사회이론학회 (39) : 159-188, 2011

      5 허우정, "한국 유아교육의 간학문적 접근과 조망. 유아교육기관평가의 생태학 적 접근: 전통생명사상을 중심으로" 373-, 2010

      6 한면희, "한국 생태주의의 흐름과 현황" 12 : 149-163, 2008

      7 서재복, "한국 민족주의 교육의 과제와 전망" (6) : 27-42, 2008

      8 강승규, "학생의 삶을 존중하는 교사:교직소양" 동문사 2008

      9 김용만, "학교환경교육 체제의 혁신" 교육과학사 2002

      10 정현희, "초등학생 환경 소양 측정 도구의 개발" 한국환경교육학회 21 (21): 79-93, 2008

      11 정병석, "천인합일의 생명관" 50 : 25-42, 1993

      12 사순옥,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으로서 독일의 학교 생태교육" 한국헤세학회 (19) : 345-360, 2008

      13 소현수, "전통경관의 조영원리에 대한 생태학적 해석" 서울시립대학교 2007

      14 박경임, "적극적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이 학령기 아동 어머니의 부모역할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2011

      15 전귀연,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교사로서의 부모』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3 (43): 35-52, 2005

      16 허우정, "유아교육기관의 생태지표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2011

      17 허정희, "원가족의 건강성과 부모역할지능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2011

      18 최숙희, "심리통계학의 이해: SPSS를 이용한 자료분석" 시그마프레스 2009

      19 이지현, "실과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 단원에서 실천적 문제 해결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 소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55-80, 2011

      20 홍성태, "시민사회와 생태주의 교육 - 생태적 복지사회를 향하여 -" 한국학연구원 (36) : 193-224, 2008

      21 홍성태, "시민사회와 생태주의 교육 - 생태적 복지사회를 향하여" 계명대 한국학연구원 등 103-116, 2008

      22 임재택, "생태유아교육개론[제3판]" 양서원 2008

      23 허우정, "생태유아교육 평가의 가능성 탐색을 위한 기초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229-258, 2008

      24 윤주영, "생태그림동화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2010

      25 한면희, "동아시아 문명과 한국의 생태주의" 철학과현실사 2009

      26 이명준, "교육문제의 윤리적 이해와 도덕교육의 지향에 대한 철학적 고찰" 한국윤리학회 1 (1): 149-181, 2008

      27 오만석, "교육과정 담론의 생태학적 재구성: 시론" 한국도덕교육학회 23 (23): 1-30, 2011

      28 김선구, "공동체주의와 교육" 학지사 1999

      29 신용하, "공동체이론" 문학과 지성사 1985

      30 Thato, S,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condom self-efficacy scale with Thai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37 : 36-40, 2005

      31 Capra,F, "The Tao of liberation :exploring the ecology of transformation" Orbis Books 2009

      32 허우정, "SWOT 분석을 통한 생태유아교육 평가 전략 도출"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2 (12): 195-214, 2008

      33 Pallant,J, "SPSS survival manual (2nd ed.)" Open University Press 2005

      34 서의훈, "SPSS 18.0을 이용한 통계분석" 자유아카데미 2010

      35 Bornstein, M. C., "Mother's parenting cognitions in cultures of origin, acculturate cultures, and cultures of destination" 75 : 221-235, 2004

      36 김은정, "IEEIA 모형을 활용한 환경쟁점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2010

      37 Liechty,J.M, "Health literacy: critical opportunities for social work leadership in health care and research" 36 (36): 98-106, 2011

      38 Oqunyemi, B., "Environmental literacy among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a review of the nigerian experience" 10 (10): 7-19, 2011

      39 Fleischer,S, "Emerging belief frustrate ecological literacy and meaning-making for students" 6 (6): 235-241, 2011

      40 Puk, T., "Ecological concept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 candidates: opaque empty shells" 5 (5): 461-476, 2010

      41 Daniel,M, "Doing quant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with SPSS" Sage Publications Ltd 2004

      42 Tuncay Ozsevgec, "Computer literacy of Turkish preservice teachers in different teacher training programs" 교육연구소 12 (12): 13-21, 2011

      43 Diaby,C,L,B, "An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non-formal and informal learning on adult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University of Minnesota 2010

      44 Hsu., S. J., "An assessment environmental literacy and analysis of predictors of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ur held by secondary teachers in the Hualien area of Taiwan" 4 (4): 229-250, 1998

      45 Mitchell, D., "A philosophical analysis of david Orr's theory of ecological literacy: biophilia, ecojustice and moral education in school learning communities" 6 (6): 193-221,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7-1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Ecological Early Childhood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2 2.0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22 2.524 0.4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