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암 환자 삶의 질에 대한 국내 연구논문 분석 = Analyses of the Studies on Cancer-Related Quality of Life Published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15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 목적은 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국내 연구논문을 분석 평가하여 선행연구의 단점을 보완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 전남대학교 보건연구 정보센타, KoreaMed 및 의학연구정보센타의 DB Bank를 검색하여 ‘삶의 질’과 ‘암’이라는 용어가 포함된 논문 31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논문을 암 부위, 삶의 질 정의에 대한 개념적 영역(domains), 사용된 독립변수(예측변수), 연구설계(단면적/종적연구), 측정의 주체(자가측정/대리측정), 사용된 도구(단일도구/일련의 도구 세트), 질문지 번역과정(번역-역번역), 신뢰도, 타당도, 점수계산방법 및 연구결과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31편의 연구논문 중 약 반이 여러 종류의 암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삶의 질의 정의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에서 다차원적으로 정의하였다. 연구설계는 약 30%의 논문만이 종적연구설계를 하여 삶의 질 변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삶의 질 측정도구로는 거의 전 연구에서 환자가 직접 측정하는 질문지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도구의 선택에 있어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은 편이다. 또한 외국에서 개발된 질문지를 번역하여 사용할 때 변역-역번역 과정을 통해 한글로 번역한 도구는 하나도 없었다. 측정된 삶의 질 계산방법은 전부 전통적인 방법인 평균이나 합으로 계산하였다. 연구에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검정되었던 변수들은 다양하지 않았다.
      결론 : 앞으로 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국내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치료과정에 따른 삶의 질 변화 파악을 위한 종적 연구설계의 시도와 신뢰도와 타당도가 수립된 적절한 측정도구의 사용, 그리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에 대한 반복적 연구 및 새로운 변수 파악을 위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목적 : 본 연구 목적은 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국내 연구논문을 분석 평가하여 선행연구의 단점을 보완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 전남대학교 보건연구 정...

      목적 : 본 연구 목적은 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국내 연구논문을 분석 평가하여 선행연구의 단점을 보완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 전남대학교 보건연구 정보센타, KoreaMed 및 의학연구정보센타의 DB Bank를 검색하여 ‘삶의 질’과 ‘암’이라는 용어가 포함된 논문 31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논문을 암 부위, 삶의 질 정의에 대한 개념적 영역(domains), 사용된 독립변수(예측변수), 연구설계(단면적/종적연구), 측정의 주체(자가측정/대리측정), 사용된 도구(단일도구/일련의 도구 세트), 질문지 번역과정(번역-역번역), 신뢰도, 타당도, 점수계산방법 및 연구결과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31편의 연구논문 중 약 반이 여러 종류의 암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삶의 질의 정의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에서 다차원적으로 정의하였다. 연구설계는 약 30%의 논문만이 종적연구설계를 하여 삶의 질 변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삶의 질 측정도구로는 거의 전 연구에서 환자가 직접 측정하는 질문지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도구의 선택에 있어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은 편이다. 또한 외국에서 개발된 질문지를 번역하여 사용할 때 변역-역번역 과정을 통해 한글로 번역한 도구는 하나도 없었다. 측정된 삶의 질 계산방법은 전부 전통적인 방법인 평균이나 합으로 계산하였다. 연구에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검정되었던 변수들은 다양하지 않았다.
      결론 : 앞으로 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국내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치료과정에 따른 삶의 질 변화 파악을 위한 종적 연구설계의 시도와 신뢰도와 타당도가 수립된 적절한 측정도구의 사용, 그리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에 대한 반복적 연구 및 새로운 변수 파악을 위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and evaluate prior studies published in Korea on the cancer-relate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make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of 31 studies were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databases.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11 criteria, such as site of cancer, domain, independent variable, research design, self/proxy rating, single/battery instrument, translation/back translation, reliability, validity, scoring, and findings.
      Results : Of the 31 studies, approximately half of them were conducted using a mixed cancer group of patients. Many of the studies asserted that the concept of quality of life had a multidimensional attribute. Approximately 30% were longitudinal design studies giving information about the changes in quality of life. In all studies, except one, patients directly rated their level of quality of life. With respect to the question-naires used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life, most studies did not consider whether or not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had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technique. All studies used sum or total scoring meth-ods when calculating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The types of variables tested for their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were quite limited.
      Conclusion : It is recommended that longitudinal design studies be performed using methods of data collection whose validity and reliability has been confirmed, and studies be conducted to identify new variables having an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번역하기

      Purpos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and evaluate prior studies published in Korea on the cancer-relate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make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of 31 studies were s...

      Purpos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and evaluate prior studies published in Korea on the cancer-relate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make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of 31 studies were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databases.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11 criteria, such as site of cancer, domain, independent variable, research design, self/proxy rating, single/battery instrument, translation/back translation, reliability, validity, scoring, and findings.
      Results : Of the 31 studies, approximately half of them were conducted using a mixed cancer group of patients. Many of the studies asserted that the concept of quality of life had a multidimensional attribute. Approximately 30% were longitudinal design studies giving information about the changes in quality of life. In all studies, except one, patients directly rated their level of quality of life. With respect to the question-naires used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life, most studies did not consider whether or not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had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technique. All studies used sum or total scoring meth-ods when calculating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The types of variables tested for their influence on quality of life were quite limited.
      Conclusion : It is recommended that longitudinal design studies be performed using methods of data collection whose validity and reliability has been confirmed, and studies be conducted to identify new variables having an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SCOPUS 등재 (기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4-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KCI등재
      2011-08-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 Radiation oncology journal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2 0.864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