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三上次男, "樂浪郡社會の支配構造" 30 : 1964
2 權五重, "樂浪郡硏究" 一潮閣 1992
3 신광철, "황해도 일대의 고구려 관방체계와 남부전선의 변화" 한국고대학회 (35) : 189-224, 2011
4 윤용구,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 사계절 2014
5 최창빈, "학계소식; 신원에서 고구려 시기의 큰 도시유적의 발견" 1985 (1985): 1985
6 권오중, "요동왕국과 동아시아" 영남대학교출판부 2012
7 권오중, "요동 공손씨정권의 대방군 설치와 그 의미" 대구사학회 105 : 109-136, 2011
8 박노석, "서기 3세기 초의 고구려와 魏의 외교 관계" 24 : 2001
9 리순진, "락랑구역일대의 고구려돌칸흙무덤에 대하여"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1990 (1990): 1990
10 박대재,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아연출판부 2010
1 三上次男, "樂浪郡社會の支配構造" 30 : 1964
2 權五重, "樂浪郡硏究" 一潮閣 1992
3 신광철, "황해도 일대의 고구려 관방체계와 남부전선의 변화" 한국고대학회 (35) : 189-224, 2011
4 윤용구,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 사계절 2014
5 최창빈, "학계소식; 신원에서 고구려 시기의 큰 도시유적의 발견" 1985 (1985): 1985
6 권오중, "요동왕국과 동아시아" 영남대학교출판부 2012
7 권오중, "요동 공손씨정권의 대방군 설치와 그 의미" 대구사학회 105 : 109-136, 2011
8 박노석, "서기 3세기 초의 고구려와 魏의 외교 관계" 24 : 2001
9 리순진, "락랑구역일대의 고구려돌칸흙무덤에 대하여"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1990 (1990): 1990
10 박대재,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아연출판부 2010
11 장효정, "대동강 하류일대 고구려 적석총의 분포현황과 그 성격" 101 : 2003
12 윤선태, "낙랑군 호구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0
13 오영찬, "낙랑군 연구" 사계절 2006
14 안정준, "근초고왕과 석촌동고분군" 한성백제박물관 2016
15 윤용구, "고대중국의 동이관(東夷觀)과 고구려 - 동이교위(東夷校尉)를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55) : 61-100, 2005
16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 지배 방식 연구" 모시는사람들 2005
17 여호규, "고구려의 韓半島 中部地域 지배와 漢城 別都의 건설" 한국고대사학회 (99) : 233-274, 2020
18 임기환, "고구려와 낙랑군의 관계" 한국고대사학회 34 : 145-158, 2004
19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20 손영종, "고구려사 1"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0
21 김미경, "고구려 전기의 대외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22 權純弘, "고구려 도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2019
23 여호규, "고구려 國內城 지역의 건물유적과 都城의 공간구조" 한국고대사학회 (66) : 43-93, 2012
24 안정준, "高句麗의 樂浪・帶方 故地 영역화 과정과 지배방식" 한국고대사학회 (69) : 125-169, 2013
25 안정준, "高句麗의 樂浪ㆍ帶方郡 故地 지배 연구" 연세대학교 2016
26 김미경, "高句麗의 樂浪ㆍ帶方地域 進出과 그 支配形態" 17 : 1996
27 關野貞, "高句麗の平壤城と長安城に就いて" 39 (39): 1928
28 孔錫龜, "高句麗 領域擴張史 硏究" 書景文化社 1998
29 奇庚良, "高句麗 王都 硏究" 서울대학교 2017
30 김효진, "高句麗 東川王代 對중국 외교의 변천과 목적" 고구려발해학회 52 : 173-208, 2015
31 金智姬, "高句麗 故國原王의 平壤 移居와 南進" 서울대학교 2016
32 尹明喆, "高句麗 前期의 海洋活動과 古代國家의 成長" 18 : 1995
33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85
34 임기환, "韓國古代中世 地方制度의 諸問題" 집문당 2004
35 "釋名"
36 "資治通鑑"
37 "說文解字"
38 "續日本紀"
39 윤용구, "百濟文化史大系硏究叢書 (9) -백제의 대외교섭-"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40 "漢書"
41 李賢惠, "李基白先生古稀紀念韓國史學論叢 (上)" 1994
42 "晉書"
43 武田幸男, "德興里壁畵古墳被葬者の出自と經歷" 13 : 1989
44 孔錫龜, "德興里 壁畵古墳의 主人公과 그 性格" 21 : 1990
45 "後漢書"
46 谷豊信, "平壤土城里発見の古式の高句麗瓦当について" 112 : 1990
47 孔錫龜, "安岳 3號墳의 墨書銘에 대한 考察" 121 : 1988
48 千寬宇, "古朝鮮史ㆍ三韓史硏究" 一潮閣 1989
49 鳥居龍藏, "丸都城及び國內城の位置に就きて" 25 (25): 1914
50 "三國志"
51 "三國史記"
52 이승호, "「毌丘儉紀功碑」의 해석과 高句麗·魏 전쟁의 재구성" 한국목간학회 (15) : 15-44, 2015
53 林起煥, "4세기 고구려의 樂浪ㆍ帶方地域 경영" 147 : 1995
54 여호규, "4세기 高句麗의 樂浪․帶方 경영과 中國系 亡命人의 정체성 인식" 한국고대사학회 (53) : 159-200, 2009
55 김기섭, "4~5세기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백제의 외교정책" 백제문화연구소 (56) : 271-295, 2017
56 임기환, "3세기~4세기초 위(魏)ㆍ진(晉)의 동방 정책 –낙랑군ㆍ대방군을 중심으로-" 36 : 2000
57 이승호, "3세기 후반 「晉高句麗率善」印과 高句麗의 對西晉 관계" 한국고대사학회 (67) : 299-339, 2012
58 여호규, "3세기 전반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고구려의 대외정책" 역사학회 (194) : 1-40, 2007
59 吳舜濟, "2C 末~3C 中葉 高句麗의 遼東 進出에 對한 硏究 -公孫氏 政權을 중심으로-" 11 :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