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 연방관재관 제도의 도입논의에 대한 실무적 검토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US Trustee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310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st criticized feature of the US Bankruptcy Act of 1898 was the dual responsibilities of the bankruptcy judge, and the judicial judgment was inconsistent with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Administrative functions usually involved contact with trustees, which was unavoidable by the administrative duties imposed upon the bankruptcy judge. Even if no impropriety existed, the administrative duties performed by the bankruptcy judge created the appearance of a bias in favor of the estate because private trustees had frequent contact with the judge. Besides, some kind of supervision over trustees in the private trustee system was felt to be needed.
      The United States Trustee Pilot Program began on October 1, 1979. Currently, the Program operates in 21 regions. The duties of the US Trustee include the establishment, maintenance, and supervision of a panel of private trustees to serve in Chapter 7 cases. The US Trustee monitors applications for compensation and reimbursement and files comments to the court regarding these applications. Plans filed in Chapters 11,12 and 13 cases are monitored as are disclosure statements in Chapter 11 cases. Creditors' committees in Chapter 11 cases are appointed and supervised by the US Trutee. The US Trustee prevents undesired delays in bankruptcy cases by monitoring the progress of cases and taking action whenever necessary. The US Trustee can also object to the confirmation of a plan in Chapter 11 cases.
      Korean Bankruptcy Law has begun to be affected by US law since 1998. DIP system in Chapter 11 was imported in 2005. Now the import of the US Trustee Program is under discussion. Its main function is to separate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from the judicial judgment in bankruptcy cases, and to give the administrative duties to the US Trustee. But there are alternative methods to solve the problem, which includes separating the genuine judicial judgment from the semi- judicial one and to forward it to a civil court. If the rule of business judgment is accepted, DIP will not undergo big hardships in managing bankrupt business even though the bankruptcy judge performs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In addition, Korea does not have a large stock of bankruptcy professionals to administer a National Bankruptcy Trustee Program. Currently, Korea does not have the capacity of undertaking a National Trustee similar to the US.
      번역하기

      The most criticized feature of the US Bankruptcy Act of 1898 was the dual responsibilities of the bankruptcy judge, and the judicial judgment was inconsistent with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Administrative functions usually involved contact with ...

      The most criticized feature of the US Bankruptcy Act of 1898 was the dual responsibilities of the bankruptcy judge, and the judicial judgment was inconsistent with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Administrative functions usually involved contact with trustees, which was unavoidable by the administrative duties imposed upon the bankruptcy judge. Even if no impropriety existed, the administrative duties performed by the bankruptcy judge created the appearance of a bias in favor of the estate because private trustees had frequent contact with the judge. Besides, some kind of supervision over trustees in the private trustee system was felt to be needed.
      The United States Trustee Pilot Program began on October 1, 1979. Currently, the Program operates in 21 regions. The duties of the US Trustee include the establishment, maintenance, and supervision of a panel of private trustees to serve in Chapter 7 cases. The US Trustee monitors applications for compensation and reimbursement and files comments to the court regarding these applications. Plans filed in Chapters 11,12 and 13 cases are monitored as are disclosure statements in Chapter 11 cases. Creditors' committees in Chapter 11 cases are appointed and supervised by the US Trutee. The US Trustee prevents undesired delays in bankruptcy cases by monitoring the progress of cases and taking action whenever necessary. The US Trustee can also object to the confirmation of a plan in Chapter 11 cases.
      Korean Bankruptcy Law has begun to be affected by US law since 1998. DIP system in Chapter 11 was imported in 2005. Now the import of the US Trustee Program is under discussion. Its main function is to separate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from the judicial judgment in bankruptcy cases, and to give the administrative duties to the US Trustee. But there are alternative methods to solve the problem, which includes separating the genuine judicial judgment from the semi- judicial one and to forward it to a civil court. If the rule of business judgment is accepted, DIP will not undergo big hardships in managing bankrupt business even though the bankruptcy judge performs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In addition, Korea does not have a large stock of bankruptcy professionals to administer a National Bankruptcy Trustee Program. Currently, Korea does not have the capacity of undertaking a National Trustee similar to the U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에서는 도산절차에 관여하는 공권력을 사법과 행정으로 구분하여 사법적 역할은 법원에, 행정적 역할은 법무부장관이 임명하는 연방관재관(the US Trustee)에 나누어 맡긴다. 그 취지는 법관을 사법적 역할에 전념시켜 업무 부담을 덜어 주고, 법관이 사법적·행정적 역할을 동시에 담당함으로 말미암은 이해관계의 대립을 없애려는 데 있다.
      최근 연방관재관 제도를 우리나라에 도입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는지는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 헌법상 권력분립 원칙과의 관계이다. 이는 도산법원이 사법적․행정적 역할을 동시에 담당하면 이해관계의 대립을 가져오므로 행정적 역할은 독립한 행정조직에 맡겨야 한다는 논의이다. 우리 도산법 체계하에서도 사법적 판단과 행정적 감독이 충돌하는 면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실체적 법률문제에 관한 분쟁은 일반법원에 그 판단을 맡기면 도산법원의 이중적 지위로 말미암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권력분립 원칙 때문에 굳이 연방관재관 제도를 도입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둘째, 법원은 재판을 담당하는 기관이라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도산절차는 거래실정에 맞게 역동적으로 진행하여야 하는데 법원이 행정적 감독을 맡으면 업무처리에 지장을 가져온다는 측면이다. 그렇지만, 절차가 원활하게 진행되느냐는 회생채무자(또는 관재인)가 도산기업을 경영하는 과정에서 내리는 경영판단(business judgment)이 존중되느냐에 달렸지 절차감독자가 누구이냐(법원이냐 연방관재관이냐)에 달린 문제는 아니다.
      셋째, 연방관재관 제도를 운용할 전문인력의 부족이다. 미국에는 도산과 관련된 전문인력이 약 4만 명에 이르고, 일본도 사법시험 시절부터 도산법이 선택과목으로 채택되어 법조인력 가운데 도산법 이론과 실무에 정통한 인력이 적지 않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도산법이나 도산실무를 전공한 인력이 매우 드물어 관재관 제도를 창설할 경우, 현실적으로 이 직책을 담당할 마땅한 인력을 구하기 어려울 것이다.
      미국식 연방관재관 제도가 이론적으로 또 제도적으로 더욱 잘 정비된 제도임은 틀림없으나, 우리나라 실정에 그 도입은 시기상조인 면이 있다.
      번역하기

