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의 ‘-도다’, ‘-로다’ 구문을 살펴보면서, 종결 어미 ‘-도다’, ‘-로다’가 결합 양상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그 사실을 기술 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19815
2020
-
종결 어미 ; 강조 표현 ; 분포 ; 결합 양상 ; 언어 변화 ; Conjecture ; admiration ; reduction of meaning ; semantic change ; prefinal ending
KCI등재
학술저널
7-28(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의 ‘-도다’, ‘-로다’ 구문을 살펴보면서, 종결 어미 ‘-도다’, ‘-로다’가 결합 양상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그 사실을 기술 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
이 연구는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의 ‘-도다’, ‘-로다’ 구문을 살펴보면서, 종결 어미 ‘-도다’, ‘-로다’가 결합 양상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그 사실을 기술 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현대 국어에서 ‘-도다’와 ‘-로다’의 문법적 제약 환경이 다르다. 그러나 15세기에는 ‘-도다’, ‘-로다’가 지금과 같은 분포를 보이지 않는다. ‘-로다’의 경우 현대국어에서는 ‘용언의 어간’ 뒤에 쓰이는 일이 없으나 중세, 근대 국어에서는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쓰이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렇게 현대 국어에서의 형태는 같지만 분포의 차이가 있었고 이에 분화가 일어나는 과정에 대해 접근해 보았다.
‘-로다’와 ‘-도다’가 의미상 비슷하나, ‘-로다’는 ‘이다’, ‘아니다’와 어울려 쓰이는 것으로, ‘-도다’는 용언 어간에 붙어 쓰이는 것으로 분화가 된 듯하다. 15ㆍ16세기 문헌에서 이미 ‘-리로다’의 형태로 나타나던 ‘-로다’는 ‘-리-’와 결합하나, 한편 ‘-도다’는 ‘-었-’과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둘은 서로 분포를 달리하면서 ‘-로다’는 용언의 어간에 어울려 쓰이지 못하고, ‘-도다’는 ‘-었-’과 어울려 쓰이고, ‘-로다’는 ‘-었-’과는 쓰이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vered “-doda and “-roda” from the fifteenth century to the eighteenth century. The goal was to describ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nding mother “-doda” and “-roda” in the combination. The fifteenth century’s emphasis foll...
This study covered “-doda and “-roda” from the fifteenth century to the eighteenth century. The goal was to describ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nding mother “-doda” and “-roda” in the combination. The fifteenth century’s emphasis follows a later period, but what remains in the modern language is “-doda, -roda,” which differs in the distribution of the two in the modern Korean language.
In the sixteenth century and in the fifteenth century, “-roda” had already shown a pattern of combining with “-ri-,” but “-doda” was not used to match the tense expression. “-doda” all appeared behind verbs and adjectives until the eighteenth century.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roda” and “-doda.” Then, the distributions of “ida” and “anida” and “-doda” and “-roda” became different. In fifteenth-sixteenth century literature, “-roda,” which had already appeared in the form of “-roda” combines with “-roda” but “-doda” with “-eos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restrictions may vary within the upper-level distribution. If we could have dealt with post-eighteenth century literature in more numbers, we could have looked at the phenomenon of the current use of “-doda” in the Korean language.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경재, "현대국어 어미의 분포와 통시적 정보" 232-239, 2008
2 권재일,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1-450, 1992
3 권재일, "한국어 문법사" 박이정 168-, 1998
4 고영근,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1-370, 2005
5 "청어노걸대 간행 연도 1765년 줄임표(청노)"
6 "중용언해 간행 연도 1590년 줄임표(중언)"
7 고영근,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 탑출판사 1-226, 1981
8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334, 1990
9 "월인석보 간행 연도 1459년 줄임표(월석)"
10 허웅,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1-996, 1975
1 정경재, "현대국어 어미의 분포와 통시적 정보" 232-239, 2008
2 권재일,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1-450, 1992
3 권재일, "한국어 문법사" 박이정 168-, 1998
4 고영근,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1-370, 2005
5 "청어노걸대 간행 연도 1765년 줄임표(청노)"
6 "중용언해 간행 연도 1590년 줄임표(중언)"
7 고영근,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 탑출판사 1-226, 1981
8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334, 1990
9 "월인석보 간행 연도 1459년 줄임표(월석)"
10 허웅,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1-996, 1975
11 "오륜행실도 간행 연도 1797년 줄임표(오륜)"
12 "소학언해 간행 연도 1588년 줄임표(소언)"
13 "선가귀감언해 간행 연도 1579년 줄임표(선가)"
14 "석보상절 간행 연도 1445년 줄임표(석상)"
15 민경모, "서법(Mood) 구현 형식에 대한 일고찰 -서법 범주의 수용과 전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원 (40) : 417-452, 2010
16 "법화경언해 간행 연도 1463년 줄임표(법화)"
17 "번역소학 간행 연도 1518년 줄임표(번소)"
18 "번역박통사 간행 연도 1510년경 줄임표(번박)"
19 "번역노걸대 간행 연도 1510년경 줄임표(번노)"
20 "백련초해 간행 연도 16세기 중 줄임표(백련)"
21 "박통사언해 간행 연도 1677년 줄임표(박언)"
22 "박통사신석언해 간행 연도 1765년 줄임표(박통신)"
23 "몽어노걸대 간행 연도 1741년 줄임표(몽노)"
24 "맹자언해 간행 연도 1590년 줄임표(맹언)"
25 "두시언해 간행 연도 1481년 줄임표(두언)"
26 "대학언해 간행 연도 1590년 줄임표(대언)"
27 "능엄경언해 간행 연도 1461년 줄임표(능엄)"
28 "논어언해 간행 연도 1590년 줄임표(논언)"
29 "노걸대언해 간행 연도 1670년 줄임표(노언)"
30 Joan Bybee, "The Evolution of Grmmar :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 Chicago university Press 1-398, 1994
31 Paul J. Hopper, "Grammaticaliz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75, 1993
32 김정수, "17세기 한국말의 느낌법과 그 15세기로부터의 변천" 8 : 507-511, 1985
33 김정수, "16세기 전반기 한국말의 느낌법과 그 15세기로부터의 변천" 194 : 73-96, 1986
34 허웅, "16세기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1-548, 1989
수로부인(水路夫人) 전승과 <헌화가>·<해가> 재해석 -성덕왕 기사의 서술·편제 목적과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 신앙을 근거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10-1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국제어문외국어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76 | 1.32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