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문제 대응에 있어 지역연구의 역할과 정책적 함의 : 전주시를 사례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41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지역이 처한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발전의 기회를 가지고 위하여 지역의 역사와 장소성, 주민들의 삶에 방식에 대한 고찰, 현재 처한 여건과 미래전망에 대한 분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이에 관련 학계나 연구 집단은 물론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도 지역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아카데미즘에 입각한 회고적 접근이라는 비판에서 벗어나 앞으로 지향해야할 지역연구의 접근방향은 역사·지리·문화·경제 등 다분야간의 융합을 꾀하고 지역주민의 참여와 소통이 기본 전제가 되어야 하며, 지역사회의 현안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정책 지역연구’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주시의 사례를 통해 현 시점 지역연구의 실천적 의미를 기억(Remembrance), 회복(Resilience), 재생(Regeration) 등 ‘3R’로 규정하고 지역정책과 지역연구 간의 선순환 관계를 제시한다.
      번역하기

      현재 지역이 처한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발전의 기회를 가지고 위하여 지역의 역사와 장소성, 주민들의 삶에 방식에 대한 고찰, 현재 처한 여건과 미래전망에 대한 분석이 무엇보다 ...

      현재 지역이 처한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발전의 기회를 가지고 위하여 지역의 역사와 장소성, 주민들의 삶에 방식에 대한 고찰, 현재 처한 여건과 미래전망에 대한 분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이에 관련 학계나 연구 집단은 물론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도 지역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아카데미즘에 입각한 회고적 접근이라는 비판에서 벗어나 앞으로 지향해야할 지역연구의 접근방향은 역사·지리·문화·경제 등 다분야간의 융합을 꾀하고 지역주민의 참여와 소통이 기본 전제가 되어야 하며, 지역사회의 현안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정책 지역연구’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주시의 사례를 통해 현 시점 지역연구의 실천적 의미를 기억(Remembrance), 회복(Resilience), 재생(Regeration) 등 ‘3R’로 규정하고 지역정책과 지역연구 간의 선순환 관계를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the current problems of the region and have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consideration of the history and placeness of the region, the way of life of the residents, and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and future prospects are of paramount importance. Therefore, interest in regional studies is increasing not only in related academic and research groups, but also at the level of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Moving away from the criticism of retrospective approach based on academism, the approach direction of regional research that should be pursued in the future should seek convergence among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y, geography, culture, and economy, and th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local residents should be the basic premise. It should aim for ‘policy regional studies’ that actively responds to current issues. Through the case of Jeonju, this study defines the practical meaning of regional research at the present time as ‘3Rs’ such as Remembrance, Resilience, and Regeneration, and presents a virtuous circl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policies and regional studies.
      번역하기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the current problems of the region and have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consideration of the history and placeness of the region, the way of life of the residents, and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and future pr...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the current problems of the region and have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consideration of the history and placeness of the region, the way of life of the residents, and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and future prospects are of paramount importance. Therefore, interest in regional studies is increasing not only in related academic and research groups, but also at the level of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Moving away from the criticism of retrospective approach based on academism, the approach direction of regional research that should be pursued in the future should seek convergence among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y, geography, culture, and economy, and th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local residents should be the basic premise. It should aim for ‘policy regional studies’ that actively responds to current issues. Through the case of Jeonju, this study defines the practical meaning of regional research at the present time as ‘3Rs’ such as Remembrance, Resilience, and Regeneration, and presents a virtuous circl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policies and regional stud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지역 문제와 대안적 접근
      • 1) 지역이 처한 문제: 급속한 쇠퇴와 소멸의 위기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지역 문제와 대안적 접근
      • 1) 지역이 처한 문제: 급속한 쇠퇴와 소멸의 위기
      • 2) 지역문제에 대한 대안적 접근
      • 3) 지역문제 해결의 출발: 지역연구
      • 3. 지역에 대한 접근방법과 지역연구의 방향
      • 1) 지역의 개념과 접근방법
      • 2) 지역문제를 대응하는 지역연구의 방향
      • 4. 지역문제 대응에 있어 지역연구 사례: 전주문화재단의 마을조사 및 마을술사 사업
      • 1) 전주시의 지역 현안
      • 2) 전주문화재단의 마을조사사업과 마을술사 사업 추진(2015~2018)
      • 3) 전주 마을조사·마을술사 사업을 통해서 본 지역연구의 실천적 의미
      • 5. 결론: 지역문제 대응에 있어 지역연구과 지역정책의 선순환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