      미국에서는 도산절차에 관여하는 공권력을 사법과 행정으로 구분하여 사법적 역할은 법원에, 행정적 역할은 법무부장관이 임명하는 연방관재관(the US Trustee)에 나누어 맡긴다. 그 취지는 법...

      미국에서는 도산절차에 관여하는 공권력을 사법과 행정으로 구분하여 사법적 역할은 법원에, 행정적 역할은 법무부장관이 임명하는 연방관재관(the US Trustee)에 나누어 맡긴다. 그 취지는 법관을 사법적 역할에 전념시켜 업무 부담을 덜어 주고, 법관이 사법적·행정적 역할을 동시에 담당함으로 말미암은 이해관계의 대립을 없애려는 데 있다.
      최근 연방관재관 제도를 우리나라에 도입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는지는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째, 헌법상 권력분립 원칙과의 관계이다. 이는 도산법원이 사법적․행정적 역할을 동시에 담당하면 이해관계의 대립을 가져오므로 행정적 역할은 독립한 행정조직에 맡겨야 한다는 논의이다. 우리 도산법 체계하에서도 사법적 판단과 행정적 감독이 충돌하는 면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실체적 법률문제에 관한 분쟁은 일반법원에 그 판단을 맡기면 도산법원의 이중적 지위로 말미암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권력분립 원칙 때문에 굳이 연방관재관 제도를 도입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둘째, 법원은 재판을 담당하는 기관이라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도산절차는 거래실정에 맞게 역동적으로 진행하여야 하는데 법원이 행정적 감독을 맡으면 업무처리에 지장을 가져온다는 측면이다. 그렇지만, 절차가 원활하게 진행되느냐는 회생채무자(또는 관재인)가 도산기업을 경영하는 과정에서 내리는 경영판단(business judgment)이 존중되느냐에 달렸지 절차감독자가 누구이냐(법원이냐 연방관재관이냐)에 달린 문제는 아니다.
      셋째, 연방관재관 제도를 운용할 전문인력의 부족이다. 미국에는 도산과 관련된 전문인력이 약 4만 명에 이르고, 일본도 사법시험 시절부터 도산법이 선택과목으로 채택되어 법조인력 가운데 도산법 이론과 실무에 정통한 인력이 적지 않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도산법이나 도산실무를 전공한 인력이 매우 드물어 관재관 제도를 창설할 경우, 현실적으로 이 직책을 담당할 마땅한 인력을 구하기 어려울 것이다.
      미국식 연방관재관 제도가 이론적으로 또 제도적으로 더욱 잘 정비된 제도임은 틀림없으나, 우리나라 실정에 그 도입은 시기상조인 면이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도산절차와 그 감독체계
      • 2. 연방관재관(US Trustee) 제도의 연혁
      • 3. 제도의 개요
      • Ⅱ. 연방관재관의 구체적 직무내용
      • Ⅰ. 서론
      • 1. 도산절차와 그 감독체계
      • 2. 연방관재관(US Trustee) 제도의 연혁
      • 3. 제도의 개요
      • Ⅱ. 연방관재관의 구체적 직무내용
      • 1. 파산절차
      • 2. 개인채무자를 위한 채무조정절차
      • 3. 재건절차
      • 4. 관재인 임명권과 절차감독권
      • Ⅲ. 여러 나라의 관재인 임명방법
      • 1. 영국
      • 2. 프랑스
      • 3. 독일
      • 4. 검토
      • Ⅳ. 여러 나라의 절차감독방법
      • 1. 미국 도산법원(Bankruptcy Court)의 역할
      • 2. 프랑스 상사법원(Tribunal de Commerce)의 절차감독
      • 3. 독일 도산법원(Insolvenzgericht)의 감독
      • 4. 일본의 재생채무자(DIP) 감독위원을 통한 감독
      • 5. 우리나라의 도산절차 감독방법
      • Ⅴ. 연방관재관 제도의 도입여부
      • 1. 권력분립 원칙과 관련하여
      • 2. 원활한 절차진행과 관련하여
      • 3. 전문인력의 수급과 관련하여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중앙지방법원 파산부 실무연구회, "회생사건실무 상" 박영사 2008

