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가 조선조에 끼친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Outline and Explanations of the Works of Zhu Xi in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서 『주자대전』을 처음으로 완독하고 연구한 학자는 퇴계 이황이다. 이황의 편저인 『주자서절요』는 조선에 주자학을 보급 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하였고, 이황과 그 門人에 ...

      우리나라에서 『주자대전』을 처음으로 완독하고 연구한 학자는 퇴계 이황이다. 이황의 편저인 『주자서절요』는 조선에 주자학을 보급 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하였고, 이황과 그 門人에 의해 정리된 『주자서절요』 주석은 『주자대전』 연구를 촉발시켜 향후 영남학파와 기호학파 사이에 성리설 논쟁을 惹起하는 한편 방대한 『주자대전』 주석을 양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주자학 발전을 견인하는데 가장 큰 動因이 되었다. 『주자서절요』에는 주희의 정설이 축약되어 있어 조선의 학자들로 하여금 주자학의 정심한 이론을 쉽게 受用할 수 있게 하였다. 조선에 본격적인 주자학 시대를 여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주자서절요』와 『朱書百選』을 비교해 보면, 두 책의 편자의 견해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주자서절요』의 영향을 받아 편찬되었으나 『주서백선』은 『주자서절요』의 내용을 산삭 또는 보완하여 율곡학파 학설의 입론 근거를 분명히 제시하고 있다. 『주자서절요』는 주희의 辨異端의 논리가 강하게 드러나 있어, 조선 전기까지 남아 있던 불교의 영향력을 일소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리하여 학자들로 하여금 불교의 문제점을 쉽게 간파하고 주자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그렇지만 학자들로 하여금 보다 더 깊이 불교를 알 수 있는 길을 차단함으로써 자유로운 학문 발전을 저해하고 道學 일색의 이념주의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주자서가 많이 읽히면서, 이황으로부터 주희의 만연체 문장이 서서히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황의 문집부터 『주자대전』의 영향을 받아 문집의 권질이 현저히 많아지고 서간문의 비중이 대폭 늘어나 문집의 모양이 종전과 달라졌다. 뿐만 아니라 상소문, 서간문 등에 주자서에 나오는 어휘, 고사가 많이 쓰였으며, 碑誌類와 같은 다른 문장에서도 宋代 語錄體글이 많이 등장하여 문체를 바꾸어 놓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i Hwang (1501-1570), the most prominent Korean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started research on the Whole works of Zhu Xi (Jujadaejeon, 朱子大全). He edited the Outline and Explanations of the Works of Zhu Xi (Jujaseojeolyo, 朱子書...

      Yi Hwang (1501-1570), the most prominent Korean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started research on the Whole works of Zhu Xi (Jujadaejeon, 朱子大全). He edited the Outline and Explanations of the Works of Zhu Xi (Jujaseojeolyo, 朱子書節要) which became popular source of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in Korea. The annotations of of Yi Hwang and his school in the Outline and Explanations of the Works of Zhu Xi, made a starting point of intensive research on the the whole works of Zhu Xi in Korea. Also it became the trip wire of the debates between Yi Hwang School and Yi I school on the orthodox doctrines of Neo-Confucianism, one of the important motives which eventually made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Neo-Confucianism. The Outline and Explanations of the Works of Zhu Xi has brief ex- planation of the doctrines of Zhu Xi`s criticism on Buddhism which swept the academic residue of Buddhism which had significant pow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ventually this got rid of the chance of further studying on Buddhism. The scholars of Joseon Dynasty had been committed to study Neo-Confucianism also this trend made the academic tolerance very narrow. As the works of Zhu Xi became read, the writing style of Yi Hwang who followed the long sentence style of Zhu Xi became popular. By means of the influence of the Whole works of Zhu Xi on the Works of Yi Hwang, the trends of the works of Korean scholars changed to became bigger and to include more letters than before. Moreover, there was lots of writing style changes, for example such as lots of quotation from the works of Zhu Xi, in such writing as the inscriptions which imitated the Sung dynasty dialogue sty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하, "한주 이진상 성리설의 입론 근거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2 유탁일, "주자서절요 주석의 맥락과 그 주석서들" 6 : 1990

      3 李滉, "退溪集" 학민문화사 2001

      4 "退溪學文獻全集" 계명한문학연구회 1991

      5 주희, "近思錄" 학민문화사 1995

      6 李玄逸, "葛庵集"

      7 丁若鏞, "與猶堂全書"

      8 金宇顒, "東岡集"

      9 李栽, "朱書節要附講錄刊補" 태학사 1979

      10 正祖, "朱書百選" 학민문화사 2011

      1 이상하, "한주 이진상 성리설의 입론 근거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2 유탁일, "주자서절요 주석의 맥락과 그 주석서들" 6 : 1990

      3 李滉, "退溪集" 학민문화사 2001

      4 "退溪學文獻全集" 계명한문학연구회 1991

      5 주희, "近思錄" 학민문화사 1995

      6 李玄逸, "葛庵集"

      7 丁若鏞, "與猶堂全書"

      8 金宇顒, "東岡集"

      9 李栽, "朱書節要附講錄刊補" 태학사 1979

      10 正祖, "朱書百選" 학민문화사 2011

      11 鄭重器, "朱子書節要集解" 학민문화사 2009

      12 "朱子書節要記疑ㆍ朱子書節要講錄" 서울대학교규장각 2004

      13 李滉, "朱子書節要" 학민문화사 2009

      14 陳來, "朱子書信編年考證" 상해인민출판사 1987

      15 朱熹, "朱子大全" 학민문화사 2004

      16 張志淵, "朝鮮儒敎淵源"

      17 曺兢燮, "巖棲集"

      18 李震相, "寒洲全書" 아세아문화사 1980

      19 鄭逑,, "寒岡集"

      20 曺植, "南冥集"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T'oegye Hakbo -> The T'oegye Hakbo(The Journal of T'oegye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03 학술지삭제 삭제승인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6 2.22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