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홍규, "희랍철학논고" 민음사 2007
2 박홍규, "형이상학강의 2" 민음사 2007
3 맹주만, "칸트의 실천이성의 이율배반" 중앙철학연구소 21 : 211-236, 2007
4 "중용"
5 사마다 겐지, "주자학과 양명학" 까치 1996
6 최정묵, "주자의 도덕 철학" 국학자료원 2001
7 "주역"
8 "전습록"
9 고강옥, "육가의 도를 바로 잡는다-공자의 도와 인을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18 : 1983
10 이철승, "유가철학에 나타난 ‘氣質之性’의 문제 — 王夫之와 朱熹의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유교학회 (34) : 80-101, 2008
1 박홍규, "희랍철학논고" 민음사 2007
2 박홍규, "형이상학강의 2" 민음사 2007
3 맹주만, "칸트의 실천이성의 이율배반" 중앙철학연구소 21 : 211-236, 2007
4 "중용"
5 사마다 겐지, "주자학과 양명학" 까치 1996
6 최정묵, "주자의 도덕 철학" 국학자료원 2001
7 "주역"
8 "전습록"
9 고강옥, "육가의 도를 바로 잡는다-공자의 도와 인을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18 : 1983
10 이철승, "유가철학에 나타난 ‘氣質之性’의 문제 — 王夫之와 朱熹의 관점을 중심으로 —" 한국유교학회 (34) : 80-101, 2008
11 김세정, "왕양명의 전습록 읽기" 새창미디어 2014
12 김세정, "왕양명의 생명철학" 청계 2008
13 "실천이성비판"
14 양선진, "서양의 이성중심의 윤리학과 동양의 수양중심의 윤리학 비교 - 고대희랍철학과 유가철학을 중심으로 -" 한국동서철학회 (75) : 257-278, 2015
15 서양근대철학회, "서양근대윤리학" 창비 2010
16 "서경"
17 "불필요한 고통"
18 류근성, "맹자 도덕철학에서 이성과 감성의 문제" 동양철학연구회 (52) : 277-301, 2007
19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20 "논어"
21 "The Republic"
22 "OEuvres in Henri Berg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