      2 최성근, "프랑스의 도산법" 한국법제연구원 1998

      3 이상영, "유럽 기업회생법제의 특색과 시사점" 한국비교사법학회 14 (14): 359-396, 2007

      4 서울중앙지방법원 파산부 실무연구회, "법인파산실무" 박영사 2007

      5 윤영신, "미국의 도산법" 한국법제연구원 1998

      6 전병서, "도산법" 법문사 2006

      7 김주학, "기업도산법" 우리글 2009

      8 金載亨, "統合 倒産法案의 主要爭點" 한국비교사법학회 10 (10): 38-76, 2003

      9 伊藤眞, "破産法·民事再生法" 有斐閣 2007

      10 多比羅, "再生手續における再生債務者の地位と監督委員の職務·權限. in: 倒産處理法制の 理論と實務" 經濟法令硏究會 2006

      1 서울중앙지방법원 파산부 실무연구회, "회생사건실무 상" 박영사 2008

      2 최성근, "프랑스의 도산법" 한국법제연구원 1998

      3 이상영, "유럽 기업회생법제의 특색과 시사점" 한국비교사법학회 14 (14): 359-396, 2007

      4 서울중앙지방법원 파산부 실무연구회, "법인파산실무" 박영사 2007

      5 윤영신, "미국의 도산법" 한국법제연구원 1998

      6 전병서, "도산법" 법문사 2006

      7 김주학, "기업도산법" 우리글 2009

      8 金載亨, "統合 倒産法案의 主要爭點" 한국비교사법학회 10 (10): 38-76, 2003

      9 伊藤眞, "破産法·民事再生法" 有斐閣 2007

      10 多比羅, "再生手續における再生債務者の地位と監督委員の職務·權限. in: 倒産處理法制の 理論と實務" 經濟法令硏究會 2006

      11 田頭章一, "企業倒産處理法の理論的課題" 有斐閣 2005

      12 小梁吉章, "フランス倒産法" 信山社 2005

      13 吉野正三郞, "ドイツ倒産法入門" 成文堂 2007

      14 福岡 眞之介, "アメリカ連邦倒産法槪說" 商事法務 2008

      15 高木 新二郞, "アメリカ連邦倒産法" 商事法務硏究會 1996

      16 高田賢治, "Trustee in Bankruptcy. in: 英米倒産法キーワード" 弘文堂 2003

      17 Frank H. Easterbrook, "The Economic Structure of Corporate Law"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18 Axel Flessner, "National Report for Germany. in: Principles of European Insolvency Law" Kluwer Legal Publishers 2003

      19 Marie-Danielle Schödermeier, "National Report for France. in: Principles of European Insolvency Law" Kluwer Legal Publishers 2003

      20 Robert Stevens, "National Report for England. in: Principles of European Insolvency Law" Kluwer Legal Publishers 2003

      21 Martin A. Frey, "Introduction to Bankruptcy Law(Fifth Edition)" Thomson 2006

      22 Vanessa Finch, "Corporate Insolvency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3 Epstein, Markell, "Bankruptcy: 21st Century Debtor-Creditor Law(2nd Ed.)" Thomson/West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8-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터넷법률 -> 선진상사법률연구
      외국어명 : Internet Law Journal -> Advanced Commercial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8 0.862 0.8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