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열대풍 가로화단을 위한 화분 형태에 따른 식물 생장 특성 연구 = Study of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ot Type for Tropical Street Flower Be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103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최근 보급 중인 열대풍 화단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콜레우스(Coleus blumei Benth), 칸나(Canna generalis), 화초 고구마(Ipomoea batatas ‘Marguerite’)를 대상으로 열대 식물을 활용한 가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보급 중인 열대풍 화단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콜레우스(Coleus blumei Benth), 칸나(Canna generalis), 화초 고구마(Ipomoea batatas ‘Marguerite’)를 대상으로 열대 식물을 활용한 가로 화단 조성 시 적절한 관수 방법에 따른 화분 형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화분의 형태에 따라 일반형, 심지형, 증산형으로 구분하여 생장의 변화와 관수의 증발산량과 생장을 여름∼가을(7∼11월) 동안 조사하였다.
      온실에서 일반형, 증산형, 심지형 화분의 식물 생장을 관찰한 결과, 화초고구마는 식재 후 45일에 화분 형태와 관계없이 모두 고사하였다. 콜레우스(핑크)의 경우 심지형 화분에서 비교적 초장, 초폭 등의 생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형과 증산형 화분에서는 식재 60일 이후 고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종인 콜레우스(연두)의 경우에는 줄기와 잎이 가늘어지고, 엽색이 연해져 정상적인 생장을 하지는 못했으나, 콜레우스(핑크)에 비해 고사하지 않고, 화분 형태와 관계없이 완만한 생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칸나의 경우에도 화분 형태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완만한 생장을 나타냈으나, 정상적인 생육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철 야외 화단으로 활용 기대되는 열대풍 가로 화단을 위한 연구가 온실에서 진행되어 환경적으로 제한적인 부분이 있었지만, 실내에서도 완만한 생장을 보이며, 여름철 7∼8월 야외 도입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오히려 광 부족으로 인한 생장 저하는 야외 공간에서 개선 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심지형 화분에서는 모든 식물에서 비교적 완만한 생장을 나타내 효율적인 관수 방법 및 화분 형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자연의 식물을 활용한 장식으로 사람들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열대 식물을 활용한 가로 화단 조성이 아름다운 도시 이미지 형성과 공공디자인을 위해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생각된다. 열대풍 식물을 이용한 가로 화단 조성 연구는 다양한 품종 제안 및 식재 후 관리 방법과 식재 형태, 식물 생장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더욱 다양한 식물을 대상으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commend suitable pot types for horizontal flower beds that use tropical plants, including coleus (Coleus blumei Benth), canna (Canna generalis), and flowering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Marguerite'). These plants are commonly ...

      This study aims to recommend suitable pot types for horizontal flower beds that use tropical plants, including coleus (Coleus blumei Benth), canna (Canna generalis), and flowering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Marguerite'). These plants are commonly used in tropical-style flower beds that have gained popularity recently.
      During the summer to autumn period (July to November), we investigated changes in growth and evapotranspiration of irrigation water and growth by classifying pots into regular, wick, and evapotranspiration types.
      The growth of sweet potatoes in regular, transpiration, and wick pots was observed in the greenhouse. All sweet potatoes died after 45 days of planting, irrespective of the type of pot used. For coleus (pink), it was observed that the plant grew relatively longer and wider in the wick pot, but it died after 60 days in the regular and transpiration pots. In contrast, for the same species, coleus (lotus), the stems and leaves became thinner, the foliage colour became lighter, and it exhibited stunted growth, but it did not die unlike coleus (pink). It showed moderate growth regardless of the pot type. For cann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ot types, and it exhibited moderate growth, but normal growth was difficult to achieve.
      Although the research on the tropical landscape flower bed was conducted in a greenhouse and had some environmental limitations, it showed moderate growth indoors.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introduce the flower bed outdoors in July and August. It is expected that the decline in growth due to lack of light will be improved in the outdoor space. All plants exhibited moderate growth in wick-type pots, which is expected to be an efficient watering method and potting for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